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외래어 교육·학습 효과 검증
4.2. 실험 도구
본 검증 실험에서 사용되는 도구는 사전평가지, 외래어 수업 지도안, 사후 평 가지, 그리고 Excel, SPSS 프로그램이다.
1) 사전평가지
사전 평가의 목적은 실험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교통수단'류, '공간 주택'류, ' 일상생활'류 외래어의 수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 94) 학생들은 부담을 갖고 집에서 공부를 해 올 수도 있기 때문에 공정한 평가를 위하여 학 습자들에게는 차후에 외래어 평가가 있다는 내용은 전혀 공지하지 않았다. (김의숙 (2015:55)의 내용을 참조하였다.)
95) 김의숙(2015:66)의 실험 설치 절차 및 방법을 참조하였다.
1. 알고 있는 외래어가 있으면 중국어로 써 주세요.
모두 몇 개 알고 있습니까?
모두_____개 1. 노래텔:__________________________
2. 고시텔:__________________________
3. 셔틀버스:__________________________
2. 다음 한국어 외래어의 의미를 중국어로 써 보세요. (이미 알고 있는 의미는 알고 있는 대로 쓰고, 모르는 것은 추측해서 쓰세요.)
한국어 외래어 구조 분석 & 의미 버스걸
개인택시 데일리그램
습자 수준의 동일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사전평가지의 질문 유형이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학습자가 제시된 외래어를 보고 그 단어를 안다면 옆 칸에 중국어 로 쓰는 간단한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다른 하나는 학습자의 새로운 단어를 추 측하는 능력에 대한 고찰 내용이다. 단어 추측능력 측정 평가지의 내용은 본설 문지의 문항3의 내용 유형과 비슷하여 이미 알고 있는 의미는 알고 있는 대로 쓰고, 모르는 것은 추측해서 쓰도록 하는 형식으로 진행한다. 『표준국어대사 전』(1999), 『연세한국어사전』(2006), 그리고 인터넷, 신문 방송에서 나타난 교육내용에서 투입하지 않는 외래어 12개를 선택하여 평가지의 질문2 부분의 내용을 만들었다. 또한, 선정된 12개 외래어의 난이도는 수업 시간에 투입한 외 래어의 난이도와 비슷하다. 사전 평가지의 문제 내용 예시는 다음과 같다.96)
<표65> 사전 평가지 문제 내용 예시(1&2)
2) 외래어 수업 진행 방식 및 실험 외래어 목록
본고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수업 방식만 다르고 두 집단의 학생들이
96) 본고에서 사용한 사전 평가지는 '부록2'에서 제시하였다.
의미 부류 실험 외래어 목록 공간 주택
오피스텔, 이노스텔, 노래텔, 고시텔, 리빙텔, 아파스텔, 아파텔, 벤 처텔, 콘도텔, 민텔, 미니텔, 원룸텔, 골프장, 스튜디오, 아파트, 클 럽, 베란다, 캠페인, 컴퓨터실, 코너, 헬스클럽
교통 수단 공항버스, 셔틀버스, 관광버스, 고속버스, 시내버스, 시외버스, 마을 버스, 트럭, 터널, 터미널, 헬기
일상생활 관련어
카톨릭, 마사지, 미팅, 사우나, 인터뷰, 신용카드, 현금카드, 컨디션, 타입, 패션, 마라톤, 팬, 홈 쇼핑, 매너, 벤치, 보너스, 스타일, 에너 지, 유머, 이미지, 콤플렉스, 먹스타그램, 셀스타그램, 웹스타그램, 여행스타그램
공부한 시간은 똑같다. 실험집단은 앞서 제안했던 '조어법 활용의 외래어 교수·
학습 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습 및 활동 단계에서도 의미 망을 활용하거나, 접사나 어근을 이용하여 새로운 단어를 생성하는 활동, 단어의 형태를 분석하여 새로운 단어의 뜻을 추측하는 활동, 그리고 외래어로 대화를 만들도록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활동 등을 진행하기로 한다. 반면에, 통제 집단은 조어법과 의미망을 활용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진행되는 전통 적인 뜻풀이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그리고 학습 활동 또한 단어 쓰기, 받아쓰기, 빈칸 채우기 등 일반적으로 접할 수 있는 학습 활동을 넣었다.
본 실험에 사용된 외래어는 모두 앞서 제시한 '조어법 활용의 외래어 교수·학 습 모형'의 각 의미 부류에 속하는 외래어 목록 중에서 추출하였다. 실험 외래어 목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66> 실험 외래어 목록
3) 사후 평가지97)
앞서 언급하였듯이 사후 평가 단계에서는 장·단기 검증실험과 단어 추측능력 검증실험 두 가지 실험 유형으로 진행한다. 먼저, 장·단기 검증실험 평가지를 살 펴보도록 한다. 외래어 실험 수업을 한 후 학생들이 기억하고 있는 외래어 수, 그리고 외래어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기 위해서 사후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후 평가를 단기와 장기로 나누었다. 단기 실험은 외래어 실험 수 업을 하고 하루가 지난 뒤에 평가를 하는 것이고 장기 평가는 수업을 하고 일주 97) 본고에서 사용한 사후 평가지는 '부록3'에서 제시하였다.
일이 지난 후에 평가를 하는 것이다. 사후 평가는 사전 평가와 실험 외래어 어 휘 목록이 동일하고 사전 평가보다 더 다양한 문제 형태로 바꾸어 제시하였다.
따라서 한 사람마다 사전 평가지, 단기 평가지, 장기 평가지 이렇게 세 가지의 평가지가 부여된다. 장·단기 검증실험 부분의 평가지는 총 20개의 문항으로 구 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문항에 1점을 부여하고자 한다.
다음, '일주일' 뒤 장기 기억 검증실험을 실시하는 동시에 학습자의 단어 추측 능력을 다시 검증한다. 단어 추측능력 검증 평가지는 사전의 추측능력 평가 내 용과 똑같다. 사전과 사후 학습자의 추측능력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추측 정 답률98)'의 수치로 학습자의 추측능력을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