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국 사회의 급격한 국제화는 언어 사용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특히 외래어가 일상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국어 학습자 가 외래어를 접할 기회도 많아지고 있다.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외래어의 음 운 규칙이나 표기법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형태적인 측면에서 도 한국어 외래어는 파생, 합성, 품사의 중복, 생략, 신조어 등 다양한 구조 유 형이 있기 때문에 학습자가 이해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단일 외래어보다 외래어와 다른 어종의 단어나 접사를 결합하여 구성된 합성어, 파생어의 구조가 더 복잡하기 때문에 한국어 조어법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면 외래어 의미를 이해 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는 중국인 중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외래어의 형태적인 특징 을 설명하고 교육용 외래어 목록을 확립하고 조어법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외래 어 교수·학습 내용을 구축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한 주요한 내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외래어 개념과 조어법에 따른 외래어 유형을 살펴보았다. 조어법에 의해 한국어 외래어는 크게 원어형 외래어, 약어형 외래 어, 파생형 외래어, 합성형 외래어 네 가지 종류가 있다.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 음과 같다.

<표69> 조어법에 따른 외래어의 유형

파생형 외래어 접두 파생어형 외래어 접미 파생어형 외래어

합성형 외래어

'외래어 어근+외래어 어근'형 외래어 '한자어 어근+외래어 어근'형 외래어 '고유어 어근+외래어 어근'형 외래어 '고유어 어근+한자어 어근+외래어 어근'형 외래어

그리고 형태적 측면에서 한국어 외래어와 중국어 외래어를 대조 분석하였다.

한·중 외래어 형태적 차이점과 공통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외래어에 대한 전반 적인 교육 실태를 살펴보기 위하여 중국 국내 주요 대학교에서 사용한 교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중국 대학교에서 재학 중인 중국인 학습자에게 태도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한국어 외래어 학습에 대한 태도와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를 조사 하였다. 또한 강현화(2012, 2013)과 『신어 자료집』(2014)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용 외래어 목록을 선정하였다.

Ⅲ장에서는 학습자의 외래어 실제 이해 양상을 확인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다. 이는 중국인 중급 학습자가 외래어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어 느 정도 이해할 수 있는지 확인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설문지법과 사후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Ⅱ장의 이론을 토대로 설문 문항을 개발하고 실험 참여자를 선별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계 처리를 해서 분석하였고, 범한 오류와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살펴본 결과를 반영하여 외래어 교육의 목적 및 목표를 세웠다. 외래어의 조어 원리를 토대로 하여 중국인 중급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 인 외래어 교수·학습 내용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들이 범한 오류의 원인에 근거하여 조어법을 활용하는 방법, 의미망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 다. 또한 'OHE 모형'을 활용하여 수업 모형과 교실 활동을 마련하였다. 또 이러 한 수업 모형이 교육적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실 험을 실시하여 효과 검증을 하였다.

이상의 논의는 한국어 교재 및 교수법에 활용할 수 있는 외래어 교육 내용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학습자가 외래어에 대한 어감을 빠른 속도로 신장시키고 외래어를 오래 기억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한국어 외래어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가능함에 있어 도움이 된다. 또한 학습자의 어휘력이 보다 견고해 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 학습자나 한국 어 교육 현장에 있는 교사에게 실제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외래어의 형태적 측면을 초점을 두고 연구를 하였다.

하지만 음운적, 의미적 측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를 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 다. 따라서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임을 보인다.

참고문헌

1. 한국어 교재 및 사전

북경대학교 조선문화연구소(2001), 『한국어』 (1), 민족출판사.

북경대학교 조선문화연구소(2001), 『한국어』 (2), 민족출판사.

북경대학교 조선문화연구소(2001), 『한국어』 (3), 민족출판사.

북경대학교 조선문화연구소(2001), 『한국어』 (4), 민족출판사.

북경대학교 외(2001), 『표준한국어』 第一冊, 北京大學出版社.

북경대학교 외(2011), 『표준한국어』 第二冊,北京大學出版社.

북경대학교 외(2011), 『표준한국어』 第三冊,北京大學出版社.

국립국어연구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2006), 『연세한국어사전』, 두산동아.

2. 국내 논저 (1) 단행본

강현화(2012),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 국립국어원.

______(2013),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2단계), 국립국어원.

고영근·구본관(2008),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구본관 외(2014), 『어휘 교육론』, 사회평론아카데미.

구본관 외(2015), 『한국어 문법 총론Ⅰ』, 집문당.

남길임(2014), 『2014년 신어 자료집』, 국립국어원.

민현식(2004), 『국어정서법 연구』, 태학사.

송철의(2008), 『한국어 형태 음운론적 연구』, 태학사.

이지양(1996), 『국어의 융합현상』, 태학사.

이충우(1994), 『한국어 교육용 어휘 연구』, 국학자료원.

임홍빈 외 (2008), 『한국 어문 규정의 이해』, 태학사.

최용기(2003), 『언론 외래어 순화 자료집』, 국립국어원.

(2) 논문

강경민(2013),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서술어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강나랄리야(2008), 외래어 요소가 참여한 한국어 단어형성법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강성애(2007), 한중 외래어 대조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권종분(2008), 비언어적 요소를 고려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5-1,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35-175쪽.

김낭예(2010), 학문 목적 외래어 목록 선정 연구, 한국어교육 21-2, 국제한국어교 육학회, 59-86쪽.

김미나(2011), 한국어 학습용 외래어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민수(1978), 외래어 표기에 대한 반성과 문제점, 어문연구 6-2, 한국어문교육연 구원, 198-208쪽.

김세중(1998), 외래어의 개념과 변천사, 새국어생활 8-2, 국립국어연구원, 5-19쪽.

김수현(2005), <모던 조선 외래어 사전>의 외래어 표기 연구, 이중언어학 27, 이 중언어학회, 41-58쪽.

김윤화(2010), 현대 국어의 신어형성 양상 연구,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의숙(2015), 어휘장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은행 어휘장을 중심으로-, 숙명 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정희(2006), 외래어 영어 발음 웹사이트 개발,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노명희(2009), 외래어 단어형성, 국어국문학 153, 국어국문학회, 5-29쪽.

______(2013), 외래어의 의미전이, 대동문화연구 82,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493-524쪽.

도원영·김의수·김숙정(2007), '본말, 준말' 류에 대한 재로: 사전의 어휘 관계 기술을 위하여, 한국어학 37, 한국어학회, 277-302쪽.

류철우(2011), 국어 줄인말 유형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마금선(2012),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마릉연(2016),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말뭉치 기반 한국어 동사 유의어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마숙홍(2004), 한국어와 중국어의 한자어 조어법 대조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문금현(2011), 인간어휘장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언어와 문화 7-3, 한국언어 문화교육학회, 85-110쪽.

문승실(2004),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외래어 교육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민현식(1998), 국어 외래어에 대한 연구, 한국어 의미학 2, 한국어의미학회, 91-132쪽.

______(2001), 간판 언어의 의미론, 한국어 의미학 9, 한국어 의미학회, 221-259 쪽.

______(2008),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법 기반 언어 기능의 통합 교육과정 구조화 방 법론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61-335쪽.

박종후·하지경(2012), 한국어 학습자용 외래어 사전 편찬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사 전학 20, 한국사전학회, 165-211쪽.

박지영(2004),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외래어 연구: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경남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______(2011),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외래어 교육 방안,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박홍길(1983), 우리말 뒤섞임말의 유형별 고찰, 동의논집 8, 동의대학교, 23-45쪽.

변시내(2010), 신조어의 조어법과 한국어 교수방안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손영애(1992), 국어 어휘지도 방법의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송연화(2011),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외래어 교육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송철의(2006), 국어 형태론 연구의 문제점, 배달말 39, 배달말학회, 117-142쪽.

송혜정(2007), 한국어 외래어의 의미 변이 연구-일상생활 관련 어휘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석용준(2000), 의미장 핵심 문법 기억 전략과 기억 단서가 외래어 어휘 기억에 미 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성기철(1998), 한국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 이중언어학 15, 이중언어학회, 41-63 쪽.

심훼(2012), 한중 외래어 대조 연구: 구조와 의미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여상필(1998), 영어 절단어의 형성, 영미어문학 54, 한국영미어문학회, 217-234쪽.

오지현(2012), 조어법을 활용한 고등학교 중국어 어휘 지도 방안-2007개정교육과 정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오혜선(2013), 현대 국어 신어의 유형 분류,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왕정·박덕유(2012), 한국어와 중국어의 조어법 대조 연구, 새국어교육 91, 한국국어 교육학회, 289-317쪽.

원경희(2006), 영어 외래어의 음운·형태·의미변화에 관한 연구, 금오공과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원흥연(2009), 국어 외래어 표기의 변천과 형태적·의미적 특성 연구, 건국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유성희(2009), 한국어에 차용된 영어 외래어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유약남(2012), 한중 외래어에 대한 비교 연구: 표기와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 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연(2013), 한국어 외래어 교육 연구-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광호(1997), 외래어 요소가 포함된 단어 형성 연구, 관악어문연구 22, 서울대학 교, 519-542쪽.

이기영(2013), 외래어 의미 변형과 한국어 학습자들의 외래어 의미에 대한인식, 한 국언어문화학 10-2,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3-224쪽.

이덕호(1980), 언어 차용에 관한 연구-우리나라 외래어 연구의 역사와 외래 어휘의 분류와 정의 문제, 한글 169. 한글학회, 221-261쪽.

이상숙(2005), 한국어 학습자의 외래어 표기 오류 분석 및 교수 방안 연구, 한양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상도·이영순(2013), 영어 차용어 축약과 혼성어, 코기토 73, 부산대학교 인문학연 구소, 330-352쪽.

이상혁(2002), 외래어의 개념 및 유형 설정: 서구 외래어를 중심으로, 돈암어문학 15, 돈암어문학회, 101-123쪽.

이소영(2011), 한국어교육에서 외래어 교육의 위상, 우리말교육현장연구 5-2, 우리 말 교육현장학회, 224-243쪽.

______(2012), 한국어 교육에서의 외래어 수용 양상과 변천과정, 건국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Dalam dokumen 비영리-변경금지 2.0 - S-Space (Halaman 187-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