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발문을 통한 개념의 부연적 설명

2. 구성과 표현 기법에 반영된 형상화의 방식

2.1. 발문을 통한 개념의 부연적 설명

高應陟의 시조 창작에 나타난 특징 중 하나는 개별 시조 작품에 발문을 부기 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총 28수의 시조를 남기고 있는데, 이 중에서 <新民 曲>, <格致曲>, <誠意曲>, <正心曲>, <仁智曲>, <磨石曲>, <然然曲>, <有無 曲>과 같은 개별 시조 작품에 발문을 기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개별 시조 작품의 발문에서는 그 시조를 창작한 동기나 배경, 작 품에 대한 평가 등을 기술한다. 따라서 시조 작품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정확한 가치 평가를 하기 위해서 작품 자체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지만, 그 작품 이 이루어지기까지의 과정이나 작품에 대한 평가를 확인할 수 있는 발문 역시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개별 시조 작품에 부기되어 있는 발문은 그것을 누가 지었느냐에 따라서 그 내용과 성격이 달라진다. 타인이 발문을 지은 경우에는 대체로 작품을 지은 작 자와 작품에 대한 찬양 위주로 서술되는 특성이 있는 데 비해, 작자 자신이 발 문을 지은 경우에는 대개 작품을 창작한 배경 및 동기, 창작 방식, 작품의 효용 적 가치, 작품에 대한 평가 등이 서술되어 있다.303)

李滉의 <陶山十二曲跋>은 작자 자신이 발문을 지은 대표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시조를 창작한 배경 및 동기, 창작 방식에 대한 설명을 서

302) 권두환, 「목소리 낮추어 노래하기」, 한국고전시가작품론 2, 백영 정병욱 선생 10주기추모논문 집 간행위원회 편, 집문당, 1992.

303) 조규익, 「시조 작품 序·跋에 나타난 문학의식」, 민족문화연구 제21집,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1988 참조.

술하였다. 기존 李鼈의 <六歌>는 <翰林別曲>보다는 낫지만, 玩世不恭의 뜻이 있고 溫柔敦厚의 내용이 적어서 애석하다는 李滉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고,304) 우리나라의 말로 노래 부르고자 하는 목적에서 李鼈의 <六歌>를 모방하여 <陶 山十二曲>을 짓게 되었다는 창작 배경을 밝혔다. 또 <六歌> 형식을 모방하여

‘言志’와 ‘言學’의 ‘陶山六曲’ 둘을 지었다305)는 창작 방식도 설명하였다. 그리고 張經世가 지은 <江湖戀君歌跋>에도 창작 배경 및 창작 방식이 서술되어 있다.

그는 李滉의 <陶山十二曲>이 가진 교육적 효용을 확인하고 <陶山十二曲>의 체를 본떠 前後 六曲을 만들어, 愛君憂國의 정성과 聖賢學文의 올바름을 발현하 고자 <江湖戀君歌>를 창작하였음을 스스로 밝혔다.306) 또한 후대의 申墀도

<永言十二章> 발문에서 “<陶山十二曲>의 뜻에 和答한 것307)”이라고 하여, ‘和 答’이라는 창작 방식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그리고 개별 시조 작품의 발문에는 그 작품이 미치는 효용이 서술되기도 한 다. 李滉의 <陶山十二曲跋>을 보면, 아이들로 하여금 아침저녁으로 익혀 스스로 노래하게 한다면 비루하고 인색한 마음을 씻어내어 感發하고 맺힌 마음을 녹여 통하는 바가 있어서, 노래하는 자와 듣는 자가 모두 유익할 것이라고 하여 이 시조가 인간의 性情에 미치는 교화적 효용을 설명하고 있다. 李叔樑이 지은 <汾 川講好歌>의 발문에서도 “날마다 베풀기를 위엄으로써 하는 것은 착함으로써 감 동시키는 것만 같지 못하고, 사람을 꾸짖어 따르게 함은 자기에게 먼저 함만 같 지 못하다. 이에 스스로 꾸짖는 노래를 지었으니, 첫째 孝悌忠信을 주지로 삼아 듣는 이의 착한 마음을 감발시키고 음탕한 뜻을 징계하고자 한 것이다.”308)라고 하여 이 시조를 지은 목적과 그 교화적 효용을 드러내었다.

또한 발문에는 작품에 대한 평가도 서술되어 있는데, 대체로 객관적이고 냉철

304) 退溪集 卷43, <陶山十二曲跋>. “惟近世有李鼈六歌者, 世所盛傳, 猶爲彼善於此, 亦惜哉. 其有玩 世不恭之意, 而少溫柔敦厚之實也.”

305) 退溪集 卷43, <陶山十二曲跋>. “故嘗略倣李歌, 而作爲陶山六曲者二焉. 其一言志, 其二言學.”

306) 沙村集 卷2, <江湖戀君歌跋>. “余少時, 因友人李平叔, 得見退溪先生陶山六曲歌. 意思眞實, 音調 淸絶, 使人聽之, 足以興起其善端, 蕩滌其邪穢, 眞三百篇之遺旨也. 傳寫一本, 藏諸篋笥, 時使童稚歌而 詠之, 大有所益. 不幸見失於兵火之中, 今已十年, 僅能記得數三曲. 每於靜夜月明, 沈吟之, 永言之, 以 寓景仰之懷. 頃者, 適到月波軒, 偶得印本, 乃前所謂陶山六曲也. 一番吟諷, 益覺意味深長, 自不知手舞 而足蹈也. 謹效其體, 足成前後六曲, 一以寄愛君憂國之誠, 一以發聖賢學問之正.”

307) 伴鷗翁遺事. “右十二章 蓋和陶山十二章之遺意. 而文拙詞荒必招外人之譏議, 覽者恕之.”

308) 梅巖集 卷1, <汾川講好歌跋>. “日施之以威, 不若動之以善, 責人以從, 不若先之於己. 乃作自責之 歌, 一以孝悌忠信爲主, 欲使聽之者, 庶幾感發其善心, 而徵創其逸志也.”

한 비평보다는 작품의 장점을 드러내는 측면의 비평에 한정되어 있다. 申欽의

<放翁詩餘序>를 보면 “마음에 맞는 것이 있으면 시나 문장으로 나타내고, 또 남음이 있으면 方言으로 이어 곡조를 삼고 俚諺으로써 표기하였다. 이것은 단지 상스러운 속요로서 騷壇 같은 곳에는 낄 수가 없다. 遊戱에서 나온 것이기는 하 나 혹 볼 만한 것도 없지는 않다.”309)라고 하여 자신의 시조가 속요라 상스러울 수도 있지만, 볼 만한 가치도 가지고 있다고 自評하였다.

이와 같은 개별 시조 작품의 발문에 나타난 일반적 특성을 전제하고 高應陟 의 시조 발문에 드러난 특징을 살펴보자. 高應陟의 시조에 부기된 발문을 검토 한 결과, 몇몇 작품에서는 앞서 살핀 일반적인 발문의 양상과 유사하게, 창작 동기 또는 창작 방식이 서술되어 있었다. <仁智曲>의 발문에서는 “大學을 읽 고 스스로 터득한 것을 술회한 것(讀大學而自得之述也)”이라 하여 창작동기를 드러내고 있고, <磨石曲>의 발문에서는 “程伊川의 磨石 중에서 만물의 뜻을 뽑 아낸 것(用伊川磨石中 撤出萬物之意)”이라고 하여 그 창작방식을 직접적으로 드 러내기도 하였다. 한편 <有無曲>의 발문에서는 당대 異端과 俗儒에 대한 비판 을 하기 위한 목적310)에서 이 시조를 짓게 되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유추할 수도 있다.

그러나 高應陟이 남긴 대부분의 시조 발문에는 시조 작품을 창작하게 된 배 경이나 동기, 창작 방식, 효용 등에 대한 언급은 거의 없고, 작품의 주지나 시조 에 표현된 핵심어구의 의미에 대한 부연 설명이 주로 서술되어 있다. 이것은 高 應陟이 도학의 이념이나 깨달음을 설명하기 위해서 발문을 보조적 설명 수단으 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大學의 三綱領 중에 하나인 ‘新民’을 주제로 한 <新民曲>의 발문을 보면서 그 양상을 확인해보자.

지븨  누어 자 사 겯 두고 火燃積薪커니 설워 아니 올러냐 진실로 야니옷 오면 제나 내나 다랴

<新民曲>

309) 珍本 靑丘永言. <放翁詩餘序>. “有所會心, 輒形詩章而有餘, 繼以方言而腔之, 而記之以諺. 此僅 下里折楊,, 無得於騷壇一班, 而其出於遊戱, 或不無可觀.”

310) 杜谷集 卷5. “異端欲觀道於物外, 俗儒欲舍道而逐物, 是二而已. 故云.”

先覺이 後覺을 깨닫게 하는 것은 하늘이 이 백성을 낸 뜻이다. 中庸의 덕을 가진 사람이 中庸의 덕을 가지지 못한 사람을 버린다는 것은 그 둘의 차이가 일촌도 채 되지 않는다는 뜻이다.311)

위 인용문은 <新民曲> 발문의 全文인데, 이 발문에는 시조를 짓게 된 창작 배경이나 동기, 창작 방식, 작품에 대한 평가 등이 서술되지 않았다. 대신에 먼 저 깨달음을 얻은 사람들[先覺]과 中庸의 덕을 가진 사람들이 그렇지 못한 사람 들을 깨닫게 하는 것이 그들의 본분이라고 설명하면서, 만약 中庸의 덕을 가지 지 못한 사람이 그렇지 못한 사람들을 버린다면 이 둘의 차이는 거의 없을 것 이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 결국 시조에서 비유적으로 형상화한 ‘新民’의 개념을 부연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발문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孟子 萬章章句上 312)과 離婁章句下 313) 에 있는 구절을 가져와 작품에서 드러내고자 하는 ‘新民’의 개념을 설명하고 있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新民’은 大學의 三綱領 중의 하나로, 사람을 올바른 길로 이끌어 새롭게 한다는 뜻이다. ‘明明德’이 자신의 올바른 덕을 밝히는 것, 즉 자신의 학문 수양을 의미한다면 ‘新民’은 학문 수양을 통해 올바른 덕을 갖 춘 사람들이 타인을 교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발문에서는 사람들을 올바 로 이끌어 새롭게 하는 君子를 ‘먼저 깨달음을 얻은 자’와 ‘中庸의 덕을 갖추고 있는 사람’으로 구체화하여 ‘新民’의 개념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正心曲>의 발문에서도 이와 유사한 양상이 확인된다.

거두워 드려옴도 이 主人의  다시오 미러내여 도 이 主人의  다시라 진실로 出入無節면 둔 거 미드랴

<正心曲>

이 말은 앎 이르러 뜻을 성실히 한 후에 마음을 바르게 하는 일에 더욱 힘써야 한다는 것이다. 대개 천하의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여 지식을 지극하게 하여 마음의

311) 杜谷集 卷5. “以先覺後, 天生此民之意, 中棄不中, 不能以寸之意也.”

312) 孟子, 「萬章章句上」. “天之生此民也, 使先知覺後知, 使先覺覺後覺也.”

313) 孟子, 「離婁章句下」. “中也養不中, 才也養不才. 故人樂有賢父兄也, 如中也棄不中, 才也棄不才, 則賢不肖之相去, 其間不能以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