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난 이후 생존을 위한 북한 주민들의 일상생활 양식의 변화는 다양한 양상으로 들 어나고 있다
.
북한 중앙권력이 다수 노동계층의 생존을 책임지지 못하면서, 노동계층 내 일상생활의 이질성이 강화되었고, 동시에 식량난 이전과 다른 노동계층의 일상생활 양식 이 자리 잡게 된 것이다.구체적으로 2000년대 북한 노동계층의 일상생활 양식을 이해하기 위한 주요 키워드는
‘비법’, ‘생존 ’, ‘일당’, ‘브로커 ’
이다.그 주요 특징은 첫째,
정상 노동생활의 주변화, 둘째, 비공식적 생존시스템 작동, 셋째, 일당과 주변 직업, 넷째, 자생적 노동시장 형성이다.이러한 4대 특징은 고난의 행군을 경유한 후 북한 체제가 지역의 각 단위별 노동조직
운영을 관장할 수 없게 되면서, 중앙권력의 암묵적 묵인과 아래로부터의 생존전략이 어 우러져 이루어지고 있는,생계해결을 위한 노동조직 운영과 하층관료의 자율성이 증대된 것과 맞물려 있다.
북한의 각 노동단위와 개인들의 비공식적 생존시스템이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
그리고 이 속에서 다양한 노동양상이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노동시장 또한 팽창되고 있다.그 과정에서 사회적 자본 및 능력에 따른 노동계층 분화가 이루어졌다. 노동자와 농민 등 노동계층 내부에서도 상류층
‧중류층‧하류층으로 계층의 분화가 일어난 것이다.
북한의 노동계층들은 고난의 행군시기를 경유하며 돈이 단순한 생존뿐 아니라 나와 가족이 잘살고 발전할 수 있는 수단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
그리고 사유재산의 규 모에 따라 북한노동 계층 내부의 생활수준 별 계층화가 이루어지고,
더 나은 생활을 향 한 욕구가 증대되었다.
이 같은 욕구를 증폭시킨 외적 계기는 생존을 위한 이동의 증대 와 정보 입수 및 교류이고,
이 흐름에 따라 개혁개방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결론적으로 사회적 자본 및 이의 유용능력, 그리고 개인별 생산성 정도에 따라 집단사 회의 균열이 초래되고 있으며
,
생활수준 및 사유재산의 규모에 따른 상‧중‧하로의 분화,
그리고 일상의 불평등이 북한 노동계층의 생활양식에서 중요한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다.한 사회에 대한 ‘아래로부터의 총체적 인식’은 구성원 다수를 차지하는 노동계층의 일 상생활 양식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한다.사람들 속의 지속적이고 끊임없는 사회갈등은
‘일상생활의 갈등’으로부터 발생하기 때문이다.
개인들이 일상생활을 꾸려가는 행위와규범은 개별적으로 보면 상호 이질적이다.그러나 그들의 행위와 규범이 한 사회공간에 서 발현되는 것이기에 동질성과 객관화의 가능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17)
한 국가 내 주민들의 일상생활 양식의 변화와 관련하여, 하버마스(J. Habermas)는 국가기구의 행정적인 하위체계가 거대해지고 복잡해지면서 일상생활을 침식하는 양상을 국가에 의한 “생활세계의 식민화”라고 정의한다.하버마스는 생활세계의 식민화라는 명 제로 일차적으로 서구의 후기자본주의를 비판하였고
,
이후 현존 사회주의 사회 즉, 국유 화된 생산수단과 제도화된 일당지배를 바탕으로 정치-행정 체계가 비대해진 사회에서
벌어지는 생활양식의 식민화를 비판하였다.18)그러나 비대해진 국가기구의 통제에 의해 모든 일상생활 양식이 침식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복잡하고 다양한 일상생활은 획일화될 수 없기 때문이다.사회의 모든 구조적
17) Agnes Heller, “Everyday Life”(Routledge and Kegan Paul, 1984),박재환 역, 일상생활의 사회학 (서울: 한울), p. 376.
18) J. Habermas, Theorie des kommunikativen Handelns(Frankfurt a. M., 1981), 강수택 역, 일상생활의 패러다임 (서울: 민음사, 1998). p. 268-272.
특징은 상호 필연적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개인은 자신으로부터 독립되어 있는 세계, 즉 구체적 사회관계와 강제되는 체계
‧제도들 속에서 태어나며 성장한다.
이러한 강제는 전통과 습속을 통해 전승되기도 한다. 그러나 동시에 개인은 자신의 주변세계를 형성하 며 재구성하기도 한다.따라서 한 사회의 거시 구조의 변화에 앞서 미시적인 생활양식의 변화가 편재되는 것이다.
헬러의 사회주의 연구에 따르면, 사회주의 국가권력은 물질적이며 사회적인 통제를 통해 일상인의 생활을 소외시켰다. 그러나 소비에트식 지배체제는 이질적인 일상인의 생활세계를 완전히 장악하지는 못하였다. 그 원인 중 하나는 일상생활의 이질성 때문이 며, 또 다른 하나는 사회구성체의 재생산에서 외연적인 단계로부터 내포적인 단계에로 의 이행을 사회주의 국가기구가 사회경제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이 부재했기 때문 이다
.
19)이 같은 한 체제의 내포적 발전능력의 부재는 결국 일상생활의 변화를 초래했다
.
그 결과가 소비에트연방 및 동유럽의 체제이행과 중국 및 베트남의 체제변형의 내적 원인 이 된, 20세기 사회주의 국가 구성원들의 ‘경제위기에 대응하면서 발전한 일상생활 양식 의 변화’이다.북한 사회의 경우에도 체제의 내포적 발전을 이루지 못하면서 식량난으로 드러난 경제위기를 경험하였으며, 아직도 그 위기의 연장선에 있다.따라서 생존을 위한 북한 주민들의 일상생활 양식의 변화는 다양한 양상으로 들어나 고 있다
.
즉, 북한 중앙권력이 다수 노동계층의 생존을 책임지지 못하면서, 북한 노동계 층 내 일상생활의 이질성이 강화되었고, 동시에 식량난 이전과 다른 2000년대 북한 노동 자들의 노동일상이 자리 잡게 된 것이다.<참고문헌>
김일성 저작집 , 김정일 선집
사회과학원 주체경제학 연구소, 경제사전1-2권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85) 정치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3)
강수택, 일상생활의 패러다임 (서울: 민음사, 1998)
고유환 엮음, 로동신문을 통해 본 북한의 변화 (서울: 선인, 2006)
19) A. Heller, Der sowjetisch Weg(Hamburg: VSA Verlag, 1983),강수택, 위의 책, pp. 84-85.
p. 274.
김귀옥 외, 북한 여성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서울: 당대, 2000)
김병로‧김성철, 북한사회의 불평등 구조와 정치사회적 함의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8) 김승철, 북한동포들의 생활문화양식과 마지막 희망 (서울: 자료원, 2000)
동국대학교 북한일상생활연구센터, 북한 일상생활연구의 접근방법 모색 제1회 북한 일상생활 연구 학술회의 자료집, 2008
마페졸리 & 르페브르 외 저‧박재환 외 편, 일상생활의 사회학 (서울: 한울, 2002) 미셸 푸코 저‧박정자 역,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서울: 동문선, 1997)
박영자, 북한의 근대화 과정과 여성의 역할(1945-80년대):공장과 가정의 정치사회와 여성노동 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정치학 박사학위논문, 2004)
박영자, “북한 일상생활의 식민화와 탈식민화”, 통일문제연구 겨울호 (서울: 평화문제연구소, 2004)
박영자, “북한의 생체정치”, 현대북한연구 (서울: 경남대 북한대학원대학교, 2005a)
박영자, “북한 지방정권기관의 구조와 운영실태: 중앙권력의 이중통제 지속과 아래로부터의 변화”, 한국정치학회보 (서울: 한국정치학회, 2005b)
박재환 역, 일상생활의 사회학 (서울: 한울)
박현선, 현대 북한사회와 가족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3) 박형중, 북한의 경제관리 체계 (서울: 해남, 2002)
박형중‧정세진, “고난의 행군과 북한주민의 일상생활 변화”, 민화협 정책위원회 편, 북한주민의 일상생활과 대중문화 (서울: 오름, 2003)
서재진, 7‧1조치 이후 북한의 체제 변화:아래로부터의 시장사회주의화 개혁 (서울:통일연구원,
2004)
서재진, 또 하나의 북한사회: 사회 구조와 사회의식의 이중성 연구 (서울: 나남, 1995) 서재진‧조한범‧장경섭‧유팔무, 사회주의 지배엘리트와 체제변화 (서울: 생각의 나무, 1999)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 엮음, 북한의 사회문화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6)
안병직(1998), 「일상의 역사란 무엇인가」, 안병직 편, 오늘의 역사학 , 한겨레신문사.
알프 뤼트케 외 저‧이동기 외 역, 일상사란 무엇인가 (서울: 청년사, 2002) 앙리 르페브르 저‧박정자 역, 현대세계의 일상성 (서울: 主流‧一念, 1995) 양문수, 북한의 노동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7)
여성한국사회연구소 편, 북한여성들의 삶과 꿈 (서울: 사회문화연구소, 2001) 이기춘 외, 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임순희, 식량난과 북한여성의 역할 및 의식변화 (서울: 통일연구원, 2004).
조정아, 경제난 이후 북한 문학에 나타난 주민생활 변화 (서울: 통일연구원, 2006) 조정아, 북한의 작업장 문화: 순응과 저항의 스펙트럼 (서울: 통일연구원, 2005) 좋은 벗들, 북한 사회 무엇이 변하고 있는가 (서울: 정토출판, 2001)
좋은 벗들, 북한사람들이 말하는 북한이야기 (서울: 정토출판, 2000)
좋은 벗들, 사람답게 살고 싶소 (서울: 정토출판, 1999)
주강현, 북한의 우리식 문화: ‘우리식 문화’를 알아야 북한이 보인다 (서울: 당대, 2000) 최완규 외, 북한 도시의 의식과 변화: 청진, 신의주, 혜산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6) 최완규 외, 북한 도시의 형성과 발전: 청진, 신의주, 혜산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4) Andrle. Vladimire, Workers in Stalin’s Russia : Industrialization and Social Changing a
Planned Economy, New York: St. Martin’s Press, 1988.
Anne Phillips, Universal P retensions in P olitical Thought, in M. Barrett & A. Phillips (eds), Destabilizing Theory: Contemporary Feminist Debates, Polity Press:
1992.
Burawoy. Michael, The P olitics of P roduction: Factory Regime Under Capitalism and Socialism, London: Verso, 1985.
C. Offe, Industry and Inequality, London: Edward Arnold, 1976.
Charles K. Armstrong, The North Korean Revolution, 1945-1950, New York: Cornell Univ., 2003.
Charles Tilly, Coercion, Capital and European States, A.D. 990~1990, Oxford:
Blackwell, 1990.
E. Balibar, Culture and Identity in John Rajchman(ed.), The Identity in Question, London: Routledge, 1995.
Eberstadt & Banister, North Korea: Population Trends and Prospects, Center for International Research U. S. Bureau of the Census Washington. D. C: 1990.
Eberstadt & Banister, The Population of North Korea,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1992.
Elsenhans. Hartmut, Equality and Development, Bangladesh: 1992.
Eric Hobsbawm, Nations and Nationalism Since 1780, Cambridge: Cambridge Univ., 1990.
Filtzer. Donald, Soviet workers and De-Stalinization, New York: Cambridge Univ., Press, 1992.
Filtzer. Donald, Soviet workers and Stalinist industrialization, London: Pluto Press, 1986.
Gerschenkron. A, Economic Backwardness in Historical Pespective, Cambridge: The Belknad Press of Harvard Univ. Press, 1962.
Herbert Hirsh, Genocide and the Political of Memory: Studying Death to Preserve Life, Chapel Hill & Lonon: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995.
Hiroaki Kuromiya, Political Youth Opposition in Late Stalinism, Europe-Asia Studies, vol. 55, no. 4, 2003.
J. Coleman, Social Theory, Social Research, and a Theory of Action, American J ournal of Sociology 91,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