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국 정부의 한반도 평화 인식과 정책 변화

그러나 코로나19 팬데

믹(pandemic)과 미국의 리더십 교체 등으

로 한반도 평화논의는 또다시 위기를 맞았다. 문재인 정부는 이러한

국을 타개하고자 다양한 채널을 통해 한반도 평화논의의 중요성 을 강조하고 있다. 문 대통

령은 지난

해 11월 바이든 대통

령(당시 당

선인)과 첫 통화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긴

한 소통을 요구하

였다.

26) 또 2020년과 2021년 유엔총회 연설에 서 종전선언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호

소하 였다. 아직은 문재인

정부의 노력이 한반도 평화

의 재개로 이어지지 않고 있지만, 한반도 평화논의 재개의 토대 마련에는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표 Ⅱ-1> 분석 기간의 역대 한국 정부

분 노태우 정부

김영삼 정부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 시기

1988.2

~1993.2

1993.2

~1998.2

1988.2

~2003.2

2003.2

~2008.2

2008.2

~2013.2

2013.2

~2016.12

2017.5

~현재 한반도 평화논의

착수기

교류 기반의 평화 추진기

국제규범 기반의 평화 추진기

평화의 최우선 추구기 출처: 저자 작성.

일반적으로 한반도 평화 인식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역대 정부를 그

룹화하면 노태우

영삼‧이명박‧

박근 혜 정부와 김대중

‧노

무현

문재인 정부로 구분한다. 역대 정부의 인식 혹은 정책을 그룹화할 때, 소위 말하는 보수‧진보로 구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① 한반도 평화논의를 공식화하여 국제적 차원으로 확대하는 데 기

여한 노태우‧

김영 삼 정부, ② 남북관계 개선을 통한 한반도 평화구

축을 추진한 김대중‧노

무현 정부, ③ 국제사회와 공조를 통한 북핵

문제 해결을 우선시한 이

명박

박근혜

정부, ④ 남북대화와 종전선 언의 필요성을 강조한 문재인 정부 등 4개의 시기로 구분하

였다.

27)

가. 한반도 평화논의 착수기 (노태우 ‧ 김영삼 정부)

‘한반도 평화

논의 착

수기’는 노태우 정부(1988년 2월~1993년 2

)와 김영삼 정부(1993년 2월~1998년 2월)를 의미한다. 노태우 정 부에서 공식화된 한반도 평화

논의가 김

영삼 정부에서 4자회담을 통 해 국제적 차원으로 확대되었다. 이 시기의 특징은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세계적인 탈냉전 분위기 속에서 국제사회의 변화에 맞춰 함께 변화를 시도하는 차원에서 한반도 평화논의가 진

27)역대 정부의 한반도 평화 인식 및 정책 특성을 고려한 유형화는 박은주(2018)의 분류를 수정보완하였다. 박은주, “뺷한반도 평화뺸를 둘러싼 국내 정치집단 간 역학관계 연구:

이슈와 영향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북한학과 박사학위논문, 2018, pp. 19~22.

행되

었다. 둘째, 남북한이 주고받 던

한반도 평화논의에 미국과 중국 을 끌어들여 한반도 평화논의를 국제적 차원으로 확대하였다.

1980년대 후반 이

소련이 와해 됨에 따라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

이 붕괴되고, 미‧

냉전체제가 종식되

다. 이러한 국제 환경 속 에서 등장한 노태우 정부는 전

임 정부들과 달리 한반도 평화논

의에 관

심을 보였다. 높아진 관 심은 한반도 평화 관련 기조와 정책에도

영향을 주

었다. 노태우 정부 출범 초기는 88 서울올림픽

에 대한 열 기와 민주화 열기로 가

득 차 있어 한반도 평화 논의가 비교적 수월

하 게 시

작될 수 있었

다.28) 노태우 정부는 ‘민족자존, 민주, 통일 외교’

를 핵

심 기치로 내걸고, ‘민족자존과 통일번영을 위한 대통 령 특별

선언(이하 7.7 선언)’ 및 북방정책을 추진하였다.

‘7.7 선언’은 북방 사회주의 국가들과의 관계 정상화를 겨냥한 전

향적인 북방정책이었다. 핵심 목표는 자주‧평화‧민주‧

지의 원칙 에 따라 민족구성원 전체가 참여하는 사회‧문화‧정치‧경제공동체 를 이룩하고, 민

족자존과 통일번영의 새 시대를 여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은 적극적인 남북 상호교류 추진, 이

가족 상

에 대한 적극적 지

원, 남북교역 착수, 남북한의 균형적 경제발전 추

구, 민족공동의 이익을 위한 상호협력, 우방과의 관계개선 협조 등 이다.29) 이어 11가지 후속 조치를 발표하며, 남북관계를 ‘동반자 관

계’이자 함께 번영해야 할 ‘민

족공동체 관계

’로 명확히 규정하였다.

이뿐 아니라 기존의 틀을 넘어선 남북대화를 추진하

다. 1988년 유

엔총회 연설에서 남북정상회담

과 ‘남북불가침 공동선언’ 추진을 제 의하고,30) 1990년 9월 남북 고위급회

담을 개최하였다.

28) 노태우 정부가 출범한 1988년은 대학생들과 일부 정치인들이 민주화운동에 이어 통 일운동을 활발히 전개한 시기이다.

29) 문화공보부, 뺷민족자존과 통일번영을 위하여뺸 (서울: 문화공보부, 1988), pp.

176~179; 통일원, 뺷통일백서 1990뺸(서울: 통일원, 1990), pp. 14~15.

30) 통일원, 뺷통일백서 1990뺸, pp. 304~322.

반공(anti-communism)을 기치로 내세

웠던 노태우 정부의 태도

변화는 한국 사회 전반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노태우 정부는 1992년 ‘남북기본합의서’와 ‘한반도 비핵화공동선언’을 발표시

키는

성과를 거뒀지만, 핵 문제를 두고 북한과 마찰을 빚었다.31)

북핵 위기 속에서

출범한 김

영삼 정부는 세계적인 평화‧협력의 요구에 맞춰 “남북한도 분단의 불행한 역사를 끝내고 민족의 화해와 통일을 이룩할 것”을 강조하였다. 국내 개

혁을 통한 통일 역량 축적

과 통일 조국 건

설을 한반도 정책의 기본 방향으로 제시한 것이

다.32) 김영

삼 정부 출범 직후인 1993년 3월 북한이 IAEA의 특별

을 거부하며 NPT 탈퇴를 선언하였지만, 김 대통령은 한반도 통 일 비전을 제시하며 북핵 문제 해결을 촉구하였다.33)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도 ‘3단계 통일방안’에 따른 통일을 재차 강조하였 다.34)

른 한편으로 김영 삼 정부는 북핵 문제의 선제적 해결을 위

해 노력하였다.35) 이로 인해 남북관계는 악화되었지만, 정부 출범

기 제시한 한반도 통일 비전이 ‘한민족공동체 건설을 위한 3단계 통일방안(이하 민

족공동체통일방안)’으로 공식화되는 성과를 거두

기도 하였다.36)

31) 전성훈, 뺷통일한국의 비핵정책: 통일과정에서 통일이후를 바라보며뺸(서울: 통일연구원, 2002), pp. 2~3.

32) “김영삼 대통령당선자 신년사, 신한국 창조,” 뺷MBC뺸, 1993.1.1., <https://imnews.

imbc.com/replay/1993/nwdesk/article/1751307_30684.html> (검색일: 2021.5.10.).

33)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도덕성(道德性)에 바탕을 둔 적극적인 국제활동: 세계(世界)와 미래(美來)를 지향하는 다원외교(多元外交) 전개,” 뺷국정신문뺸, 1993.05.27. <https://

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745162> (검색일: 2021.

5.10.).

34)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김영삼(金泳三) 14대(代)대통령 취임 ‘신한국(新韓國) 창조

더불어 사는 사회(社會)건설’,” 뺷국정신문뺸, 1993.02.25. <https://www.korea.kr/

news/policyNewsView.do?newsId=148745010> (검색일: 2021.5.10.).

35) 위의 책.

36)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의 통일 원칙은 ‘자주, 평화, 민주’이고, 통일과정은 ① 화해협 력단계, ② 남북연합단계, ③ 통일국가 완성단계 등 3단계로 제시되었다. 무력 혹은

삼 정부 시기에는 한반도 평화 논의보다는 ‘단

계적이고 점진적 인 한반도 통일’에 관한 논의가 더 많이 진행되었다. 북핵 위기로 인 해 실질적인 한반도 평화

의가 이루어지기 어려

운 상 황

었기 때문

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

김 대통

령 임기 중인 1994년

7월 8일 김일 성이 갑자기 사망하면서 남북관계 자체가 급랭 되었다. 김영삼 정부 는 김일성 사망에 따

른 북한의 급변사태를 상정하고, 일시적으로 북

핵 협상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하

였다. 1995년

「남북기본

서」 이행을 촉구하며 남북한 중심의 한반도 평화논의를 강조하기도

다.37) 하지만 북핵 문제와 함께 한반도 평화논의도 관련국의 협 조와 뒷받

침이 필요한 국제화된 이 슈임을 강조하며 4자회담

을 적극 적으로 추진하였다.

균 3~4개월 주기로 개최된 4자회담

은 ‘주한미군 철수문제’와

‘평화협정 체결의 주체 문제’로 공전을 거듭하

였다. 김영 삼 정부는

4자회

담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한반도 평화논

의의 종합적이고 장기 적 추진, 남북협상 우선

원칙, 남북한 간 기존 합의 존중, 한반도 평

화체제 구축 전까지 정전체제 유지, 관련국의 협조 중시 등의 기본

원칙을 견지하였

다.38)

나. 교류 기반의 평화 추진기 (김대중 ‧ 노무현 정부)

‘교류 기반의 평화 추진기’는 김대중 정부(1998년 2월~2003년 2월)

와 노

무현 정부(2003년

2월~2008년 2월)를 의미한다. 이 시기는

흡수통일을 배제하고 단계적으로 ‘1 민족 1 국가’의 통일국가를 완성하는 것을 의미한 다. 통일원, 뺷통일백서 1997뺸, pp. 61~63.

37)“김영삼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대북기조 총괄적 재천명 의미,” 뺷KBS뺸, 1996.08.15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3764989>; “평화통일 4원칙 제시…

金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뺷중앙일보뺸, 1997.8.16 <https://www.joongang.co.

kr/article/3501147#home> (검색일: 2021.5.10.).

38) 유석렬, “북한의 4자회담 전략과 우리의 대응,” 외교안보연구원 보고서, 1997년 7월 25일.

노태우‧

김영 삼 정부 시기 시작된 한반도 평화논

의를 남북한 간 대 화와 협력을 통해 구체화하기 위해 노력한 시기이다. 이 시기는 한 반도 평화 추구의 패러다임 변화가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시기의 특징은 남북대화와 협력을 통한 남북관계 개선을 한반도 평 화구축의 선결 과제로 인식하

다는 점이다. 이러한 한반도 평화 인 식은 적극적인 남북교류협력 추진‧

확대 정책으로 이어졌다.

대중 정부는 남북교류협력과 정치‧군사적인 문제의 동시 타결 을 추구하

였다. 정부 출범 초기부터 ‘남북 당사자 원칙’과 자주, 평

화, 민주의 ‘통일 3원칙’에 입

각한 점진적이고 단

계적인 통일을 강조 하

였다. 이와 함께 「남북기본합

의서」에 따른 남북교류협력을 추구 하

였다. 김

대중 정부는 ‘햇볕정책’으로 대표되는 대북포용정책을 일 관되게 추진하며, 북한의 급변사태보다는 북한의 장기 생존 가능성 을 바

탕에 둔

한반도 평화논의를 강조하였다. 북한이 중국과 베트남

처럼 개혁

‧개방의 길로 나아갈 수 있도록 교류협력을 통해 점진적 변화를 유도하고자 한 것이다.39)

이 시기에는 남북대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남북기본합의서」

이행, 정경분리에 입

한 남북경협 확대, 사회‧문화교류 확대, 인도 적 차원의 대북지원, 경수로사

업의 체계적 추진, 한반도 평화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 추진 방향 설정 등이 추진되었다. 북한의 잇따른 도발로 인해 대북정책의 전환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지만, 정경 분리 원칙을 앞세

워 햇볕정책을 지속하였

다. 김 대통령은 남북관계 를 적대관계가 아

닌 ‘공생관계’로 설정하고, 평화공존, 평화교류, 평

화통일을 한반도 정책의 기조로 삼았다.40) 그 결과, 2000년 남북정 상회담을 개최하고 ‘6.15 남북공동선언’을 채택하여 남북한 간 현안

39) 조경근, “김영삼 정부의 대북정책 내용과 평가,” 뺷통일전략뺸, 제12권 제3호 (2012), p. 165.

40)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뺷민주평통뺸, 1998년 3월 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