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또래조정자 신뢰의 조절효과

(1) 또래조정자 태도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규범문화배경이 또래조정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또래조 정자에 대한 태도 기반 신뢰(이하, 또래 태도 기반 신뢰)가 갖는 조절효과 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표 Ⅳ-8]).

독립변인 1단계 2단계 3단계

회귀계수 t 값 회귀계수 t 값 회귀계수 t 값

상수 3.692 168.961 3.692 250.433 3.688 240.173 계층주의 -0.066 -2.985** -0.048 -3.233*** -0.049 -3.269***

개인주의 -0.067 -3.030** -0.034 -2.246* -0.033 -2.200 [표 Ⅳ-8] 또래조정자 태도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1단계에서는 독립변인인 규범문화배경을 투입하였고, 2단계에서는 조절 변인인 또래 태도 기반 신뢰를 투입하였다. 3단계에서는 독립변인과 조절 변인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였다. 모형의 유의성 분석 결과, 1단계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F=20.089, p>.05), 2단계 모형은 통계적으 로 유의하였다(F=497.715, p<.001). 1단계 모형의 설명력 16.2%는 2단계 모형에서 45.7% 증가하였다. 이는 또래 태도 기반 신뢰가 증가할수록 또 래조정 참여의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강해짐을 의미한다(B=0.343, p<.001). 하지만 3단계 모형에서 상호작용항의 추가 투입에 따른 설명력 의 증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1.032, p>.05). 또한, 또래 태도 기반 신뢰와 규범문화배경 유형별 상호작용항도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즉, 또래 태도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는 없다고 할 수 있다.

(2) 또래조정자 소통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규범문화배경이 또래조정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또래조 정자에 대한 소통 기반 신뢰(이하, 또래 소통 기반 신뢰)가 갖는 조절효과 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Ⅳ-9]와 같다.

평등주의 0.171 7.656*** 0.094 6.107*** 0.096 6.196***

운명주의 0.079 3.513*** 0.011 0.721 0.008 0.500

태도기반 0.343 22.310*** 0.343 22.225***

계층주의

x태도기반 0.018 1.188

개인주의

x태도기반 -0.018 -1.248

평등주의

x태도기반 0.001 0.055

운명주의

x태도기반 0.017 1.089

모형통계량 ∆R2 ∆F ∆R2 ∆F ∆R2 ∆F 0.162 20.089 0.457 497.715*** 0.004 1.032

* p<.05, ** p<.01, *** p<.001

1단계에서는 독립변인인 규범문화배경을 투입하였고, 2단계에서는 조절 변인인 또래 소통 기반 신뢰를 투입하였다. 3단계에서는 독립변인과 조절 변인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였다. 모형의 유의성 분석 결과, 1단계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F=20.089, p>.05), 2단계 모형은 설명력이 51.3%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655.080, p<.001). 이는 또래 소통 기반 신 뢰가 강할수록 또래조정 참여의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강해짐을 의미 한다(B=0.367, p<.001). 하지만 3단계 모형에서 상호작용항의 추가 투입에 따른 설명력 증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1.438, p>.05). 또한, 또래 소통 기반 신뢰와 규범문화배경 유형별 상호작용항도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즉, 또래 소통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는 없다고 할 수 있다.

(3) 또래조정자 동일시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규범문화배경이 또래조정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또래조 정자에 대한 동일시 기반 신뢰(이하,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가 갖는 조절

독립변인 1단계 2단계 3단계

회귀계수 t 값 회귀계수 t 값 회귀계수 t 값

상수 3.692 168.961 3.692 271.186 3.690 258.618 계층주의 -0.066 -2.985** -0.036 -2.612** -0.041 -2.846**

개인주의 -0.067 -3.030** -0.162 -11.386*** -0.160 -10.713***

평등주의 0.171 7.656*** 0.206 14.727*** 0.204 14.205***

운명주의 0.079 3.513*** 0.041 2.892** 0.037 2.545*

소통기반 0.367 25.595*** 0.364 24.829***

계층주의

x소통기반 0.021 1.394

개인주의

x소통기반 -0.007 -0.512

평등주의

x소통기반 -0.015 -0.945

운명주의

x소통기반 0.019 1.311

모형통계량 ∆R2 ∆F ∆R2 ∆F ∆R2 ∆F 0.162 20.089 0.513 655.080*** 0.004 1.438

* p<.05, ** p<.01, *** p<.001

[표 Ⅳ-9] 또래조정자 소통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표 Ⅳ-10]).

1단계에서는 독립변인인 규범문화배경을 투입하였고, 2단계에서는 조절 변인인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를 투입하였다. 3단계에서는 독립변인과 조 절변인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였다. 모형의 유의성 분석 결과, 1단계 모형 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F=20.089, p>.05), 2단계 모형은 설명력 이 47.6%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544.542, p<.001). 이는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가 강할수록 또래조정 참여의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강해짐을 의미한다(B=0.361, p<.001). 3단계 모형에서는 상호작용항의 추 가 투입에 따라 설명력이 1.0%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2.810, p<.05). 즉,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는 규범문화배경(개인주의, 평등주의)이 또래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한다고 할 수 있다.

개별 상호작용항을 살펴보면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는 개인주의 (B=-0.043, p<.01)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조절효과를 나타냈 고, 평등주의(B=0.028, p<.05)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조절효과

독립변인 1단계 2단계 3단계

회귀계수 t 값 회귀계수 t 값 회귀계수 t 값

상수 3.692 168.961 3.692 256.784 3.677 240.328 계층주의 -0.066 -2.985** -0.026 -1.748 -0.025 -1.697 개인주의 -0.067 -3.030** -0.018 -1.205 -0.017 -1.200 평등주의 0.171 7.656*** 0.055 3.567*** 0.060 3.866***

운명주의 0.079 3.513*** 0.028 1.867 0.029 1.864

동일시기반 0.361 23.335*** 0.366 23.021***

계층주의

x동일시기반 0.005 0.341

개인주의

x동일시기반 -0.043 -2.962**

평등주의

x동일시기반 0.028 1.991*

운명주의

x동일시기반 0.012 0.779

모형통계량 ∆R2 ∆F ∆R2 ∆F ∆R2 ∆F

0.162 20.089 0.476 544.542*** 0.010 2.810*

* p<.05, ** p<.01, *** p<.001

[표 Ⅳ-10] 또래조정자 동일시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를 나타냈다. 즉,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는 개인주의가 또래조정 참여의지 에 미치는 영향을 부(-)적으로 조절하고, 평등주의가 또래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정(+)적으로 조절하였다. 한편, 계층주의(B=0.005, p>0.05) 와 운명주의(B=0.012, p>0.05)에 대한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인 개인주 의와 평등주의 각각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는 개인주의가 또래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부(-)의 영향에 대해 부(-)의 조 절효과를 나타냈다(B=-0.043, p<.01). 그런데 이 결과는 주의해서 해석되 어야 한다. 이를 단순히 개인주의 성향이 또래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부 정적인 영향을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가 더 강화하므로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를 촉진해서는 안 된다고 해석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해석보다는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의 주효과와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의 높고 낮음, 그리고 개인주의 성향의 높고 낮음에 주목해서 구체적으로 해석해야 한 다.

[그림 Ⅳ-1]은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와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난 개인 주의 및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의 수준을 평균값을 기준으로 고, 저집단 으로 나누고 각 수준에서의 또래조정 참여의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림 Ⅳ-1]

개인주의와 또래조정 참여의지의 관계에서 또래조정자 동일시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검토 결과 첫째, 개인주의 성향의 수준에 상관없이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가 높은 청소년(실선)의 또래조정 참여의지는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 가 낮은 청소년(점선)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즉, 또래 동일시 기반 신 뢰는 또래조정 참여의지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주효과를 갖는다. 개인주 의 성향이 낮은 청소년과 높은 청소년 모두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가 높 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또래조정 참여의지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둘째,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청소년(+1)보다 개인주의 성향이 약한 청 소년(-1)에게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의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더 크게 나 타났다.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청소년들 중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가 높 은 청소년과 낮은 청소년 간의 또래조정 참여의지의 격차보다 개인주의 성향이 약한 청소년들 중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가 높은 청소년과 낮은 청소년 간의 또래조정 참여의지의 격차가 더 크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셋째, 개인주의 성향이 강해질수록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의 긍정적인 효과는 여전히 있는데,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가 높은 집단의 경우 그 효 과의 크기가 점차 작아진다(기울기=-0.06). 하지만 개인주의 성향이 매우 강한 경우에도 여전히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 다 또래조정 참여의지가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주의 성향이 또래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 가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갖지만, 개인주의 성향이 강해질수록 또래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해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의 긍 정적인 조절효과가 점차 감소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넷째,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가 낮은 집단의 경우 개인주의 성향이 강 해지더라도 또래조정 참여의지가 증가하였다(기울기=0.026). 즉, 또래 동일 시 기반 신뢰는 그 수준이 낮더라도 개인주의 성향이 또래조정 참여의지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는 평등주의가 또래조정 참여의지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조절효과를 보였다(B=0.028, p<.05). 즉, 평등주의 성향이 강할수록 또래조정 참여의지는 강해지는데, 이러한 정(+)의 영향을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가 더욱 강화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림 Ⅳ-2]는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와 평등주의의 수준을 고, 저집단

으로 나누고 각 수준에서의 또래조정 참여의지를 표현한 그래프이다.

[그림 Ⅳ-2]

평등주의와 또래조정 참여의지의 관계에서 또래조정자 동일시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결과를 보면 첫째, 평등주의 성향의 수준에 상관없이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가 낮은 청소년(점선)보다 높은 청소년(실선)의 또래조정 참여의지가 매우 높았다. 즉, 평등주의 성향이 약하든(-1) 강하든(+1) 또래 동일시 기 반 신뢰가 높은 집단일수록 또래조정 참여의지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평등주의 성향이 강하면서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도 높은 경우에 또래조정 참여의지가 가장 높았다. 한편, 평등주의 성향이 약하면서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도 낮은 경우에 또래조정 참여의지가 가장 낮았다.

셋째,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 수준이 낮은 집단(기울기=0.032)보다 높 은 집단(기울기=0.088)일수록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의 정(+)의 조절효과 가 더 컸다. 평등주의 성향이 약할 때보다 강할 때 또래 동일시 기반 신 뢰 수준의 차이에 따른 또래조정 참여의지의 격차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 다. 즉, 평등주의 성향이 강해질수록 또래조정 참여의지가 증가하는데, 이 정(+)의 관계를 또래 동일시 기반 신뢰가 증폭시킨다고 할 수 있다.

(4) 또래조정자 역량 기반 신뢰의 조절효과

규범문화배경이 또래조정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또래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