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언어적 원인과 비언어적 원인

Dalam dokumen 비영리-변경금지 2.0 - S-Space (Halaman 131-135)

3. 학습자의 오류 원인 분석

3.2. 언어적 원인과 비언어적 원인

미국 사회언어학자 하임즈(Hymes, 1972)는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언어적 체계 를 아는 언어 능력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사회적 맥락에 맞게 사용할 줄 알아 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의사소통의 도구로 실제적 의사소통 상황에 맞는 기능 을 행할 수 있는 사회적 측면을 강조했다.77) 하임즈(1972)가 의사소통 능력 개념 을 구축한 이래, 이 개념은 외국어 교육학의 핵심 개념이 되었고, 카날레와 스웨 인(M. Canale & M. Swain, 1980), 모리레인드(S. Moirand, 1982) 등 많은 언어 학자들이 이 개념을 언어 교육학적으로 재정립하려 시도하면서 의사소통능력 구 성요소를 제시했는데, 일반적으로 문법적 능력, 사회·문화적 능력, 담화적 능력, 전략적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다.(권종분(2008:136)에서 재인용) 본고의 연구대 상이 외래어 어휘이기 때문에 언어적 측면의 문법적 능력과 비언어적 측면의 사 회·문화적 능력 두 가지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마금선(2012:173)은 '문법 적 능력'과 '사회·문화적 기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문법적 능력은 협의의 언어학적 능력으로 한 언어의 어휘, 음운, 문장 구성, 형태의 요소들을 판별하는 능력과 단어나 문장을 만들기 위해 그것들을 짜 맞추는 능력을 말한 다. 사회·문화적 능력은 언어 사용의 사회·문화적 규칙에 대한 지식으로서, 그 사회 환경의 기준에 맞게 언어를 사용하고 이해하는 능력이다. 외국어를 학습한 다는 것은 다른 나라 언어를 학습한다는 것과 그 나라의 문화를 학습한다는 두 가지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그것은 특정 사회집단에서 통용되는 언어에는 그 집단의 문화가 함양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언어에 함의된 사회·문화적 의미를 자세히,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언어적 원인은 앞서 이미 언급하 였는데 이 부분에서 주로 사회·문화적 원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권종분(2008:145)은 "타 문화권 사람과 상호 행위적인 의사소통 시 그 나라 의 언어를 어느 정도 습득했다 할지라도 이것이 곧 성공적인 의사소통과 상호간

77) Aspect of theory of Syntax(1965)에서 Chomsky는 '언어능력'과 '언어수행'으로 구분했 는데, 언어능력이란 '이상적인 화자-청자'가 전에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새로운 언술들을 무한적으로 생상해내는 내재적 능력으로 정의했는데, Hymes와 같은 사회언어학자들은 Chomsky의 언어능력의 개념은 언어의 사회적 양상을 고려하지 않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문화 항목 오류 예시

한국 대중교통 문항2: 버스-:(관광버스, 공항버스, 고속버스, 셔틀버스) 문항3: 모범택시

한국 카드 결제 문화 문항2: 카드-:(신용카드, 교통카드, 현금카드)

한국의 사이버 문화 문항2:

사이버-:(사이버범죄, 사이버 강좌, 사이버 대학) 인터넷, SNS 문화 문항3: -스타그램:(먹스타그램)

예능 프로그램 문화 문항3: 베커상...

의 이해를 보장할 수 있는 충분한 조건이 못 된다. 나아가 비언어적 기호 또한 언어와 마찬가지로 문화 의존적인 행동양식이기 때문에 습득하지 않으면 안 된

다."라고 말했다. 따라서 외래어를 교육할 때 새로운 언어와 함께 동시에 비언어

적 요소 특히 사회·문화적 요소도 학습해야 한다.

사회·문화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한 오류는 주로 문항2, 3에서 많이 나타났 다. 앞서 제시한 문항2의 각 단어의 오답률을 다시 주목하면 '버스', '카드', '레인 지', '사이버'의 오답률이 가장 높은 이유를 사회·문화적인 측면으로 해석해도 된 다. 문항3에서도 마찬가지로 사회·문화의 배경 지식이 부족하면 일부 외래어의 뜻을 파악하는 데에 어려울 것이다. 이런 단어들이 품고 있는 문화 항목을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표52> 설문지 문항 예시2

문항2에서의 '버스'류 합성형 외래어와 문항3에서 '모범택시'는 모두 대중교통 문화와 관련된 단어들이다. 한국의 대중교통 유형 중 가장 대표적인 교통수단은 바로 '버스 교통' 문화와 '택시 문화'이다. 그리고 한국으로 유학 온 중국인 학생 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교통방식은 역시 '버스', '지하철', '택시' 등이다. 버스 교통수단에는 여러 가지 버스 목록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간선버스, 유람 버스, 광역버스, 시외고속버스 등이 있다. 택시의 종류를 보면, 색깔에 따라 검은

<참여자3과의 인터뷰 자료 발췌>

연구자: '먹스타그램'這個詞是怎麼認識的?('먹스타그램'을 어떻게 알아요? 어디서 배 웠어요?)

참여자3: 以前沒學過,我是自己推測出來的。因為上ins經常看到類似結構的單詞,所以 我推測'먹스타그램'應該也是同樣的構詞方式形成的。(학교에서 안 배웠어요. 저는 추측 했어요. 왜 이렇게 추측해냐면은...인스타그램에서 #부부스타그램#, #여행스타그램#

과 같은 'xx스타그램'의 형식으로 구성된 단어를 자주 봐요. 그래서 혹시 '먹스타그 램'도 마찬가지로 '먹+스타그램'의 형식으로 구성된 단어인가? 이렇게 추측해봤어요.) 색, 노란색, 주황색, 회색 등의 택시 종류가 있고 소속 관계에 따라 모범택시, 개 인택시, 회사택시가 있으며 이밖에도 다인승 택시, 리무진 택시, 밴택시, 장애인 및 노약자용 택시 등이 있다. 그래서 한국의 대중교통 체계에 대한 배경 지식이 없거나 교통문화를 잘 인식하지 못한다면 교통방식을 표현하는 외래어를 이해하 는 데에 어려울 것이다.

한국에서는 '현금'보다 '카드'가 더 많이 편하게 쓰이는 편이고 그 종류도 '버 스카드', '현금카드', '스마트카드', '체크카드' 등처럼 다양하다. 이에 따라 학습자 는 한국에 방문 또는 거주하는 동안 물건을 사고 결제할 때 틀림없이 다양한 ' 카드'류 용어를 접하게 될 것이다. 이런 배경 지식이 없으면 '카드'류 단어를 생 산하거나 새로운 단어를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른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는 SNS문화, 예능 프로그램 문화 등을 접하는 빈도 및 인 식 정도가 외래어를 이해하는 데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SNS를 많이 사용하는 학습자의 경우, '먹스타그램, 셀스타그램, 여행스타그램' 등의 단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반면에, SNS를 잘 사용하지 않고 '인스타그램'을 전혀 모 르는 학습자의 경우, '-스타그램'류의 단어를 모를 수도 있다. '베커상'이라는 단 어도 마찬가지로 예능 프로그램이나 연예계에서 자주 노출된 단어로써 이 단어 를 모르더라도 배경 지식을 가지고 있는 학습자는 배경 지식을 전혀 가지지 않 은 학습자보다 훨씬 더 높은 추측 정답률이 나타났다.

이러한 오류의 원인은 사후 인터뷰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요소 중 감정표현 기능을 잘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야기된 오류 현상도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오류 예시는 '허니잼'이다. 권종분

(2008)은 비언어적 행위를 신체 구성 요소인 신체부위별과 의사소통 행위별로 분류하여 목록화해서 제시했다.78) 본 절에서는 권종분(2008)의 분류를 참고하여 의사소통 행위별에 속하는 '감정표현'만 주목하였다. 권종분(2008)에 의하면 '긍 정적 감정상태', '부정적 감정상택', '신체적 고통', '관심 여부' 등 여러 가지 감정 분류 항목이 있다. '허니잼'이라는 단어는 '매우 재미있다'라는 뜻을 가진 '꿀잼' 의 앞부분 '꿀'을 영어 'honey'로 변환한 신조 외래어이다. 그래서 이 단어는 아 주 기쁨의 긍정적인 감정상태가 담겨 있다. 비언어적 원인뿐 아니라 한국어의 준말을 잘 인식하지 못한다면 '허니잼'을 이해할 때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요새 한국어에서는 새로운 준말, 은어, 조어를 만들어 내는 추세가 나타난다. 또한 한 국은 일상생활에서 발음상의 편의성을 추구하기 위해 '재미'보다 '잼'을 더 많이 쓴다. 중국인 학습자는 '재미'의 줄임말 '잼'이라는 형태를 잘 몰라서 '허니잼'의 구조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없고 뜻도 알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단어 로는 '예스잼'이 있다. '예스잼'은 '예스(yes)+잼(재미)'을 합친 말인데 긍정적인 감정표현의 뜻이다. 반면에, '예스잼'의 반대말 '노잼'의 경우 부정적인 감정표현 이 나타난다. 그래서 학습자는 이와 같은 외래어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감 정표현 단어에 대한 배경 지식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허니잼'이라는 단어를 배 울 때 연관성이 있는 '예스잼', '꿀잼', '노잼' 등 여러 가지 감정표현 단어와 함께 비교하면서 학습하는 게 더 효과적이다. 이렇듯 학습자의 오류 원인이 단순히 한 가지라고 단정할 수 없고 여러 가지 원인이 함께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 가 많기 때문에 오류 세트 형식으로 판단하면 더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앞에서 발견하였듯이 참여자의 한국 거주 기간이 참여자의 외래어에 대한 이 해 능력과 많은 연관성이 있다. 한국 거주 기간이 길수록 한국의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 능력이 자연스럽게 높아질 것이기 때문에 외래어의 이해 능력도 향상 될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한국 문화를 직접 접할 기회가 없고 중국에서 한국어 를 공부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외래어 교육할 때, 비언어적 요소와 언어적 요 소를 함께 제시하고 교육하면 더 효과적이다. 교재의 외래어 제시 부분에서도 마찬가지로 삽화, 그림 등을 통해 문화적 측면이든 의사소통상황 측면이든 비언 78) 신체부위를 크게 머리, 얼굴, 손, 손과 얼굴, 손과 몸, 팔, 머리, 얼굴과 손, 몸으로 분류 했다. 의사소통행위별로 분류하면 '표상부호(최고, 우두머리, 침목요청, 약속, 긍정, 부정)', '삽화적 부호(강조+제안, 의문, 지시, 동작행위, 모욕, 설명...)', '규제부호(거부, 거절, 동 의, 발언권요청)', '조정부호(인사)', '감정표현' 등이 있다.

Dalam dokumen 비영리-변경금지 2.0 - S-Space (Halaman 131-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