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조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본격적인 분석에 앞서 조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먼 저, 조사 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 추 출방법으로는 주성분 분석을 사용하였고 직교회전(varimax rotation)을 적 용하였다. 하나의 문항이 요인에 미치는 영향도를 의미하는 요인적재값의 일반적인 유의성 판단 기준인 0.5를 기준으로 하여 요인적재값이 0.5보다 낮은 문항은 제외한 후 재구성을 통해 요인을 추출하였다. 요인분석에 사 용된 표본들의 적합도와 각 변인 간의 독립성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KMO(Kaiser-Meyer-Olkin)와 Bartlett 구형성 검정을 활용하였다. 요인분 석 후 Cronbach (알파) 값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신뢰 도는 Cronbach  값의 일반적인 신뢰도 평가 기준인 0.7을 기준으로 그

신 뢰

교사 조정자

태도기반 Ⅲ-1, 5, 9, 12, 16

소통기반 Ⅲ-2, 6, 10, 13

동일시기반 Ⅲ-3, 7, 14

역량기반 Ⅲ-4, 8, 11, 15

조정 참여의지

또래조정 Ⅳ-1, 2, 3, 4

교사조정 Ⅴ-1, 2, 3, 4

성별 - 남자 또는 여자 Ⅵ-1

학년 - 중학교 1학년, 2학년, 3학년 Ⅵ-2

성적

- 아주 잘 하지 못한다. / 그다지 잘하지 못한다. / 중간이다. / 그럭저럭 잘 하는 편이다. / 아 주 잘 하는 편이다.

Ⅵ-3

경제적 배경

- 생계가 걱정되는 상황이다. / 친구들보다 약간 가난한 편이 다. / 먹고 사는데 걱정은 없 다. /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다.

/ 잘 모르겠다.

Ⅵ-4

평소 또래갈등 수준 - 매우 많이 경험한다. / 보통이

다. / 거의 경험하지 않는다. Ⅵ-5 갈등해결 절차 참여 경험 - 없다 / 1번 참가 / 2번 이상 참가 Ⅵ-6

이상일 경우 허용할만한 수준이라고 평가하였다(Nunnally, 1970).

(1) 규범문화배경 분석 결과

규범문화배경 조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결과는 [표 Ⅲ-4]와 같 다. 16개의 규범문화배경 측정 문항들 중 요인적재값이 유의성 판단 기준 인 0.5보다 낮게 나온 계층주의 한 문항(Ⅰ-13)을 분석에서 제외하고 나머 지 15개 문항으로 다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KMO 측도는 0.751로,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결과 유의확률은 0.001 미만으로 나와 요 인분석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누적변동설명력은 63.456%로 구성된 4개 요인의 설명력이 모두 높았다. 각 요인의 요인적재값은 모두 0.5 이상으로, 고유값은 1.0 이상으로 나타나 측정 도구의 타당도를 만족 하였으므로 추가적인 항목 제외와 조정을 하지 않았다. 각 요인에 대한 Cronbach  값은 모두 0.7 보다 높게 나타나 주요 변인들의 신뢰도도 양 호하다고 판단하여 문항 제거 없이 분석을 진행하였다.

구성개념 항목 요인적재값 고유값 변동설명력 누적변동설명력 Cronbach  계층

주의

Ⅰ-1 0.812

2.108 14.055 63.456 0.775

Ⅰ-5 0.828

Ⅰ-9 0.836 개인

주의

Ⅰ-2 0.764

2.158 14.384 49.401 0.706

Ⅰ-6 0.785

Ⅰ-10 0.686

Ⅰ-14 0.681 평등

주의

Ⅰ-3 0.809

2.402 16.011 35.017 0.775

Ⅰ-7 0.771

Ⅰ-11 0.759

Ⅰ-15 0.729 운명

주의

Ⅰ-4 0.856

2.851 19.006 19.006 0.844

Ⅰ-8 0.813

Ⅰ-12 0.811

Ⅰ-16 0.789

KMO=.751, Bartlett=1957.843, p=.000

[표 Ⅲ-4] 규범문화배경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결과

(2) 조정자 신뢰 분석 결과

조정자 신뢰에 대한 요인분석은 또래조정자 신뢰([표 Ⅲ-5])와 교사조 정자 신뢰([표 Ⅲ-6])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또래조정자 신뢰의 측정 문 항 중 요인적재값이 0.5 미만으로 나온 태도 기반 신뢰 두 문항(Ⅱ-1, Ⅱ -5)을 제거하고 다시 요인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KMO 측도는 0.920으로,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결과 유의확률은 0.001 미만으로 나타 나 요인분석 모형은 적합하였다. 누적변동설명력은 78.604%로 구성된 4개 요인 모두 설명력이 높았다. 각 요인에 해당하는 요인적재값은 모두 0.5 이상, 고유값은 모두 1.0 이상이었다. 각 요인에 대한 Cronbach  값은 모두 0.7 이상으로 측정 도구의 신뢰도도 양호하였다.

교사조정자 신뢰 측정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위해 요인분석 을 진행하였다. 교사조정자 신뢰의 측정 문항들 중 요인적재값이 0.5 미만 으로 나온 태도 기반 신뢰 세 문항(Ⅲ-9. Ⅲ-12, Ⅲ-16), 동일시 기반 신 뢰 한 문항(Ⅲ-3)을 제거한 후 다시 요인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구성개념 항목 요인적재값 고유값 변동설명력 누적변동설명력 Cronbach 

태도 기반

Ⅱ-9 0.729

2.177 15.549 78.604 0.856

Ⅱ-12 0.682

Ⅱ-16 0.743 소통

기반

Ⅱ-2 0.746

2.465 17.610 63.055 0.898

Ⅱ-6 0.794

Ⅱ-10 0.816

Ⅱ-13 0.778 동일시

기반

Ⅱ-3 0.834

3.077 21.978 45.445 0.857

Ⅱ-7 0.752

Ⅱ-14 0.709 역량

기반

Ⅱ-4 0.809

3.285 23.468 23.468 0.916

Ⅱ-8 0.856

Ⅱ-11 0.825

Ⅱ-15 0.826

KMO 측도=0.920, Bartlett=2159.954, p=.000

[표 Ⅲ-5] 또래조정자 신뢰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결과

KMO 측도는 0.948로,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결과 유의확률은 0.001 미 만으로 나타나 요인분석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누적변동설명 력은 85.219%로 나타나 구성된 4개 요인의 설명력이 높았다. 각 구성개념 의 요인적재값은 모두 0.5 이상, 고유값은 모두 1.0 이상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에 대한 Cronbach  값은 모두 0.7 이상으로 측정 도구의 신뢰도도 양호하였다. 이렇게 검토를 마친 변인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3) 조정 참여의지 분석 결과

또래조정 참여의지 측정 도구([표 Ⅲ-7])는 요인적재값이 모두 0.5 이 상, 고유값은 2.438, 누적변동설명력은 60.941%로 나와 타당도가 양호하였 다. Cronbach 값은 0.786으로 나와 신뢰도도 양호하였다.

구성개념 항목 요인적재값 고유값 변동설명력 누적변동설명력 Cronbach  태도

기반

Ⅲ-1 0.779

2.021 16.843 85.219 0.893

Ⅲ-5 0.749 소통

기반

Ⅲ-2 0.540

2.827 23.560 51.086 0.917

Ⅲ-6 0.777

Ⅲ-10 0.834

Ⅲ-13 0.769 동일시

기반

Ⅲ-7 0.868

2.075 17.289 68.375 0.888

Ⅲ-14 0.813 역량

기반

Ⅲ-4 0.782

3.303 27.526 27.526 0.924

Ⅲ-8 0.823

Ⅲ-11 0.839

Ⅲ-15 0.760

KMO=.948, Bartlett=3078.686, p=.000

[표 Ⅲ-6] 교사조정자 신뢰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결과

측정문항 요인적재값 고유값 변동설명력 누적변동설명력 Cronbach  또래조정1 0.766

2.438 60.941 60.941 0.786 또래조정2 0.770

또래조정3 0.785 또래조정4 0.802

[표 Ⅲ-7] 또래조정 참여의지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결과

교사조정 참여의지 측정 도구([표 Ⅲ-8])는 요인적재값이 모두 0.5 이 상, 고유값은 2.332, 누적변동설명력은 58.311%로 나와 타당도가 양호하였 다. Cronbach 값은 0.759로 나와 신뢰도도 양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