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 인식과 그 활동에 관해 더욱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중 패권 경쟁이 격화되어가는 전략적 환경에서 바 이든 정부가 추구하고자 하는 미국적 관점의 평화와 평화구축 활동 이 무엇일지 분석하는 Ⅴ장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바이든 정부가 추구하고자 하는 국제평 화의 관점에서 한반도 문제를 어
떻
게 접근할 것인지 가늠해 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와 바이든 정부의 전 세계적 평화구축 전략을 어떻게 연결해야 장기 적으로 지속
가능한 한반도 평화 체제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지 고민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강제(peace enforcement)’, ‘평화구축(peacebuilding)’ 등의 개념 적 구별과도 연결된다. 앞서 I 장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세부 개 념
들이 현실적 차원에서 명확하게 구분되기 어려운 점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개념적 차원에서 구분하자면,
‘평화조성’,‘평화유지’, ‘평화강제’는 현재 진행 중인 분쟁을 종결시
키거나 종결
시
킨 분쟁이 다시 재발하지 않게 하기 위한 외교
‧군사적 차원의 활 동들을 의미하기에 소극적 평화 개념에 입 각한 것이라 볼
수 있다.이와 비교해, ‘평화구축’은 협의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분쟁의 종결과 재발 방지뿐만 아니라 이를 위한 다양한 제반 조건
들
을 구비하기 위 한 활동까지 포괄하기에 적극적 평화 개념에 입각한 것이라 할 수 있다.88)소
극적 평화와 적극적 평화로 구분되는 ‘평화’에 대한 개념적 유형
을 바탕으로, 냉전 시기 미국의 국제평화에 대한 인식은 소극적 의 미의 평화를 추구하는 협의적 관점에 입각
해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 다. 냉전 시기 미국은 소련과 사회주의 진영의 확대를 방지하기 위 한 봉쇄정책을 기반으로 미국 중심의 서구 자유주의 진영이 힘의 우 위를 점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았다. 즉 소련을 중심으로 한 사
회주의 진영과의 정치‧군사적 차원의 체제 경쟁에서 승리하는 것이곧
국제평화라는 인식이 지배했기에 소극적 평화 개념에 입각해 있었
다고 평가할 수 있다. 냉전 시기 미국이 이러한 관점에서 국제평 화를 추구한 대표적인 사례로는 한국전쟁과 베트남 전쟁을 승리로 이끌기 위해 참전한 것이다. 이 외에도, 미국이 중남미(e.g. 니 카라
과, 엘살바도르 등)와 아프리카
지역(e.g. 앙 골라, 모 잠
비크, 남아프 리카
공화국 등)에서 사회주의 정권을 무너뜨리기 위한 반군 활동 지88) United Nations, United Nations Peacekeeping Operations: Principles and Guidelines (New York: United Nations, 2008), pp. 17~18.
원
이나 사회주의 반군과 분쟁 중인 우파 독재정권에 대한 직간접적
지원을 수행 했던 사례들 역시 냉전 시기 협의적 개념의 국제평화를
추구했던 활동으로 볼 수 있다.89)나. 탈냉전 시기 미국의 국제평화와 평화구축 활동에 대한 인식
소
련의 해체와 사회주의 정권들의 붕괴로 냉
전이 종결된 이후, 국 제평화에 대한 미국의 인식은 적극적 관점의 광의적 평화 개념으로 변화했다. 핵 심적으로 냉
전 종식 이후 미국의 국제평화에 대한 인식
은 미국 중심의 자유주의적 국제질서를 구축해 세계평화를 유지할
수 있으리라는 낙관적 기대가 지배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과 기대 는 자유주의적 국제주의라는 정치철학
을 바탕으로 냉전 이후 미국 주도 국제평화구축 활동의 정책적 근간으로 자리 잡았
다. 즉 정치철 학
으로서 자유주의적 국제주의가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 의의 전 세계적 확산이라는 두 축을 통해 적극적 의미의 국제평화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정책적 입장으로 발전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자본주의 시장경제 간 자유로운 무역과 금 융질서 그리고 이를 뒷받 침
하는 다양한 국제제도에 참여하는 민주주의 국가들은 서로 전쟁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국내정치적으로도 반란 및 내전과 같은 심각 한 정치 불안정으로부터도 자유로울 것이라는 이론적 주장과 실증연
구들에 의해뒷받 침되어 왔다.
90)89) Mi Yung Yoon, “Explaining U.S. Intervention in Third World Internal Wars, 1945-1989,”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vol. 41 no. 4 (1997), pp. 580~602.
90) 민주주의 국가들 사이에는 전쟁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민주평화론과 안정적인 민주주 의 국가들에서는 내전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이론을 제시한 대표적 연구로 다음을 참 조. Havard Hegre, Tanja Ellingsen, Scott Gates, and Nils Petter Gleditsch,
“Toward a Democratic Civil Peace? Democracy, Political Change, and Civil War 1816-1992,”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95 no. 1 (2001), pp.
33~48; Zeeve Maoz and Bruce Russett, “Normative and Structural Causes of Democratic Peace, 1946-1986,”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87 no.
자유주의적 국제주의를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국제평화는 따라서 개념상 광의적 의미의 평화이다. 이러한 관점은 국제정치에서 독
립
된 개별 국가의 주권을 넘어서 인권과 자유 그리고 민주주의 같은
보편적 가치와 규범을 우선시하는 적극적 평화구축 활동으로 연결
된다. 이는 냉전 시기 미국의 국제평화에 대한 인식 및 관점과 비교 해 세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보인다.91) 첫째, 개별 국가의 주 권보다
보편적 차 원에서의 인권
이 광의적 개념의 국제평화에서 우선시되는원칙과 가치로서 자리잡히게 되었다. 199 5년 보스니아에서 세르비
아계가 무슬림계에 자행한 대량 학살이 발생한 후 미국이 북대서양 조약기구를 통해 전개한 강력한 평화구축 활동이 대표적인 사 례이
다. 둘째, 인류 보편적 차원에서 추구해야 할 가치와 규범으로서 인권
과 자유 및 평화를 증진하기 위해 분쟁을 겪고 있는 국가에 인도주 의적 개입을 한다면, 강대국이나 주변국에 의한 일방적 개입이 아니 라 유엔
과 같은 국제기구와 제도를 통한 다자적 개입을 추구해야 국 제적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관점이 자리잡히게 되었다. 이는
다음 절
에서 제시할 유엔 평화구축 활동의 시기별 패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냉전 기간 40년 동안 유엔이 수행했던 평화구축 활동보 다 냉전 이후 첫 10여 년 동안 전개된 유엔 평화구축 활동이 2.6배증
가한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셋째, 국제평화를 추구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평화구축 활동의 목표가 냉전 시기 추구했던 미국 동 맹
국확
대와 사회주의 진영 축소와 같은 결과 지향적(outcome-oriented) 관점에서 분쟁국 시민들
의 지속 가능한 인권과 자유를 보장할 수 있3 (1993), pp. 624~638; John M. Owen, “How Liberalism Produces Democratic Peace,” International Security, vol. 19 no. 2 (1994), pp. 87~125.
91) 이러한 지적과 관련해 더욱 체계적인 연구는 다음을 참조. Martha Finnermore, The Purpose of Intervention: Changing Beliefs about the Use of Force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2003).
는 민주적 제도를 수
립
하는 과정 지향적(process-oriented) 관점으 로 변화했다. 이와 관련한 대표적인 예로 엘살바도르 내전에 미국이 냉
전 기간 중 그리고 냉전 이후 어떻게 개입했는지를 들 수 있다.1980년대 미국은 사회주의 반군과 싸
운다는 이유 하나
로 인권탄압
으로 악명 높은 엘살바도르 독재정권에 정치‧군사‧경제적 지원을
제공했다. 하지만 냉
전 직후 미국은 협상을 통한 엘살바도르 내전의
평화적 종결과 선거
를 통한 정부 수립을 비롯한 민주적 절차와 과정 의 수립을 목표로 유엔
평화구축 활동을 주도했다.냉
전 이후 국제평화에 대한 미국의 이러한 인식과 관점의 변화는학 술
적 차원과 정책적 차원에서 다양한 논쟁을 불러왔다. 학술적 차원
에서 패리스(Paris) 같은 학자들은 자유주의적 국제주의의 논
리적 모순점을 지적한다.92) 자본주의 시장경제 도입과 자유민주주의 정 치체제 수립
이라는 두 가지 축을 바탕으로 한 광의적 개념의 국제평 화를 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자유주의적 국제주의는 패리스의 관점에서 보면 중요한 현실적 한계를 갖는 논리이다. 우선 자본주의 시장경제 도입은 필연적으로 시장경쟁에서의 승자와 패
자를 발생시킬
수밖에 없으며 역사적으로도 시장경제 체제 수립과정은 그러한승
자와 패자 간 갈등으로 인한 국내외적 분쟁을 발생시켰다. 민주주
의 체제 수립과정 또한 구체제 지배 엘리트들의 강력한 저항으로 인 해 정치 갈등과 분쟁의 과정을 거쳐온 것이 보편적이다. 특히 외부 세력에 의해 민주주의 체제가 이식되는 경우는 국내 정치세력 간 쟁투
를 통해 민주화를 이룩하는 경우보다 훨씬 더 많은 분쟁의 씨앗을 품
고 있는 과정이다. 패리스는 자유주의적 국제주의가 자본주의 시 장경제를 도입하고 민주주의 체제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92) Roland Paris, At War’s End: Building Peace after Civil Conflict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이러한 역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려를 하지 않기 때문에, 냉전 이후 유
엔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의도했던 목표에 훨씬 못
미치는 평화구 축 활동 성과를 보여 왔다고 비판한다.자유주의적 국제주의에 대한 정책적 차
원에서의 비판
은 주체가명확하지 않은 모호한 개념의 ‘국제사회(international society)’는 광
의적 개념의 국제평화를 적극적으로 추구하기 어렵다는 점을 강 조한다. 이러한 관점은 유엔으로 대표되는 국제사회는 적극적 차 원
의 평화를 추구하기에는 사실상 매우 취약한 행위자라는 인식에 기 반해 있다. 따라서 현실적 차원에서 강대국에 의한 새로운 방식의
신탁통치나 강대국과 분쟁국 간 ‘주권
공유(sharing sovereignty)’와 같이 강대국의 적극적 개입만이 분쟁을 겪고 있는 국가들에 지속 가능한 광의의 평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주장으로
연
결된다.93)자유주의적 국제주의에 관한 이러한 학술적 차원과 정책적 차원 의 논쟁은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