2020년도 제28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주제 : 곤충의 다리, 슬기로운 적응 생활
소속기관 창녕성산초등학교
직위 교사
성명 이승윤
장마초등학교 교사 조민정
1. 제작 동기 및 목적
코로나19로 사상 초유의 온라인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앞으로의 수업 또한 이러한 형태로 바뀌어 갈 것이라고 한다. 지금까지의 수업에서 동영상의 역할은 수업 중 교사의 설명을 보충해 주는 보조 자료로써 활용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수 업에서의 동영상은 동영상 자체가 주학습자료이자 교사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온라인 수업 시대의 동영상은 학습 내용 전달 뿐만 아니라 학습자에게 배움의 방 법과 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변화되어야 한다.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는 1학년 1학기 <봄> 교과에서 봄에 만날 수 있는 친구들 을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하여 3학년 2학기 서식지별 사는 동물의 특징, 5학년 1학기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 5학년 2학기 생물의 환경 적응 모습에 대해 학습하게 된다.
이에 본 영상은 곤충의 이름과 서식지를 알아보는 활동에서 보다 확장하여 서식지에 적응하기 위해, 먹이를 잡기 위해 다리라는 신체구조가 어떻게 발달되었는지 자세히 관찰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수업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본 영상을 4개의 소주제로 구성하여 7분의 영상 전체를 시청하지 않더라도 곤충이 벽을 잘 타는 이유, 곤충 다리의 종류, 곤충 다리 만들기, 과학 탐구의 방법 중 필요한 부분을 골라 시청할 수 있도록 기획하였다.
과학 탐구는 주변의 관찰에서 시작된다. 자신을 둘러싼 환경을 자세히 관찰하며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고 규칙성 또는 특이점을 발견하고 그로부터 왜? 어떻게?라 는 의문을 가지는 속에서 과학이 시작되는 것이다.
‘곤충은 왜 벽을 잘 타는 거지?’라는 의문에서 ‘곤충의 다리에 뭔가 비밀이 있을 거야’라는 일련의 영상 흐름을 통해 학생들은 탐구 주제라는 것이 거창한 것이 아 니라 우리 주변의 작은 관찰에서 시작할 수 있음을 깨닫게 된다. 이 영상을 본 뒤, 학생들 스스로 채집-관찰-분류를 하며 과학과의 프로젝트 학습도 가능할 것이다.
무엇보다 본 주제에서 곤충의 눈, 날개, 입 그리고 곤충만이 아니라 동물의 다리와 발 등 탐구 주제의 다양한 변주도 가능하다.
본 영상은 ‘곤충의 다리’가 환경에 적응하여 어떻게 발달하였는지 살펴보는 경험 을 제공하는 동시에 온라인 수업 시대의 학생들이 스스로 탐구 주제를 찾고 탐구 해 나갈 수 있는 가이드가 되어 줄 것이다.
2. 제작 내용
곤충의 다리, 슬기로운 적응 생활
구분 소주제 세부 내용 수업 활용 시간
도입 - 문제제기 및 동기유발 -
◾ 사슴벌레는 왜 벽을 잘 타나?
◾ 소금쟁이는 왜 물 위를 잘 걷나?
◾ 타이틀
- 수업 도입 과
학 적 탐 구 방 법 제 시 및 안 내
- 30″
전개1 - 곤충이 벽을 잘 타는 이유 -
◾ 벽을 타는 다리를 가진 곤충
◾ 갈고리와 욕반
◾ 욕반에서 나오는 빙햄유체
- 수업
중간
-
2′00″전개2 - 곤충 다리의
종류 -
◾ 뛰는 다리
◾ 잡는 다리
◾ 꽃가루를 모으는 다리
◾ 헤엄치는 다리
◾ 물에 뜨는 다리
- 수업
중간
-
2′20″전개3 - 곤충 다리
만들기 - ◾ ◾ 소금쟁이 만들기
소금쟁이가 물에 뜨는 원리 - 수업
중간 - 1′10″
정리 - 과학적 탐구 - ◾ 과학적 탐구의 방법
◾ 관찰, 분류의 방법 - 수업
중간 - 1′00″
3. 제작 과정
가. 제작 일정 및 역할 분담
단계 기간 추진 내용 역할 분담
1 2
문제 분석 및 계획
2020. 5. 1.
- 5. 15.
교과의 학습 주제 및 내용 분석 ○ ○
학습 주제 및 내용과 관련된 참고문헌 분석 ○
자료 제작 계획 수립 및 콘티 제작 ○ ○
자료 수집 2020. 5. 16.
- 5. 31.
촬영을 위한 제작 장비, 실험 도구 마련 ○ ○
촬영 장소 및 인물 섭외, 촬영 협조 ○ ○
자료 제작 2020. 6. 1.
- 7. 31.
촬영에 필요한 예비 실험, 본 실험 실시 및 촬영 ○ ○
편집 자료의 수업적용 방안 탐색 ○ ○
자료 수정 및 보완
2020. 8. 1.
- 9. 10.
촬영 자료의 영상 편집 ○ ○
시나리오 작성 ○ ○
시나리오 멘트 녹음 ○
음향 편집 및 저작권 확인 ○
수업적용 방안 탐색 및 효율성 검토 ○ ○
제작 영상에 대한 전문가 자문 검토 ○ ○
제출 2020. 9.11. 최종 자료 완성 및 작품 설명서 작성 제출 ○ ○
나. 교육과정 분석
급 교과 학년 단원 배움 주제
초 등
통합
1-1 2. 도란도란 봄 동산 - 봄에 볼 수 있는 동식물 살펴보기 1-2 2. 현규의 추석 - 가을에 볼 수 있는 동식물 살펴보기 2-1 2. 초록이의 여름 여행 - 여름에 볼 수 있는 동식물 살펴보기 2-2 2. 겨울 탐정대의 친구 찾기 - 겨울에 볼 수 있는 동식물 살펴보기
과학
3-2 2. 동물의 생활
- 우리 주변에 사는 동물 - 특징에 따라 동물 분류하기
- 땅, 사막, 물, 하늘에 사는 동물과 특징 알기 - 우리 생활에서 동물의 특징 활용 사례 5-1 5.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 - 생물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 5-2 2. 생물과 환경 - 생물의 환경 적응 모습
도덕 3-2 6. 생명을 존중하는 우리 - 작은 생명 존중하기 실과 5-2 2. 동식물과 우리 생활 - 생활 속의 동물 돌보기
※ 실과의 경우 출판사에 따라 단원명이 달라 질 수 있음
다. 곤충 채집 및 촬영
채집 곤충 관찰 상자 1 수서곤충 관찰 상자 2
4. 기대되는 효과
가. 곤충의 다리에 대한 영상을 통해서 곤충들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신체적 특징 을 알고 주변 생물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될 것이다.
나. 곤충의 다리를 관찰하며 생명의 신비함과 소중함을 느끼고 자연의 생태를 배우 고 보다 세밀한 과학적 탐구심과 관찰력을 기르게 될 것이다.
다. 각종 곤충을 직접 채집하여 관찰하지 않더라도 자세하고 전문적인 영상으로 학 생들에게 간접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라. 관찰과 분류라는 과학적 탐구의 방법을 안내하여 학생 주도적 과학적 탐구활동 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