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중국 내 한국어 외래어 교육 현황
3.2. 외래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외래어 교육 실태를 보다 전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중국 대학교의 한국어 전공에 재학 중인 한국어 중급 학생 84명에게 한국어 외래어 교육에 대한 교수·
학습 상황 및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문항의 내용은 다음과 같 다.
(1) 한국어 외래어 이해와 사용에 대한 인식53)
<그림1> 한국어 외래어 이해와 사용에 대한 인식
먼저 '한국어 외래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지'에 대한 중국인 53) A~E문항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A.배워 본 적이 없다.
B.영어 원어의 발음과 차이가 있다.
C.복잡한 외래어인 경우 단어의 형성 구조 규칙이 어렵고 외래어의 형태가 복잡하다.
D.영어 원어의 의미와 다르다.
E.기타
학습자의 전체적인 인식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보면, 86.90%의 학생이 한국어 외래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고, 학생의 91.67%는 외래어를 구 별해서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고 하였다. 어렵다고 느낀 학생들 중 '영어 원어의 발음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어렵다고 대답한 학생은 30명(35.71%)이고 '영어 원어의 의미와 다르'기 때문에 어렵다고 대답한 학생은 19명(22.62%)이 며 나머지 학생은 거의 모두 '외래어 특히 형태가 복잡한 외래어의 단어 형성 규칙이 어렵다'고 대답하였다. 이러한 응답 결과를 통해 중국인 중급 학습자가 한국어 외래어를 학습할 때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외래어 이해하는 데 가장 어 려운 것은 형태에 대한 정확한 이해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외래어 학습 경력 및 경로54)
<그림2> 외래어 학습 경력 및 경로
한국어 외래어 학습 경력 및 경로에 대해 조사하였다. 다수의 학생들이 수업 에서 외래어를 배운 적이 있지만 '외래어에 대해 주로 어떤 방식으로 공부하는 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수업 시간에 교사의 설명을 통해서 공부한다.'라고 응 답한 학생은 25%에 그쳤다. 대부분 학생들이 사전을 찾으면서 혼자 공부하거나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공부했다고 대답하였다. 이 같은 결과를 통 하여 학습자가 외래어를 공부하는 데에 교사의 역할이 부족하고 원활히 이루어
54) A~D문항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A.수업 시간에 교사의 설명을 통해서 공부했다.
B.사전이나 인터넷을 찾으면서 혼자 공부했다.
C.실제 의시소통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공부했다.
D.기타
지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중국 내 외래어 교수 방법 및 내용55)
<그림3> 중국 내 외래어 교수 방법 및 내용
중국 내 한국어 외래어의 교수 방법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66.67%의 학습자 는 '외래어에 대해 특별한 설명을 하지 않았고 의미만 간단하게 설명했다.'라고 대답했다. 20.24%의 학습자는 '외래어와 영어 원어를 비교하여 설명했다'고 대 답했다. 하지만 '교사가 외래어의 단어 구조를 분석하여 설명한다.'라는 대답을 선택한 중국인 학습자는 단 10.71%에 그쳤다. 이 결과는 다시 한 번 중국에서 의 외래어에 대한 교사의 설명이 많이 부족함을 보여준다.
(4) 외래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외래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분에서 거의 모든 학습자는 '필요가 있 다'라고 선택했다. 더불어 교재에서 외래어에 대한 내용이 다루어져야 한다고 하 였다.
(5) 중국 내 외래어 교육에 대한 만족도
55) A~E문항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A.외래어에 대해 특별한 설명을 하지 않았고 의미만 간단하게 설명했다.
B.외래어와 영어 원어를 비교하여 설명했다.
C.외래어의 단어 구조를 분석하여 설명했다.
D.외래어와 같은 뜻을 가지는 한국어 고유어를 같이 제시하여 예문을 들어 설명했다.
E.기타
마지막으로 중국인 중급 학습자의 한국어 외래어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조 사하였다. 67.86%의 학습자가 외래어 교육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다고 대답하였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