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외래어 의미에 대해 설명

Dalam dokumen 비영리-변경금지 2.0 - S-Space (Halaman 154-157)

2. 한국어 외래어 교육의 내용

2.4. 외래어 의미에 대해 설명

게 오류를 범하는 외래어들에 대해서 수업 시간에 교사가 특별히 강조해야 한 다. 또한, 중국인 학습자에게 구별이 잘 안 되는 모음 'ㅏ'와 'ㅗ', 'ㅔ'와 'ㅐ', 자 음 중의 경음과 평음 등이 들어가는 외래어인 경우, 해당 외래어의 발음을 강조 해야 한다.

예) cake 케이크: 서양식 빵, 과자 ⤑ (주로) 원형식 케이크 (4) 의미향상(상승): 의미 가치가 향상하는 경우

예) fashion 패션: 유행 ⤑ 고급 유행복

(5) 의미타락(하락): 의미 가치가 타락하는 경우 예) madam 마담: 귀부인 ⤑ 유흥업 여주인

심훼(2012)에서는 최명숙(1997)87)의 심리적 요인, 언어의 요인, 사회적 요인 에 근거하여 외래어 수용 과정에서 의미가 분화되거나 통합하게 된다고 설명했 다. 의미의 분화와 통합을 통한 외래어의 의미변화는 의미의 '축약', '확대'의 방 식으로 나타난다. 의미변화는 의미 영역의 변화 이외에도 의미 감각의 변화로도 이루어진다. 의미 감각의 변화는 의미의 '향상(向上)'과 의미의 '비하(卑下)'로 분류할 수 있다. 심훼(2012)에서 제시했던 외래어 의미변화의 유형 및 예시를 참고하여 다시 정리하면 다음 내용과 같다.

(1) 의미의 확대

의미의 확대는 의미 축약의 경우와 대조되는 현상으로 외래어가 갖고 있던 의 미 영역이 확대되는 경우를 말한다. 즉 외래어가 유래될 때 원어가 지니고 있지 않은 의미까지 부여되어 수용되는 경우에 의미의 확대가 일어났다고 할 수 있 다. 한국어 외래어 중 대표적인 의미 확대의 예시는 'word-워드'이다. 'Word'는 영어에서의 뜻이 주로 '말, 낱말, 이야기'로 쓰이고 있다. 반면에, 한국어와 중국 어에서는 'Microsoft Office Word'의 준말로서 문서를 작성하는 프로그램으로

심리적 요인

①구체적인 한 사물을 형태나 기능이 비슷한 다른 사물에 적용시키면서 의 미변화를 하는 경우.

②구체적인 한 사실이나 사물을 유사한 개념에 적용시켜 의미 변화를 하는 경우.

언어의 요인

③음운의 생략이나 음운 변화를 통한 의미 변화.

④수용 경로의 차이로 인한 의미의 차이.

⑤환유에 의한 의미 변화.

⑥의미의 불확실성이나 잘못 분석함으로서 오게 되는 의미 변화.

⑦유연성의 상실로 인한 의미 변화.

사회적 요인

⑧사회 계층에 의한 의미 변화.

⑨사회 변천에 의한 의미 변화.

87) 최명숙(1997:23-27)의 내용을 참조하였다.

쓰인다. 특히, 한국어에서 '워드'는 문서를 작성하는 모든 프로그램을 모두 포괄 하는 용어로서 원어의 의미 영역보다 그 범위가 넓어진 의미 확대가 일어난 외 래어이다. 그리고 'leisure-여가'도 마찬가지로, 영어의 'leisure'는 명사로서 '여 가'라는 뜻이 하나 밖에 없다. 그러나 한국어 '레저'에는 '일이나 공부 따위를 하 지 않아도 되는 자유로운 시간'이라는 뜻 외에 '그 시간을 이용하여 쉬거나 노는 일'까지도 포함된다. 그래서 '시간'과 '활동'의 뜻을 모두 포함한 한국어 '레저'는 '시간'의 뜻만을 포함한 영어 원어 'leisure'보다 그 의미 범위가 확대되었다.

(2) 의미의 축소

의미 축소 현상이 나타난 대표적인 한국어 외래어는 '노트북'이다. 'notebook' 은 영어에 '공책'과 '노트북 컴퓨터'라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이와 대응되는 중 국어 '筆記本'은 영어 원어의 의미와 같다. 그러나 한국어의 '노트북'은 '노트북 컴퓨터'의 의미만 차용되었고 '공책'의 뜻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단어는 의미의 축소 현상이 일어났다고 볼 수 있다.

똑같은 외래어인데 중국어에서는 의미가 축소되고 한국어에서는 의미 변화가 없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영어 'shock'는 주로 의학 전문용어인 '쇼크'의 뜻 과 '충격'이라는 뜻 두 가지가 있다. 한국어에는 영어와 마찬가지로 똑같이 두 가지 의미가 있다. 그러나 중국어 '休克'는 의학용어로만 쓰고 있기 때문에 의미 범위의 축소가 일어났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한·중 외래어의 의미 범위가 차이 가 나타나면 교수·학습할 때 교사가 일부러 강조할 필요가 있다.

(3) 의미의 향상

의미의 향상은 외래어가 사회적으로 동화되어 쓰일 때 그 의미의 가치가 높아 져 사용되는 경우를 말한다. 원경희(2006:43-44)에서는 의미 향상의 원인을 다 음과 같이 언급했다.

첫째, 처음 차용 당시의 사회문화가 사회 변천으로 인하여 가치관이 상승됨으 로써 사회적인 통념이 변화되어 본래의 의미에서 상승되어 나타난다.

둘째, 외래어에 사용되는 대상 자체가 고급화됨으로써 그 의미가 상승한다.

셋째, 단어를 좋은 일에 계속 적용시킴으로써 상승한다.

넷째, 완곡법을 사용하여 고유어로 표시하면 감정적으로 불편한 상황에서 외

래어를 사용함으로써 외래어의 의미가 상대적으로 고유어보다 상승된다.

'drive'는 동사로서 '물다, 운전하다; 태워다 주다; 만들다; 추진시키다' 등 뜻이 있는데, 한국어에서 '드라이브'는 '기분 전환을 위하여 자동차를 타고 다니는 일' 로 그 의미가 향상되었다. 'mini'의 뜻은 '미니의, 아주 작은, 소형의'인데, 중국어 에서는 작고 귀엽고 사람을 유혹할 수 있는 능력의 의미로 쓰이고 있다.

위의 제시한 예시처럼 외래어는 기본적인 의미 외에 긍정적인 의미가 부여되 는데 의미 가치가 상승되어 의미의 감정색채가 포의적인 방향으로 변화할 때 의 미 향상이라고 간주한다.

(4) 의미의 비하

의미의 향상과 반대인 비하 향상이 외래어에서도 많이 존재한다. 'shopping'은 영어와 한국어에 다 물건 사기의 뜻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어 '血拼'은 장보기의 뜻도 포함되어 있지만, '미친 듯이 물건을 사기, 스트레스 풀기 위해 무작정 쇼핑하기, 충동구매' 등 부정적인 의미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요즘 '血拼 族(쇼핑족)', '血拼狂人(쇼핑광인)' 등 부정적인 뜻을 담고 있는 표현도 나타나게 되었다.

위의 제시한 예시처럼 영어가 한국이나 중국에서 들어온 후 자기 나라의 문화 의 영향을 받고 사람의 감정을 포함시키는 과정에서 원어 의미의 감정색채가 달 라진다.

앞에서 제시한 의미 대조 부분을 통하여 의미 범위이든지 의미 감정 색채이든 지 한국어 외래어와 중국어 외래어의 의미가 같은 방향으로 모두 변한 어휘도 있고 한 가지 어종의 외래어 의미만 변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그 의미 변화의 양상이 매우 복잡하다. 뿐만 아니라 의미 변화는 각 나라의 문화, 사회, 경제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중국인 학습자한테는 낯선 한국 외래어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런 외래어를 가르칠 때 교사는 의미 측면 에서 학생이 해당 외래어를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특별히 강조해야 한다.

Dalam dokumen 비영리-변경금지 2.0 - S-Space (Halaman 154-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