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또래갈등은 어떻게 관리·해결되는가에 따라 긍정적인 학습 경험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갈등당사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율적으로 갈등을 해결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또래갈등을 해결할 때 갈등을 객관화하거나 공식적인 절차에 주로 집중했다. 또한, 갈등당사자의 또래갈등과 갈등해결에 대한 참여의지 와 주관적 인식에 주목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갈등해결방법을 선 정·구성하고, 이들의 참여의지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해 일상생활 속에서 주변인과의 협력을 통해 자율적으로 또래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비공식적 조정을 중심으로, 청소년의 비공식적 조 정에 대한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하였다. 그 요인으로 규 범문화배경, 조정자 신뢰를 설정하고 각각이 비공식적 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청소년의 규범문화배경이 비공식적 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정자 신뢰가 조절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 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선행 연구를 분석 하여 또래갈등해결을 위한 비공식적 조정과 참여의지의 의의를 검토하고, 비공식적 조정을 조정자의 특성에 따라 또래조정과 교사조정으로 구분하
였다. 그리고 또래조정과 교사조정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독립 변인으로 청소년의 규범문화배경을, 조절변인으로 조정자 신뢰를 설정하 였다. 규범문화배경은 4개의 유형(계층주의, 개인주의, 평등주의, 운명주 의)으로 구분하고, 조정자 신뢰는 4개의 하위요소(태도 기반, 소통 기반, 동일시 기반, 역량 기반)로 구분하였다. 이어서 규범문화배경과 조정자 신 뢰가 비공식적 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조정자 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 모형을 수립하였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 에 소재한 중학교 4개교의 1∼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 였다. 이후 수집된 설문 조사 결과에 대해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규범문화배경 유형별로, 조정자 신뢰의 하위요소별로 또래 조정 및 교사조정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조정 자 신뢰의 하위요소별로 조절효과도 다르게 나타났다. 분석 내용과 결과 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규범문화배경이 또래갈등해결을 위한 비공식적 조정 참 여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청소년의 규범문화배경이 계층주의 또는 개인주의 성향일수록 또래조정에 참여하고자 하지 않았고, 평등주의 또는 운명주의 성향일수록 또래조정에 참여하고자 하였다. 한편, 계층주의 성향일수록 교사조정에 참여하고자 하였고, 개인주의 또는 평등 주의 성향일수록 교사조정에 참여하고자 하지 않았다. 운명주의 성향은 교사조정 참여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둘째, 조정자 신뢰의 구체적인 양태에 따라 비공식적 조정에 대한 참여 의지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또래갈등해결을 위해 또래친구가 조정자로 개입하는 경우, 청소년이 또래조정자의 태도, 소통, 동일시, 역량에 기반하여 또래조정자를 신뢰할수록 또래조정에 참여하고 자 하는 의지가 강해졌다. 한편, 교사가 조정자로 개입하는 경우, 청소년 이 교사조정자의 태도, 소통, 역량에 기반하여 교사조정자를 신뢰할수록 교사조정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해졌다. 하지만 교사조정자의 동일 시에 기반한 신뢰는 교사조정 참여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셋째, 규범문화배경에 따른 비공식적 조정 참여의지가 조정자 신뢰의 구체적인 양태에 따라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규범
문화배경이 개인주의 또는 평등주의 성향일 경우 또래친구를 동일시에 기 반하여 신뢰할수록 또래조정 참여의지가 유의하게 조절되었다. 하지만 또 래친구의 태도, 소통, 역량에 기반한 신뢰는 개인주의와 평등주의에 대하 여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운명주의 성향일 경우 또래친 구를 역량에 기반하여 신뢰할수록 또래조정 참여의지가 유의하게 조절되 었다. 하지만 또래친구의 태도, 소통, 동일시에 기반한 신뢰는 운명주의에 대하여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계층주의 성향에 대해서는 또래조정자에 대한 신뢰의 어떤 하위요소도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계층주의 성향일 경우 교사를 소통과 동일시에 기반하여 신뢰할 수록 교사조정 참여의지가 유의하게 조절되었다. 하지만 교사조정자의 태 도, 역량에 기반한 신뢰는 계층주의에 대하여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평등주의 성향일 경우 교사를 태도와 동일시에 기반하여 신 뢰할수록 교사조정 참여의지가 유의하게 조절되었다. 하지만 교사조정자 의 소통과 역량에 기반한 신뢰는 평등주의에 대하여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개인주의 또는 운명주의 성향에 대해서는 교 사조정자에 대한 신뢰의 어떤 하위요소도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청소년의 성별, 학년, 학업 성적, 경제적 배경, 평소 또래갈등 수 준, 갈등해결 절차 참여 경험 등에 따라 비공식적 조정 참여의지가 어떻 게 형성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학년이 올라갈수록 또래조정 참 여의지는 증가하였지만, 평소 또래갈등 수준이 높아질수록 또래조정 참여 의지는 감소하였다. 하지만 성별, 학업 성적, 경제적 배경, 갈등해결 절차 참여 경험은 또래조정 참여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학 년이 올라갈수록 교사조정 참여의지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성별, 학업 성 적, 경제적 배경, 평소 또래갈등 수준, 갈등해결 절차 참여 경험은 교사조 정 참여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