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 중후반 도학의 학문적 磁場 속에서 살았던 평범한 도학자이자 문학 작가인 高應陟의 작품세계를 온전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문학 작품 창작 의 배경이 되었던 독서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師承 관계를 통해 학문을 도야하지 않고, 독학으로 도학적 깨달음을 自得하고자 했던 高應陟의 학문적 삶 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그가 탐독했던 서적은 중요한 실마리가 된다. 문집에 산 재한 기록들을 종합해 보면, 그는 오직 大學, 中庸, 論語, 周易 등의 유 교 경전과 性理書에 盡力했음을 알 수 있다.
91) 김학수, 앞의 논문, 79면.
92) 旅軒集 卷8의 <臥遊堂說> 및 <明鏡新堂題詞>을 보면 張顯光과 朴雲 집안의 교유 양상을 확인 할 수 있다.
93) 健齋逸稿 下, <先府君遺事>. “乙未春, 先君患濕病篤, 一日謂孤等曰, ‘玉山張某吾友人也. 吾死之 後, 汝等往從之.’”
94) 旅軒全書 卷1, <年譜>. “先生氣象宏偉, 容止異常. 鄭新堂之子慤, 至盧上舍家見而異之曰, ‘吾平生 未嘗見如此兒, 將爲間世人物.’ 因曰, ‘吾何以贈汝.’, 上舍戱之曰, ‘苟欲相贈, 雖所乘馬可也.’ 鄭公歸卽 送馬, 先生謝還之.”
古今의 抄錄하여 모은 글과 자신이 지은 詩賦를 모두 불태워 버리고 과거 보는 것을 멈춘 채 3년 동안 四書와 五經에 마음을 가라앉혀 연구하고 性理大全에 정 신을 기울여 옛 것을 생각하며 익숙하도록 읽어서 자신도 모르게 손으로 춤을 추고 발로 뛰었으며, 천하의 사물과 古今의 모든 글을 모두 大學을 가지고 評論하게 되었다. 심지어 莊周·屈原·韓愈·柳宗元·蘇軾·黃庭堅·李白·杜甫 등 大家의 하늘을 놀 라게 하고 땅을 들썩이는 문장이라 하더라도 中庸과 大學에 제외되고 배치된다 고 하여 조금도 보지 않았다.95)
이 글은 門人 崔晛이 지은 <杜谷先生言行錄>의 일부분이다. 이 글에서 高應 陟은 과거 시험 준비에 힘을 기울이지 않고, 四書五經이나 性理大全과 같은 유교 경전을 읽으며 道를 自得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崔晛은 그의 독서활동 을 가리켜 四書五經 뿐만 아니라 性理大全을 자세하게 통달하여 手舞足蹈하 였을 정도라고 표현하고 있는데, 이는 高應陟이 그만큼 오랜 시간 유교 경전에 沈潛하여 성현의 道를 완전하게 깨달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高應陟이 탐독 하였던 性理大全은 周敦頤의 <太極圖說>과 邵雍의 <皇極經世書>를 비롯하 여 성리학의 핵심적인 내용들이 풍부하게 들어 있었기 때문에 理學의 연원으로 서 공부하는 학자들이 먼저 보아야 할 책96)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高應陟은 四書五經이나 性理大全을 도학의 기본서로 여겨, 그 이치를 깨닫고자 탐독하 였다. 또한 大學의 이치를 통해서 천하의 사물과 古今의 모든 글을 평론하였 다는 언급을 볼 때 高應陟이 四書五經 중에서 大學을 가장 중시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高應陟은 莊子, 屈原, 蘇軾, 黃庭堅, 李白, 杜甫와 같은 문장가들의 글은 아무리 뛰어난 문장이라 하더라도 大學과 中庸에 배치된다고 하여 조금도 읽지 않았다고 한다. 그 까닭은 이러한 문장가들의 글에는 大學과 中庸의 道가 담겨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그의 인식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즉 문 장가들은 文을 통해 道를 담아내려고 했다기보다는 문장의 기교나 화려한 수사 에만 치중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그의 견해는 다음의 내용을 통해서 도 확인된다.
95) 杜谷集 卷6, <杜谷先生言行錄>. “盡焚古今抄集及所製詩賦, 停赴擧三年沈潛乎, 四書五經旁通乎, 性理大全溫故熟讀, 不知手舞而足蹈, 天下事物古今諸書皆以大學評論. 至以莊騷韓柳蘇黃李杜諸家雖驚 天動地, 而外馳於庸學略不經眼.”
96)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29-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탐구당, 2003, 309면.
性理學에 관한 여러 서책 이외에 일찍이 詩文에 힘쓰지 않았지만, 재주는 뛰어나 고 뜻은 호탕하여 붓을 들어 휘두르면 문장이 되었다. 문장을 다듬는 데 힘쓰지 않 고 聲律을 구하지 않아도 意致가 통달하고 문장의 기세가 충만하니, 비록 세상에서 문장에 노련한 사람이라 하더라도 이보다 더할 수 없었다. 그리고 심지어 일을 하 고 있을 때나 음식을 마주하고 있을 때에도 다른 사람을 시켜 붓을 잡게 하고는 입 으로 불러 주기를 거침없이 하였으나, 또한 字句를 수정하지 않았다.97)
위 인용문을 보면, 高應陟은 시문을 짓는 데 힘쓰지는 않았지만 시문을 짓게 되면 자구나 문장을 다듬거나 성률을 맞추지 않아도 意致가 통달하고 문장의 기세가 충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그의 문장력이 뛰어났다는 설명으로 볼 수도 있지만, 오히려 문장의 기교나 화려한 수사는 부족하더라도 儒家의 뜻[道]
을 잘 드러낸 시문의 가치를 더욱 높이 평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런데 의문시되는 부분은 문장의 형식미를 중시하는 변려문을 반대하고 고 문운동을 주창하였던 韓愈와 이를 지지했던 柳宗元의 글도 읽으려 하지 않았다 는 점이다. 이것은 高應陟이 朱子學의 영향을 받고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朱 子는 일찍이 韓愈의 학문적 태도를 비판한 바 있다. 韓愈가 文과 道의 관계에 있어서 道를 중시하고 있는 것 같지만, 그의 글을 읽어보면 아첨하고 희롱하거 나 기꺼워하며 방탕, 허랑하여 실속없는 데서 나온 것이 스스로 적지 않다고 비 판하였던 것이다.98) 예전에 둘째형이 항상 韓愈의 글을 誦讀하면서 그에게 읽기 를 권했을 때 高應陟이 “聖賢의 글이 있거늘 하필 韓愈의 글을 읽으며 학문을 하여 그릇되게 공부를 허비하리오.”99)라고 했던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柳宗元 역시 文을 성인의 道를 전하는 도구로 보는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그 道는 文辭를 빌리지 않고서는 밝혀질 수 없다100)고 하여 문장의 기교를 더욱 중시하고 道를 드러내는 데에는 소홀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高應陟은 柳宗 元의 글을 읽으려 하지 않았던 것이다.
97) 杜谷集 卷6, <杜谷先生言行錄>. “性理諸書之外, 未嘗從事詞翰, 而才高意豪, 落筆成章. 不事彫琢 不求聲律而意致通達, 馳驚汪洋, 雖世之老於文詞者, 亦無以尙之. 至於執事之時, 對食之頃, 令人握管口 授如流亦不點竄.”
98) 朱子大全 卷17, <讀唐志>.
99) 杜谷集 卷6, <杜谷先生言行錄>. “仲氏常誦韓文亦以勸公. 公曰, ‘自有聖賢書, 何必學韓枉費工夫.’”
100) 柳宗元集, <報崔黯秀才論爲文書>. “然聖人之言, 期以明道, 學者務求諸道而遺其辭. 辭之傳於世 者, 必由於書, 道假辭而明, 辭假書以傳.”
이처럼 高應陟은 경전의 탐구를 우선시하며 그 이치와 깨달음을 얻는 데에 盡力하였다. 특히 그는 四書 중에서도 大學을 入道의 첫 번째 순서로 삼고,
論語, 孟子, 中庸을 차례로 읽어서 六經에 통달했다. 또 경전의 이치를 窮 究하여 마음속에서 도리를 깨닫는 것을 일생의 사업으로 삼았다.101) 따라서 高 應陟이 탐독했던 유교 경전의 내용이 문학 활동의 기저에 놓인다는 점을 고려 하면서 그의 독서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의 독서 양상은 크 게 네 가지로 집약할 수 있다.
高應陟은 大學을 탐독하여 修己治人의 방법을 體得하고자 하였다. 그는
大學을 읽기 시작한 이후, 大學에 담겨 있는 道를 기준으로 독서물을 선택 했고, 또 천하의 사물과 고금의 모든 글을 大學으로 평론하였다. 또 아무리 뛰어난 문장이라 하더라도 大學의 도학적 이념에서 벗어난 글은 읽으려 하지 않았다. 과거에 급제한 이후에도 그는 大學의 講學을 그치지 않았고, 특히 格 物致知와 誠意正心을 깨닫고자 노력하였다.102) 格物致知는 ‘知’의 공부이고, 誠 意正心은 ‘行’의 공부라고 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明明德을 위한 실천 방법 이다. 예를 들면, 자식이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이 마땅한 줄 알아야 하고, 그런 생각을 정성스럽게 하여 마음을 바르게 해야 하듯이, 格物致知[知]와 誠意正心 [行]을 통해 자신의 明德을 밝힐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이 타인에게로 확대되면 新民이 가능해지는 것이고, 또 종국에는 至善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103)
高應陟은 朱子의 大學章句와 大學或問을 합해 한 책으로 만들어 읽으면 서 그 이치를 깨닫고자 사색하였다. 그리고 스스로 발문을 지어 널리 배포하기 까지 했다. 李後白은 이 발문을 보고 그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여 천거하고자 하 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104) 이후 高應陟이 臨陂縣令으로 재직 중에 臺諫의 탄핵 을 받았을 때에도 李後白은 大學의 발문을 지은 高應陟이 그럴 리 없다고 하
101) 杜谷集 卷6, 高騁雲, <祭文>. “遂以大學, 爲入道之序次, 及語孟中庸, 俯而讀, 仰而思, 以達於六 經. 躬行力究, 妙契心得, 爲一生事業.”
102) 杜谷集 卷6, <杜谷先生言行錄>. “仲氏力勸赴擧, 嘉靖辛酉登第. 公猶以爲此非大丈夫事業也. 兩部 庸學講究不輟. 格致誠正之言, 道器費隱之妙, 不絶於口, 辨分毫釐.”
103) 최석기, 「杜谷 高應陟의 大學章句 改訂과 의미」, 한문학보 제4집, 우리한문학회, 2001, 12면 참조.
104) 杜谷集, 卷6, <年譜>. “赴咸興敎授. 以北方不尙文敎, 請修文會堂, 因記之刻大學章句或問合爲一 部, 跋以尾之. 闕後監司李公後白見而嘆曰, ‘此眞眞儒’, 始有薦用之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