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배달맨'這個單詞是怎麼知道的呢?('배달맨' 어떻게 알아요?)
참여자9: 我交換生來韓國的時候認識了這個詞,發現日常生活中還經常用到。特別是平日 里叫外賣的時候經常會用到。(저는 교환학생으로써 한국에 있었을 때 이 단어를 한국 친구한테 처음 들었어요. 그 이후 자주 썼어요. 특히, 우리 피자나 치킨을 시킬 때 ' 배달맨'이라는 표현을 많이 썼어요.)
연구자: 原來如此....'전자레인지', '전기레인지'這兩個詞有什麼差別嗎?請分析一下。(아, 그렇군요. 그리고 '전자레인지'와 '전기레인지', 두 단어에 어떤 차이가 있나요?) 참여자9: 前者以前學校學習過,後者是我來韓國以後才認識的。('전자레인지'는 저는 교 과서에서 배웠던 단어이고요. '전기레인지'는 한국에 와서 알게 된 표현이에요.) 연구자: 是嗎?來韓國之後從哪裡學習到的呢?(누구한테 배웠어요? 어떻게 배웠어 요?)
참여자9: 我當時來淑明女子大學交換,住在國際管宿舍。每一層有一個公用廚房,廚房的 墻上貼著的公告上寫有這個詞,然後查字典就理解了。(저는 작년 교환학생으로써 한국 에 있었을 때 숙명여대의 국제관 기숙사에서 살았어요. 우리 층의 취사실에서 '전자 레인지'와 '전기레인지'가 있었어요. '전자레인지'와 '전기레인지'이라는 단어가 거기서 썼어요.)
전체 질문 범주 중급 학습자 84명
평균 표준편차
질문1
(이 단어를 안다) 19.58(54.40%) 5.21 질문2
(모르지만 추측할 수 있다.) 8.29(23.67%) 3.51 질문3
(이 단어를 모른다) 7.01(20.03%) 4.44
<표43> 참여자의 범주별 외래어 지식의 양
*단위(개): 총 외래어 인식 테스트 항목은 35개이다.
조사 결과를 보면, 질문1에 대답한 조사 참여자의 평균 외래어 항목 수는 전 체 어휘 35개 중의 54.40%를 차지하는 19.58개였다. '질문3'은 원래 알지 못하 기도 하고 또 전혀 추측도 할 수 없어서 결국 이해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항목 이다. 이 항목에 대한 조사 참여자들의 응답 평균은 전체 항목의 20.03%이었다.
'질문2'에서 참여자들이 일단 단어의 형태나 발음의 특징을 관찰해 봄으로써 의 미 추측을 시도한 항목은 평균 8.29개(전체 항목의 23.67%)였다. 즉, 참여자는 외래어에 대한 선지식이 부족하고, 테스트 자체에 문맥적인 단서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단어의 형태 특징을 분석하여 의미를 추측하려고 시도한 사실을 발견 할 수 있다.
위의 표에서의 표준편차 수치를 살펴보면, '질문1, 2, 3'의 표준편차 수치가 대 체로 비슷하고 그 수치 역시 비교적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중급 수준의 학습자의 외래어에 대한 지식의 양이 대체로 비슷하고 이에 따라 외래어에 관한 양적 능력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질문2 '유추 시도' 부분의 표준편차 (3.51)와 질문3 '모른다'(4.44)의 표준편차를 비교해 보면 큰 차이가 없었다. 따 라서 어휘 추측이 성공적일 경우, 기습득된 외래어 지식량이 적었어도 유추를 통해 최종적으로 해당 어휘의 의미를 대체적으로 이해할 확률이 높아진다고 예 측할 수 있다.
(1) 질문1에서의 오답 비율
참여자들이 알고 있다고 대답한 '질문1'의 개별 응답 어휘 항목을 분석한 결 과, 참여자 스스로가 해당 외래어의 의미를 안다고 대답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질문1 중급 학습자 84명
평균 표준편차
알고 있는 단어(정답) 18.23(52.07%) 5.34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틀린 단어(오답) 2.07(5.92%) 0.95
총합 19.58(54.40%) 5.21
어휘 유추 중급 학습자 84명
평균 표준편차
유추에 성공한 외래어 7.87(22.48%) 3.30 유추에 실패한 외래어 0.42(1.20%) 0.83
총합 8.29(23.67%) 3.51
로는 오답인 단어들이 있었다.74) 즉, 안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잘못 알고 있 는 것이다. 외래어 인식 조사에서 단어 형태 분석을 통해 정확하게 유추한 경우 도 있었고 한국어 외래어 어휘의 음운적, 형태적 측면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 하여 잘못 유추한 경우도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참여자 본인은 그것을 미처 자각하지 못하고, 자신이 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문1의 실제 정답과 오답의 평균 수치 및 비율을 표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표44> 질문1 (알고 있는 단어)의 실제 정답과 오답의 평균
참여자들이 안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틀린 단어의 비율이 전체 중 5.92%
로 나타났다. 주로 '오피스텔'과 '노관심'이 그러한 단어들이었는데 추후 면접을 통해 이 두 외래어의 오답률이 높은 원인을 찾아보았다.
(2) 질문2(어휘 추측해보기)의 성공 여부
조사 참여자의 '어휘 추측해보기'의 성공 및 실패의 평균 수치를 표로 정리하 면 다음과 같다.
<표45> '어휘 유추'의 성공 및 실패 평균
74) 라우퍼(Laufer, 1997)는 이렇게 학습자가 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잘못 알고 있는 어휘를 'Deceptive transparency'라고 하고, 그 세부 하위를 '1)Words with a deceptive morphological structure, 2)Idioms, 3) False friends(L1의 부정적 언어 전이), 4)Words with multiple meanings, 5)Synforms(similar lexical forms)'로 나누었다.
전체 외래어 지식량 중급 학습자 84명
평균 표준편차
이해 가능한 단어
(아는 단어+유추 성공) 26.13(74.66%) 4.23 이해 불가능한 단어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틀린 단어+유추 실패+모르는 단어)
8.87(25.34%) 0.97
총합 35(100%) 5.21
참여자들이 모르는 단어임에도 불구하고 어휘 유추를 통해 의미를 제대로 파 악한 어휘 항목의 전체 평균은 7.87개로 전체 어휘량의 22.48%뿐이었다. 그래 서 참여자는 외래어의 형태의 특징을 주목하여 단어의 뜻을 유추하는 능력이 약 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84명 참여자 중 대부분 학생의 유추 능 력이 부족하지만 그 중 예외가 있다. 예를 들어, 참여자 A의 경우, 질문1(알고 있는 외래어) 항목이 10개밖에 안 되었는데 나머지 25개 외래어 중 9개를 추측 하여 의미를 모두 맞혔다. 이 예시를 통하여 참여자A는 앞에서 살펴본 '질문1 (테스트 항목에 대한 선지식)'의 양은 상대적으로 적었으나, 성공적인 유추의 결 과로 인해 제한적이었던 선지식의 한계를 보상하며 전체적인 어휘 이해의 크기 가 확장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참여자 A의 경우를 통하여 외래어 조어 의 유형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학습자 외래어 지식의 크기
참여자들이 처음부터 외래어를 알고 있는 경우와 처음에는 몰랐지만 어휘 유 추를 통하여 정확하게 추측할 수 있는 경우는 모두 이해가 가능한 어휘량에 포 함된다. 반면에 처음부터 아예 몰랐고 추측을 시도해봤는데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없는 항목들은 결국 이해가 불가능한 어휘량에 포함하고자 한다. 이러한 판 단 기준을 바탕으로 참여자의 전체 외래어 어휘 항목 중에서 이해 가능한 것과 이해가 불가능한 것의 비율을 알아볼 수 있다. 이해 가능한 단어와 불가능한 단 어의 평균 백분율과 표준편차를 표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표46> 참여자들의 총 외래어 지식 크기
위의 표를 살펴보면, 중급 수준의 참여자는 평균적으로 74.66%에 해당하는
어휘
유추 평균 표준편차 평균차 t 유의확률(양쪽)
사전 18.23(52.07%) 5.34 7.9
(22.59%) 4.411 0.007 사후 26.13(74.66%) 4.23
외래어를 이해할 수 있었다. <표44>의 '이 단어를 안다'고 응답한 54.40%보다 20.26%가 늘었다. 그래서 학습자의 어휘 유추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급 참여자들의 어휘 유추 전략을 사용하기 전과 후의 변화가 유의미 한지 알아보기 위해서 표준편차와 t점수를 계산해 보았다. 참여자 집단이 어휘 유추를 시도하기 전과 후로 실제 이해 어휘량이 유의미하게 차아날 것이라는 가 설을 세우고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여 유의확률을 알아보았다. 결과는 다음 과 같다.
<표47> 참여자들의 '어휘 유추' 사전과 사후 결과 비교
유의확률 p값이 0.007(<0.05)로 참여자 집단의 어휘량 증가의 결과는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에게 '어휘 유추'는 어휘량 증가에 효과가 있었 다고 볼 수 있다.
2) 외래어 지식의 깊이
앞의 내용은 조사 문항3의 질문 범주1, 2, 3을 통하여 조사 참여자의 외래어 지식의 크기를 살펴본 것이다. 참여자의 외래어 어휘에 대한 질적 능력을 반영 하는 지식의 깊이를 분석하기 위해 주로 질문4 '단어 분석하기' 부분의 답안 양 상을 주목하고자 한다. '단어 분석하기' 부분에서 단어를 정확하게 분석한 경우 를 '이해 가능'으로, 정확하게 분석할 수 없는 경우를 '이해 불가능'으로 판단하 고자 한다. 이 부분 답안 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참여자는 외래어의 구조에 대해 얼마만큼 이해할 수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분석하기' 부분의 고찰 내용은 외래어의 조어 유형과 많은 관련이 있기 때문 에 외래어 35개를 조어 유형별로 나누어 각 유형에 속하는 외래어에 대한 이해 불가능 비율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해당 질문에 지시된 단어들을 앞에서 언급
조어
유형 단어 유형별 평균 이해
불가능 비율
절단형 에어컨, 힐, 아파트 21.83%
축합형 교카충, 먹스타그램, 개파, 베커상 67.26%
파생형 골프장, 테니스장, 스키장, 노관심, 바보틱,
오피스텔 25.00%
합성형
모범택시, 고속 터미널, 전자레인지, 녹음테이프, 종이 컵, 핸드백, 골프공, 비닐봉지, 비닐장갑, 마을버스, 시 내버스, 공항버스, 신용카드, 카드놀이, 컴퓨터실, 헬 스클럽, 반코트, 냉커피, 싱크대, 소셜력, 보디빌딩, 허 니잼
15.82%
<참여자5과의 인터뷰 자료 발췌>
연구자: 공항버스, 시내버스各是什麼意思呢?請具體分析一下。(공항버스, 시내버스는 각각 무슨 뜻이에요?분석해 주시겠어요?)
참여자5: 공항버스是 '공항+버스','시내버스'是 '시내+버스',一個是機場大巴一個是市內 公交的意思。(공항버스는 '공항+버스'이고 '시내버스'는 '시내+버스'이에요. '공항버스' 는 機場大巴인데, '시내버스'는 '市內公交'의 뜻이에요.)
연구자: 我看你的 '마을버스'意思推測對了而且分析正確,是怎麼想得呢?(그리고 '마을 했던 조어법에 의한 외래어 분류 방법에 따라 '절단형, 축합형, 파생형, 합성형'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단어를 유형별로 묶어서 각 조어 유형의 평균 '이 해 불가능'의 비율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48> 조어 유형별 이해 불가능 비율
전체적으로 참여자는 외래어 단어 구조에 대한 이해 능력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네 가지 조어 유형에 따라 외래어 이해 불가능 비율이 크게 차이가 났다. 이에 따르면 축합형 외래어의 이해 불가능 인수(67.26%)가 제일 많았다. 하지만 합성형 외래어의 경우, 조사 자료로 삼은 외래어 중 합성형 외래 어의 양이 많은 만큼 오답 인수가 상대적으로 많을 것이라는 기존의 예상과는 달리 생각보다 적은 것(15.82%)으로 나타났다. 그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참여 자 두 명에게 일대일의 면접을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