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 5: 클립형 영상학습자료 작품설명서]
2021년도 제29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주제: 악보가 어려운 친구들을 위한 음악 비법서 소속기관 사남초등학교
직위 교사
성명 강남주
용현초등학교 교사 김준형
1. 제작 동기 및 목적
아이들은 음악을 좋아한다. 요즘은 여러 매체를 통해 음악을 접하기 쉬워져 자신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찾아 플레이리스트를 만들어 듣는 아이들도 많다.
하지만 음악 수업 시간에 악보를 볼 수 있는 아이들은 많지 않다. 여기서 의문이 시작되었다.
음악을 좋아하지만 왜 아이들은 악보 보는 법을 모르고, 듣고 따라부르기만 할 수 있는 걸까?
교육과정을 분석해보면 초등학교 3학년 교육과정부터 기본적인 음표, 계이름, 음이름, 박자 등에 관한 음악 이론이 계열성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3학년 때부터 음악을 배우지만 악보를 볼 줄 모르는 학생들이 많다는 것은 활동 중심의 음악 수업에서 음악 학습 요소에 대한 학습 부진이 누적된 것이라 결론을 내렸다.
음악 교과는 단순히 음악을 들으며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는 데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음악 활동을 통해 음악성과 창의성을 계발하고, 음악의 가치에 대해 안목을 키움으로써 음악을 삶 속에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교과이다. 글을 읽을 줄 모르면서 글과 책을 이해할 수 없듯이, 악보를 읽을 줄 모르면서 음악을 이해할 수 없다. 아이들의 삶 속에 음악을 심어주기 위해 더 늦기 전에 기본적인 음악 요소에 대한 이해와 악보 보는 법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영상 자료를 찾아보니, 학습 요소의 일부를 설명하고 있는 영상 자료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악보 보는 방법에 대해 초등학생의 눈높이로 제작된 영상은 찾을 수 없었다. 이에 악보 보는 법에 대해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영상학습 자료를 제작하여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고자 한다.
2.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음악 요소와 개념 및 재구성
초등학교 음악 교육과정에 제시된 3~4학년, 5~6학년 수준의 음악 요소를 분석하여 악보를 보기 위해 필요한 음악 개념 요소들을 추출하여 재구성하였다.
초등학교 3~4학년 초등학교 5~6학년 재구성
∙박, 박자, 박자표 ∙음의 길고 짧음
∙간단한 리듬꼴
∙박, 박자
∙여러 가지 리듬꼴
è
1 음높이
오선보, 높은음자리표, 낮은음자리표, 음이름,
계이름
2 변화표 조표, 임시표, 올림표, 내림표, 제자리표 3 음길이 음표, 쉼표
4 박자
박, 박자, 박자표, 박자의 셈여림, 박자에 따른
음악의 느낌
∙음의 높고 낮음
∙차례가기와 뛰어가기
∙음이름, 계이름
∙장음계, 단음계
∙소리의 어울림 ∙주요 3화음
∙다양한 소리의 어울림
∙형식(ab 등) ∙형식(시조 형식, aba, AB 등)
∙셈여림 ∙셈여림의 변화
∙빠르기/한배 ∙빠르기의 변화
∙목소리, 물체 소리, 타악기의 음색 ∙관악기, 현악기의 음색
3. 제작 내용
『악보가 어려운 친구들을 위한 음악 비법서』 영상 학습자료는 4 챕터로 구성된다.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학습 요소를 추출하고 다양한 자료를 참고하여 내용을 구성하였다. 영상 제작 후 음악 전공자 및 전문가에게 자료를 검수받아 교육 영상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단순하고 명시적인 화면 구성과, 음악을 이해하기 쉬운 예시 자료, 평소 궁금증을 가질만한 질문들을 통해 음악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를 높였다.
단계 영상 장면 주요 내용
도입
동기유발 및 악보의 필요성
- 학생들이 악보를 보는 방법을 궁금해 하는 장면을 통해 동기유발을 하고, 휴대폰에서 악보 보는 방법을 알려 주는 음악 비법서가 나타남.
4가지 소주제 제시
- 악보를 보기 위한 4가지 소주제인 음높이, 변화표, 음길이, 박자를 제시 하여 학습 순서를 안내함.
챕터1 음높이
오선보 음자리표
- 악보는 줄과 칸으로 이루어진 오선 보에 표시하며, 높은음자리표와 낮은 음자리표가 없으면 음높이를 알 수 없음을 알려줌.
음이름과 계이름
- 학생 캐릭터가 하는 질문을 통해 음이름과 계이름의 차이점을 알 수 있도록 함.
- 악보와 피아노를 통하여 음높이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함.
단계 영상 장면 주요 내용
음높이 정리 및 변화표 도입
- 챕터의 마지막 부분마다 학생들이 등장하여 앞에서 배운 내용을 정리 하고, 다음 챕터에 대한 내용을 안내함.
챕터2 변화표
올림표, 내림표, 제자리표, 조표와 임시표 개념 정리
- 악보와 피아노 건반으로 장면을 구성 하여 여러 가지 변화표에 대해 알려줌. 피아노 음을 통해 변화표가 붙은 음의 소리도 들어볼 수 있도 록 구성함.
- 조표와 임시표의 차이점을 알 수 있도록 ‘어디에 있는 올림표가 더 힘이 셀까요?’라는 질문을 통해 변 화표는 위치에 따라 역할이 달라짐 을 비유적으로 설명함.
챕터3 음길이
음표와 쉼표
- 음표와 쉼표의 길이, 음표와 쉼표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영상을 구성함.
챕터4 박자
\
박, 박자, 박자표
- 음악에서 박과 박자는 기본이 되는 개념이지만 이해가 어려운 부분임.
똑같은 4분음표 12개를 4개씩, 3개씩 묶어 손뼉을 쳐 보는 활동을 통해 같은 4분음표 12개라도 느낌이 다름 을 알고 이것으로 박자를 도입함.
4. 기대 효과
가. 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음악 교과에서 교육 자료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나. 음악에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 교육 영상 자료로서 자기주도적 학습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 어렵게만 느껴지던 악보 보는 방법을 영상학습자료를 통해 쉽게 익힐 수 있어, 음악의 생활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단계 영상 장면 주요 내용
박자에 따른 셈여림 박자에 따른 곡의 느낌 - 박자에 따른 셈여림의 차이를 느껴
보고, 오펜바흐의 「천국과 지옥」, 쇼팽 왈츠 10번을 통해 박자에 따른 곡의 느낌이 다름을 알아봄.
정리
음악 비법서 정리
- 실제 작곡한 8마디 노래를 제시하 여 음높이, 변화표, 음길이, 박자를 살펴보고 노래를 부르는 활동을 통해 배운 내용을 정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