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한국어와 중국어 외래어의 형태적 대조 분석
2.1. 원어 형태의 한국어와 중국어 외래어
원어 형태의 한국어 음역 외래어란 한국어 음역체계에 맞게 발음하거나 의미 와 형태의 변화를 겪지 않고 도입된 외래어이다. 다음은 원어 형태로 수용된 외 래어의 예이다.
<표10> 원어 형태의 한국어 음역 외래어 예시
44) 병렬형은 병렬된 두 개의 어근으로 구성된 단어이며, 앞 뒤 두 어근의 관계는 주종의 구 분이 없고 의미상 동등하거나 상반된 관계에 있는 두 개의 형태소가 결합하여 형성된 단 어 형식이다. (예. 語言언어, 朋友친구) 수식형은 앞의 형태소가 뒤의 형태소를 수식하거 나 제한한다. (예. 漢族한족, 微笑미소) 주술형은 앞의 형태소는 어떠한 사물을 표시(대 상)하고 뒤의 형태소는 사물의 동작, 행위 혹은 상태나 성질을 나타낸다. (예. 地震지진) 술목식은 앞의 형태소는 동작의 행위를 나타내고, 뒤의 형태소는 동작 행위의 지배를 받 는 대상을 나타낸다. (예. 作文작문, 有名유명) 보충형은 앞의 형태소는 그 동작행위의 결 과나 방향을 나타내는 형태와 앞에는 명사성 형태소가 오고 뒤에는 양사가 오는 특수한 형태도 있다. (예. 說明설명) (마숙홍(2004)에서 재인용)
45) 중국어의 외래어는 크게 '음역외래어', '의역외래어', '음의겸역외래어' 세 가지 유형이 있 다. 심훼(2012)에서 중국어 외래어를 원어의 표음 그대로 수용하는 것으로 외래어의 대부 분을 이룬다. 특히 외국의 지명, 인명 등의 고유명서는 원음우선주의를 따르는 것이 일반 적인 원칙이라고 언급했다. 그래서 한국어와 중국어 외래어의 형태적으로 대조 분석하기 위하여 음역 외래어에 주목할 수밖에 없다.
banana ⤑ 바나나 table ⤑ 테이블 internet ⤑ 인터넷
h u m o r⤑幽 默[ y ō u
mò] heroin ⤑ 海洛因[hǎi luò yīn] Italia ⤑
意大利[yì dà lì]
Shakespeare ⤑ 莎士 比亞[shā shì bǐ yà]
Chocolate ⤑ 巧克力[qiǎo kè lì]
France ⤑ 法蘭西[fǎ lán xī]
London⤑
倫敦[lún dūn]
microphone ⤑ 麥克風[mài kè fēng]
mango ⤑ 芒果[máng guǒ]
p u d d i n g⤑布 丁[ b ù
dīng] cartoon ⤑ 卡通[kǎ tōng] Gallon ⤑
加侖[jiā lún]
음절수 한국어 외래어 중국어 외래어
단음절 쇼 秀
다음절
이음절 망고, 런던, 카툰 芒果,倫敦,卡通
삼음절 초콜릿, 캐나다 巧克力,加拿大
사음절 이상 카푸치노 卡布奇諾
2) 원어 형태의 중국어 음역 외래어
원어 형태의 중국어 음역 외래어는 원음 형식으로 수용한 외국 인명, 지명, 도 량 단위 등에서 많이 존재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표11> 원어 형태의 중국어 음역 외래어 예시
3) 공통점과 차이점:
이상의 내용을 살펴보면 외래 어휘를 수용할 때, 외국의 인명, 지명, 상표, 회 사 이름 등 고유명사가 대부분 원어 형태로 수용됨을 발견할 수 있다. 형태적인 측면에서 원어 형태의 한·중 외래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 다.
먼저, 음절수의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원어 형태의 한·중 외래어의 음절수 를 보면, 똑같은 영어 원어인데 이와 대응되는 한국어와 중국어 외래어의 음절 수가 일치한 경우도 있고 다른 경우도 있다.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12> 음절수 일치한 한·중 외래어 대조 표
<표12>에서 한국어 외래어의 형태소와 중국어 음역 외래어의 형태소는 단음
영어 원어 한국어 외래어 및 음절 수 중국어 외래어 및 음절 수
golf 골프(이음절) 高爾夫(삼음절)
nylon 나일론(삼음절) 尼龍(이음절)
sandwich 샌드위치(사음절) 三明治(삼음절)
절 형태소, 이음절 형태소, 삼음절 형태소, 사음절 이상 형태소로 나눌 수 있다.
한국어의 '쇼'는 한 음절로 이루어진 형태소이고, 중국어와 대응되는 '秀(xiù)'도 한 음절로 된 형태소이다. 이러한 단음절 형태소는 더 이상 분리할 수 없다. 가 령 '쇼'를 'ㅅ'와 'ㅛ'로 분리한다면 그 각각은 전혀 의미가 없는 단순한 소리가 되기 때문이다. 한국어의 '망고, 런던, 카툰'과 같은 외래어는 두 개의 음절로 이 루어진 형태소이다. 이러한 형태소들은 2음절로 이루어졌지만 단음절과 같이 더 이상 분리해서는 안 된다. 즉, 두 음절이 반드시 함께 존재해야 정확한 의미가 생성되고, 한 음절이라도 생략되면 본래의 의미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더 이 상 분리할 수 없는 최소의 의미단위이므로 하나의 형태소가 된다.
또한, 3음절 형태소인 '초콜릿, 캐나다'와 중국어의 '巧克力,加拿大', 4음절 이 상 형태인 '카푸치노'와 '卡布奇諾'도 더 이상 분리할 수 없는 최소의 의미단위로 하나의 형태소가 된다.
<표13> 음절수 불일치한 한·중 외래어 대조 표
위의 표를 보면, 똑같은 원어인데 대응되는 한국어 외래어의 음절수와 중국어 외래어의 음절수가 다른 경우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한국어의 '골프'는 이음절 인데 중국어의 '高爾夫'는 삼음절이 된다. 한국어의 '나일론'은 삼음절인데 중국 어의 '尼龍'은 이음절이다.
민현식(2004)은 "한국어 외래어와 마찬가지로 중국어 외래어에는 발음상의 편의성을 추구하여 음절을 축약해서 핵심 부분만 남기고 나머지 부분을 생략하 는 음절간이화 현상이 있다. 그러나 한국어 외래어 중 인상 강화를 위하여 또는 철자식으로 읽는 잘못된 발음의 결과로 짧은 음절이 아닌 음절로 나타난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원어 1음절어 mask>3음절어 '마스크')"라고 말했다. 이런 경 우는 중국어 외래어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중국어 단어는 대부분 2음절이나 3음 절 단어이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음절수의 불일치뿐 아니라 한·중 외래어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 중 국어 음역 외래어를 표현하는 데에 있어 한자의 선택을 들 수 있다. 심훼 (2012:20)는 원어 형태의 한·중 음역 외래어를 수용할 때 원어의 발음을 그대 로 수용하는 방식이 비슷하지만 한국어든 중국어든 영어에서 수용하는 외래어는 모두 자국 언어의 조어법에 부합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어인 경우, 음운 체 계, 음절 구조 원칙, 그리고 한국어 조어법에 맞도록 해야 한다. 중국어인 경우, 중국어는 표의문자로서 한자의 문자자체가 의미를 나타내는데, 영어의 발음을 표시하기 위하여 발음이 비슷한 한자를 아무렇게나 조합해서 사용한다면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지 못할 수도 있고 오해를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발음이 비슷 하고 좋은 의미를 담긴 한자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라고 강조 하였다. 심훼(2012:20)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제시하면서 분석하였다.
"문화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도 있다. 예를 들어, 외국 인명 'Juliet'을 번역할 때, 중국에 기존하는 성씨 '朱'와 아름다운 '麗', 그리고 여성 분위기가 나는 '葉'자를 조 합하여 아름답고 여성의 분위기가 나는 '朱麗葉'을 선택하였다. 만약에, '豬力葉'로 말하 면, 원어의 발음에 가깝지만 좋지 않은 의미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다고 본다.“
한·중 외래어의 단어 형태에 있어서 차이점도 존재한다. 단어의 형태에 있어서 한국어에서는 두 가지의 다른 외래어인데 중국어에서는 뜻풀이가 똑같은 단어 한 가지만 있는 경우가 있다. '비닐'과 '플라스틱'이라는 외래어를 예로 들면, 한 국어에서는 '비닐'과 '플라스틱'은 각각의 다른 단어와 결합하여 합성어가 된다.
하지만 중국어에서는 둘이 모두 '塑料'로 구분되지 않는다.
예). 가. 플라스틱+병, 통, 용기/ 비닐+봉투, 봉지, 팩 나. 플라스틱 병(塑料瓶)/ 비닐팩(塑料膜)
(가)의 경우 한국어에는 '플라스틱'과 '비닐'이 다른 단어와 결합하여 각각 다 른 뜻이 되지만 (나)의 경우 중국어에는 '플라스틱'과 '비닐'은 같은 단어이고, ' 병'과 '팩'만 다른 단어로 표기되어 '플라스틱'과 '비닐'이 구분되지 않는다. 이처
원어 한국어 외래어 중국어 외래어 중국어의 뜻
Benz 벤츠 奔馳 아주 빨리 달린다.
Coca-cola 코가콜라) 可口可樂 입에 맞아 사람을 유쾌하게 한다.
Fan ta 환타 芬達 향기로운 식물 이름
Hilton 힐튼호텔 喜來登 기쁜 일이 온다.
Marlboro 말보로 萬寶路 만 가지 보물
Pepsi-cola 팹시콜라 百事可樂 모든 일이 다 즐거운 일이다.
7-up 세븐업 七喜 한 주 7일에 다 기쁘다
Volvo 볼보 富豪 부호
Sprite 스프라이트 雪碧 희다 못해 푸른 기가 돌아 맑고 시원함
Gucci 구치 酷奇 아주 멋이다
vitamin 비타민 維他命 생명을 유지한다.
Shampoo 샴푸 香波 향기로운 물건
TOEFL 토플 托福 당신 덕분에
럼 나라마다 단어의 뜻과 용법이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중국인 학습자는 이 러한 차이를 보이는 외래어를 이해하기에 어렵고 틀리게 사용할 가능성이 있 다.46)
민현식(2004)은 외래어 차용 방법은 크게 음역어(音譯语), 의역어(意譯語)와 혼역어(混譯語)로 나눈다. 합성형 한국어 외래어 중 직접 혼역어가 존재한다.
즉, 외래어를 고유어나 한자어로 직접음역과 의역을 겸용, 배합, 중복 등의 방식 으로 혼합하여 차용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체인店←chain store, 샴판酒←
champagne, 웰街, 월街←Wall Street 등이다. 이런 형식의 외래어 단어 형성 원 리는 직접음역어의 형성 원리보다 더 복잡하다. 현대 중국어 상품명에서는 '코카 콜라, 펩시콜라'를 '可口可樂, 百事可樂'으로 한다든가 'Volvo' 자동차를 부자들이 나 탄다고 해서 '富豪'로 쓰는 것과 같은 혼역차용 방식을 많이 쓰기도 한다. 丁 聲樹(2005)47)에서 제시한 중국어 외래어의 음의겸역어(혼역어)의 예시를 참조 하여 재정리하고 대응되는 한국어 외래어와 함께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표14> 중국어 음의겸역 외래어 및 대응되는 한국어 외래어
46) 박지영(2011:23)의 내용을 인용하였다.
47) 丁聲樹(2005)는 중국어 외래어는 크게 '음역어', '음·의겸역어', '반음역반의역어', '의역 어', '외국어 자모어' 5 가지가 있다. 그래서 한국어의 혼역어는 중국어의 '음의겸역어', '반 음역반의역어'와 대응된다고 간주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