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교사조정자 신뢰의 조절효과

(1) 교사조정자 태도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규범문화배경이 교사조정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교사조 정자에 대한 태도 기반 신뢰(이하, 교사 태도 기반 신뢰)가 갖는 조절효과 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표 Ⅳ-12]).

독립변인 1단계 2단계 3단계

회귀계수 t 값 회귀계수 t 값 회귀계수 t 값

상수 3.884 184.978 3.884 304.139 3.885 304.381 계층주의 0.148 6.954*** 0.132 10.239*** 0.133 10.360***

개인주의 -0.063 -2.966** -0.049 -3.791*** -0.049 -3.817***

평등주의 -0.069 -3.197*** -0.091 -6.957*** -0.092 -7.056***

운명주의 0.040 1.839 0.010 0.797 0.015 1.120

태도기반 0.342 26.606*** 0.340 26.173***

계층주의

x태도기반 -0.021 -1.558

개인주의 -0.009 -0.747

[표 Ⅳ-12] 교사조정자 태도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1단계에서는 독립변인인 규범문화배경을 투입하였고, 2단계에서는 조절 변인인 교사 태도 기반 신뢰를 투입하였다. 3단계에서는 독립변인과 조절 변인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였다. 모형의 유의성 분석 결과 1단계 모형 (F=17.973, p<.001), 2단계 모형(F=707.899, p<.001), 3단계 모형(F=2.338, p<.05)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단계에서 교 사 태도 기반 신뢰의 추가 투입에 따라 53.8%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 이는 교사 태도 기반 신뢰가 높아질수록 교사조정 참여의지가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짐을 의미한다(B=0.342, p<.001). 3단계에서는 상 호작용항의 추가 투입에 따라 설명력이 0.7%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 즉, 교사 태도 기반 신뢰는 규범문화배경(평등주의)이 교사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한다고 할 수 있다.

교사 태도 기반 신뢰는 계층주의(B=-0.021, p>0.05), 개인주의(B=-0.009, p>0.05), 운명주의(B=-0.017, p>0.05)에 대해서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 내지 않았다. 반면, 평등주의(B=0.024, p<.05)에 대해서는 유의한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즉, 교사 태도 기반 신뢰는 평등주의가 교사조정 참 여의지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을 정(+)적으로 조절하였다.

[그림 Ⅳ-4]는 교사 태도 기반 신뢰와 평등주의의 수준을 고, 저집단으 로 구분하여 각 수준에서의 교사조정 참여의지를 표현한 그래프이다.

x태도기반 평등주의

x태도기반 0.024 1.942*

운명주의

x태도기반 -0.017 -1.328

모형통계량 ∆R2 ∆F ∆R2 ∆F ∆R2 ∆F

0.148 17.973*** 0.538 707.899*** 0.007 2.338*

* p<.05, ** p<.01, *** p<.001

[그림 Ⅳ-4]

평등주의와 교사조정 참여의지의 관계에서 교사조정자 태도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평등주의 수준이 높고 낮음에 상 관없이 교사 태도 기반 신뢰가 높은 청소년(실선)의 교사조정 참여의지는 교사 태도 기반 신뢰가 낮은 청소년(점선)보다 높게 나타났다. 평등주의 성향이 강한(+1) 경우에도 여전히 교사 태도 기반 신뢰가 높은 집단이 낮 은 집단보다 교사조정 참여의지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교사 태도 기반 신뢰가 교사조정 참여의지에 매우 긍정적인 주효과를 가짐을 의미한다.

둘째, 평등주의 성향이 약하면서 교사 태도 기반 신뢰가 높을 때 교사 조정 참여의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편, 평등주의 성향이 강하면서 교 사 태도 기반 신뢰가 낮을 때 교사조정 참여의지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평등주의 성향의 수준을 구분하지 않았을 때는 평등주의 성향이 강해질수록 교사조정 참여의지가 전반적으로 감소한다. 그런데 평등주의 성향의 수준과 교사 태도 기반 신뢰의 수준을 고, 저집단으로 구분해보면 교사 태도 기반 신뢰가 높은 청소년들(기울기=-0.068)은 낮은 청소년들(기 울기=-0.116)에 비해 평등주의 성향이 강해지더라도 교사조정 참여의지가 작은 폭으로 감소한다. 반면, 교사 태도 기반 신뢰가 낮은 청소년들은 높 은 청소년들에 비해 평등주의 성향이 강해짐에 따라 교사조정 참여의지가 큰 폭으로 감소한다. 즉, 평등주의 성향이 강할수록 교사조정 참여의지가 하락하는데, 이에 대해 교사 태도 기반 신뢰가 강할수록 완화 효과가 나 타난다. 다시 말하면, 평등주의 성향이 강하더라도 교사 태도 기반 신뢰

수준이 높다면 교사조정 참여의지의 감소폭이 작아지는 것이다. 하지만 평등주의 성향이 강하고 교사 태도 기반 신뢰 수준이 낮다면 교사조정 참 여의지는 큰 폭으로 감소한다고 할 수 있다.

(2) 교사조정자 소통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규범문화배경이 교사조정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교사조 정자에 대한 소통 기반 신뢰(이하, 교사 소통 기반 신뢰)가 갖는 조절효과 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표 Ⅳ-13]).

1단계에서는 독립변인인 규범문화배경을 투입하였고, 2단계에서는 조절 변인인 교사 소통 기반 신뢰를 투입하였다. 3단계에서는 독립변인과 조절 변인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였다. 모형의 유의성 분석 결과 1단계 모형 (F=17.973, p<.001), 2단계 모형(F=989.607, p<.001), 3단계 모형(F=2.616, p<.05)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단계에서 교

독립변인 1단계 2단계 3단계

회귀계수 t 값 회귀계수 t 값 회귀계수 t 값

상수 3.884 184.978 3.884 340.187 3.882 332.643 계층주의 0.148 6.954*** 0.171 14.761*** 0.174 15.016***

개인주의 -0.063 -2.966** -0.143 -12.090*** -0.144 -12.082***

평등주의 -0.069 -3.197*** -0.040 -3.450*** -0.041 -3.493***

운명주의 0.040 1.839 0.011 0.908 0.011 0.918

소통기반 0.371 31.458*** 0.373 30.747***

계층주의

x소통기반 -0.075 -2.936**

개인주의

x소통기반 -0.004 -0.376

평등주의

x소통기반 0.003 0.269

운명주의

x소통기반 0.017 1.319

모형통계량 ∆R2 ∆F ∆R2 ∆F ∆R2 ∆F 0.148 17.973*** 0.601 989.607*** 0.006 2.616*

* p<.05, ** p<.01, *** p<.001

[표 Ⅳ-13] 교사조정자 소통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사 태도 기반 신뢰의 추가 투입에 따라 60.1%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 이는 교사 소통 기반 신뢰가 높아질수록 교사조정 참여의지가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함을 의미한다(B=0.371, p<.001). 마지막 3단계에 서는 상호작용항의 추가 투입에 따라 설명력이 0.6% 통계적으로 유의하 게 증가하였다. 즉, 교사 소통 기반 신뢰가 규범문화배경(계층주의)과 교 사조정 참여의지 간의 영향 관계를 조절한다고 할 수 있다.

개별 상호작용항을 살펴보면 교사 소통 기반 신뢰는 계층주의가 교사 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부(-)적으로 유의하게 조절하였 다(B=-0.075, p<.01). 반면, 개인주의(B=-0.004, p>0.05), 평등주의(B=0.003, p>0.05), 운명주의(B=0.017, p>0.05)에 대한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교사 소통 기반 신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조절효과를 보인 계층주의에 대해 살펴보았다(B=-0.075, p<.01). 이 결과 역시 해석에 주의 가 필요하다. 이를 단순히 계층주의 성향이 교사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교사 소통 기반 신뢰가 감소시키므로 교사 소통 기반 신 뢰를 증진해서는 안 된다고 해석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해석보다는 교 사 소통 기반 신뢰의 주효과와 높고 낮음, 계층주의 성향의 높고 낮음에 주목해서 구체적으로 해석해야 한다.

[그림 Ⅳ-5]는 교사 소통 기반 신뢰와 계층주의의 수준을 고, 저집단으 로 구분하여 각 수준에서의 교사조정 참여의지를 표현한 그래프이다.

[그림 Ⅳ-5]

계층주의와 교사조정 참여의지의 관계에서 교사조정자 소통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계층주의 수준이 높고 낮음에 상관없 이 교사 소통 기반 신뢰가 낮은 청소년(점선)보다 높은 청소년(실선)의 교 사조정 참여의지가 더 높게 나타났다. 즉, 교사 소통 기반 신뢰는 교사조 정 참여의지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주효과를 갖는다.

둘째, 교사조정 참여의지가 가장 높은 경우는 계층주의 성향이 강하면 서(+1) 교사 소통 기반 신뢰도 높은 경우이다. 반면, 교사조정 참여의지가 가장 낮은 경우는 계층주의 성향이 약하면서(-1) 교사 소통 기반 신뢰도 낮은 경우이다.

셋째, 계층주의 성향이 강할수록 교사조정 참여의지는 증가하는데, 교 사 소통 기반 신뢰가 높은 청소년(기울기=0.099)보다 낮은 청소년(기울기

=0.249)일수록 교사조정 참여의지의 증가 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 소통 기반 신뢰 수준이 높은 집단보다 낮은 집단일수록 정(+)의 조절효과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계층주의 성향을 가지면서 동 시에 교사 소통 기반 신뢰 수준이 낮은 청소년들의 교사 소통 기반 신뢰 수준을 높여준다면 이들의 교사조정 참여의지를 큰 폭으로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3) 교사조정자 동일시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규범문화배경이 교사조정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교사조 정자에 대한 동일시 기반 신뢰(이하, 교사 동일시 기반 신뢰)가 갖는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표 Ⅳ-14]).

독립변인 1단계 2단계 3단계

회귀계수 t 값 회귀계수 t 값 회귀계수 t 값

상수 3.884 184.978 3.884 258.957 3.887 247.032 계층주의 0.148 6.954*** 0.131 8.624*** 0.131 8.340***

개인주의 -0.063 -2.966** -0.058 -3.857*** -0.060 -3.955***

평등주의 -0.069 -3.197*** -0.154 -9.698*** -0.152 -9.339***

운명주의 0.040 1.839 0.020 1.287 0.025 1.599

동일시기반 0.312 19.983*** 0.307 19.043***

[표 Ⅳ-14] 교사조정자 동일시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1단계에서는 독립변인인 규범문화배경을 투입하였고, 2단계에서는 조절 변인인 교사 동일시 기반 신뢰를 투입하였다. 3단계에서는 독립변인과 조 절변인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였다. 모형의 유의성 분석 결과 1단계 모형 (F=17.973, p<.001), 2단계 모형(F=399.327, p<.001), 3단계 모형(F=2.324, p<.05)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단계에서 교 사 동일시 기반 신뢰의 추가 투입에 따라 41.8% 증가하였다. 이는 교사 동일시 기반 신뢰가 높아질수록 교사조정 참여의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 게 증가함을 의미한다(B=0.312, p<.001). 3단계에서는 상호작용항의 추가 투입에 따라 설명력이 0.7%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즉, 교사 동일시 기반 신뢰가 규범문화배경(계층주의, 평등주의)과 교사조정 참여의 지 간의 영향 관계를 조절한다고 할 수 있다.

각 상호작용항을 살펴보면 교사 동일시 기반 신뢰는 계층주의 (B=-0.047, p<.05), 평등주의(B=-0.037, p<.05)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즉, 교사 동일시 기반 신뢰는 계층주의가 교사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부(-)적으로 조절하고, 평등 주의가 교사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부(-)의 영향을 부(-)적으로 조절한 다고 할 수 있다. 개인주의(B=0.009, p>0.05), 운명주의(B=0.000, p>0.05)에 대한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교사 동일시 기반 신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낸 계층 주의와 평등주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교사 동일시 기반 신뢰는 계층 주의가 교사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을 부(-)적으로 조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0.047, p<.05). 그런데 이 결과를 계층주의 성향

계층주의

x동일시기반 -0.047 -1.956*

개인주의

x동일시기반 0.009 0.564

평등주의

x동일시기반 -0.037 -1.970*

운명주의

x동일시기반 0.000 -0.010

모형통계량 ∆R2 ∆F ∆R2 ∆F ∆R2 ∆F 0.148 17.973*** 0.418 399.327*** 0.007 2.324*

* p<.05, ** p<.01, *** 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