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다. 다
음으로 그와 같
은 목적을 이룩하기 위해 군사작전 전과 후 미국이 사용했던 수 단들
을 일일이 검토한 후 그 사례가 현 미국 평화 정책에 대해 어떠한 점을 시사하는지 짚을 것이다. 이 장의 마지막 에는 사례
분석
을 통해 드러난 냉전 후 미국 주도의 평화구축의 연속 성과 불연속성을짚
어 볼 것이다.유고슬라비아 전쟁은 1991년 6월 슬로
베니아와 크로아티아의 독 립
선언 후 연방군이 즉각 진압에 나섬으로써 시 작되었
고, 이듬해 4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무슬림이 섞여 있는 보스니아로 번 졌
다. 세르비아 밀로셰비치 정권의 지원을 받은 보스니아 세 르비아
계 무장대는 급속도로 영역을 넓히는 한편 비세르비아계를 대상으 로 퇴거, 감금, 성폭력, 학살 등을 동원한 인종청소
를 자행했다.124) 그러나 1995년 세르비아계가 유엔 안전지대에서 벌인 학살사건 이후
NATO의 대규모 공중폭격이 시작되면서 전세가 역전되었고,125)같
은 해 12월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정부가 데이턴 평화 협정에 조인함으로써 구 유고연방 내 모든 전쟁이 일단 종결되었
다.126)그러나 전쟁은 코소보에서 다시 한 번 발생
했다. 인구의 90%에
달하는 코소보 알바니아계는 1989년 밀로셰비치 정권의 압력으로 자치권을 잃은 후 줄곧 비폭력 저항노선을 지지했으 나 다 른 지 역들
이 전쟁을 통해 독립을 이루는 것을 보며 무장투쟁을 유력한 대안으
로 여기기 시작했다.
127) 특히 1997년 정부붕괴 사태를 겪은 알바니 아로부터 유입된 장비로 단시간 내 무장력을 확충한 코소보 해방군 (Kosovo Liberation Army: KLA)의 활동이 두드러졌다.128) 그들은123) Mark Biondich, The Balkans: Revolution, War, and Political Violence Since 1878, pp. 197, 246.
124)Ibid., pp. 213~215.
125) Ibid., p. 236.
126)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마케도니아(1991년 9월 독립)의 이탈로 새 유고 연방의 영역은 세르비아와 1980년대 밀로셰비치에게 권력을 장악당 한 몬테네그로, 보이보디나, 코소보로 축소되었다. 구 연방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보스니아전쟁 종전 후 코소보에 대한 주권을 행사하는 정부를 세르비아 정부로 칭한다.
127) Tim Judah, Kosovo: What Everyone Needs to Know, p. 79; The Independent International Commission on Kosovo, The Kosovo Report: Conflict, International Response, Lessons Learn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pp. 43~44.
지
역 정보 우위를 바 탕으로 세르
비아병
력과 교전을 피하고 군경, 정부 인원, 알바니아계 협력자 등을 공격하는 전형
적인 게릴라 전술
을 사용했다.129)본
격
적인 전쟁은 1998년 2월 세르
비아 경찰이 장갑차와 헬리콥터 를 동원
하여 최초의 KLA ‘해방구’ 드레
니카 지역 마을을 습격하면서 시작되 었다.
130) 초창기 세르비아는 KLA 지도부 제거
, 보급 차단, 알바니아계에 대한 유화책 등을 사용했으나
전쟁이 장기화됨에 따 라 무차별 폭력에 의존하기 시작했다.131) 특히 1998년 KLA의 여름
공세 이후 진압병력 중 군대 비중을 늘리고 지 휘관들
을 강경론자로 교체한 뒤 학살, 감금, 성폭력을 동반한 게릴라지역 내 알바니아계 집단 퇴거 작
전을 벌였다.132) 이와 같은 폭력은 게릴라 지지기반을 제거하려는 전술적 목적 외에 인종 청소 목적을 띈 것으로 해석
되기 도 한다.133) 세르비아가저지 른 각
종 전쟁범죄
의 결과, 최소 1,000,000명 이상의 이재민, 10,000명가량의 학살 피해자, 3,500 명
이상 실종자, 무수한 성폭력 피해자, 500 마을 이상의 방화 피해 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 됐다.134)128) Henry H. Perritt, Kosovo Liberation Army: The Inside Story of an Insurgency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8), p. 99; The Independent International Commission on Kosovo, Ibid., p. 52.
129) Henry H. Perritt, Ibid., pp. 67~74.
130) The Independent International Commission on Kosovo, Ibid., p. 68.
131) Henry H. Perritt, Henry H. Perritt, Kosovo Liberation Army: The Inside Story of an Insurgency, pp. 48~53.
132) Tim Judah, Kosovo: What Everyone Needs to Know, p. 82; Henry H. Perritt, Ibid., pp. 53~56.
133) Madeleine Albright and Thomas Blood, Madam Secretary: A Memoir (New York: Harper Perennial, 2013), p. 452.
134) Mark Biondich, The Balkans: Revolution, War, and Political Violence Since 1878, p. 240; The Independent International Commission on Kosovo, The Kosovo Report: Conflict, International Response, Lessons Learned, pp. 301~318.
나. 미국의 코소보 전쟁 개입 목적
미국은 전쟁이 발생하기 전부터 밀로
셰비치 대통 령이 군사 작전을 준
비 중이라는 것을 감지하고 있었다.135) 또한 전쟁이 발생할 경우 (보스니아 전쟁에서의 경험에 비추어) 알바니아계에 대한 세르
비아 정부의 광범위한 인권유린이 벌어질 수 있다는 것을 우려하고 있었
다.136) 비록
코소보에서의 분쟁이 본토 안보나 경제적 번영 등 핵심 국익과 결부되어있지는 않았지만,
137) 클린턴 정부에게는 코소보에 서 구 유고연
방 다른
지역에서 발생한 것과 같
은 폭력 사태가 발생하 는 것을 저지해야 할 인도적, 지정학적 이유가 있었
다.가장 먼저 미국은 소련의 붕괴 이
후 국제사회의 지도자 역할을 추
구하며 시장경제, 민주주의와 함께 인권에 대한 존중을 핵심 가치로 천 명해왔기 때문이다. 클린턴 대통령을 비롯한 정책결정자들이 일
관적으로 증언하듯 과거 르완다, 보스니아 등지에서 발생한 대 량 학
살을 저지하는 데 실패한 것은 미 정부에 큰
부담
이 되었기에 인도에 반한 죄(crime against humanity, 이하 반인도 범죄)가 재차 벌어 지는 것을 막고자 한 것이다.138)135) Madeleine Albright and Thomas Blood, Madam Secretary: A Memoir, p. 422;
Ivo H. Daalder and Michael E. O’Hanlon, Winning Ugly: NATO’s War to Save Kosovo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00), p. 27; The Independent International Commission on Kosovo, The Kosovo Report:
Conflict, International Response, Lessons Learned, p. 133.
136) Ivo H. Daalder and Michael E. O’Hanlon, Ibid., p. 22.
137) Eliot A. Cohen, “Kosovo and the New American Way of War,” in War Over Kosovo: Politics and Strategy in a Global Age, eds. Andrew J. Bacevich and Eliot A. Cohe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 pp. 46~47.
138) Madeleine Albright and Thomas Blood, Madam Secretary: A Memoir, p. 451;
James Bennet, “Clinton Proposes Force For Kosovo; Cites U.S. Interest,”
New York Times, February 14, 1999; Balkan Investigative Reporting Network, “Clinton: Rwanda Guilt Led to Kosovo Intervention,” Balkan Insight, November 2, 2009, <https://balkaninsight.com/2009/11/02/clinton -rwanda-guilt-led-to-kosovo-intervention> (Accessed October 4, 2021).
그러나 미국이 순수하게 인권 보호만을 위해 코소보 문제에 개입 한 것은 아니었다. 냉전 종식 후 서유럽 동
맹국 들의 이 탈 및 도전을
우려하던 미국에게는 자칫 그 들의 독자행보를 정당화할 수 있는 유 럽
내 질서 악화를 막아야 할 이유가 있었다.139) 실제로 클린턴 대통령
은 군사작전 개시를 전후하여 코소보 전쟁이 유럽 지역
을 넘어 세 계 질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꾸준히 제기했
다.140) 코소보 사태 가 악화되면 대규모 난민이 발생해 알바니아, 마케도니아, 보스니아 등 이미 전쟁이나 정부기능 마비 등으로 홍역을 겪고 있는 주변국 정세에 악영향을 줄 것이며, 최악의 경우 그리스, 터키 등을 포함한 국가 간 분쟁으로 번질 수 있다는 것이다.다. 코소보 전쟁 개입 과정
코소보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세 르비아가 코소보 내 폭
력 행위를 중단하고 알바니아계와 평화협정을 맺도록 압
력을 행 사하는 것이었다. 개입 논의 초기부터 단독 행동에 대한 고려는 사 실상 배제되어 있었기에 외교 활동을 통해 타국들과 공조하는 것이
미 정부로서는 가장 중요했다.141) 미국은 이를 위해 다양한 외교 통 로를 활용했
는데, 국제법상 무력행사와 관련해 권위를 갖는 유엔 안
보리는 주 창구가 아니었다. 군사력을 사용하게될
경우 NATO의139) Alberto R. Coll, “Kosovo and the Moral Burdens of Power,” in War Over Kosovo: Politics and Strategy in a Global Age, p. 128; John J. Mearsheimer,
“Back to the Future: Instability in Europe after the Cold War,” International Security, vol. 15 no. 1 (1990), pp. 5~56.
140) James Bennet, “Clinton Proposes Force For Kosovo; Cites U.S. Interest;” Bill Clinton, “Taking a Stand for Peace in Europe,” March 24, 1999,”
<https://clintonwhitehouse4.archives.gov/textonly/WH/Work/032499.html>
(Accessed October 4, 2021),
141) Ivo H. Daalder and Michael E. O’Hanlon, Winning Ugly: NATO’s War to Save Kosovo, p. 30.
자
율성을 유지하고자 했
기 때문이다.142) 유엔 안보리에서 러시아와 중국이 거부권을 사용할 경우 코소보에 대한 개입에 차질이 벌
어질 가능성이 있으며,143) 무력 사용이 승인된다고 하더라도 NATO의 활 동이 러시아와 중국의 결정에 좌우된다는 선례로 쓰일 수 있다는 것 이 그 논리였다.144) 물론 안보리가 코소보 전쟁 해결을 위해 아무런 기능을 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전쟁이 악화되면서 안보리는 1998년
3월(1160호)과 9월(1199호), 10월(1203호) 세 차례에 걸쳐 폭력
사용을 멈추고 사태 해결을 요구하는 결의를 내어 세르비아를 압박했
다. 그러나 결의안에 세르비아가 요구에 따르지 않을 경우 따라올
제재까지 명시하는 것에는 실패했는데, 이는 러시아와 중국의 반대 때문이었다.
145)유
엔
안보리 대신 미국은 보스니아 전쟁 해결을 위해 만들어진 비 공식 포럼 컨택트 그룹(Contact Group)을 주로 활용했
다.146) 컨택 트
그룹은 엄격한 의사결정과정 없는 비공식 포럼이었기에 세 르비
아에 대해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보유한 러시아와 상설 소
통 기구를 유지함과 동시에 견해차가 좁혀지지 않을 경우 러시아를 제외한 채 의견을 모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었다. 컨택트 그룹은 공동 성명142) Madeleine Albright and Thomas Blood, Madam Secretary: A Memoir, pp. 425~426.
143) 러시아의 경우 일찌감치 세르비아에 대한 무력 사용에 거부권을 행사할 것을 천명 했다. 이는 두 국가가 같은 범슬라브족에 속하며 NATO에 대한 경계심을 공유하는 관계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The Independent International Commission on Kosovo, The Kosovo Report: Conflict, International Response, Lessons Learned, pp. 142~144.
144) Ivo H. Daalder and Michael E. O’Hanlon, Winning Ugly: NATO’s War to Save Kosovo, p. 80.
145) 이어 러시아는 1999년 3월 코소보에 대한 NATO 군사작전을 중지시키는 결의안을 제출하나 통과시키는 데에는 실패한다.
146)미국, 러시아, 프랑스, 영국, 독일, 이탈리아 참여. The Independent International Commission on Kosovo, The Kosovo Report: Conflict, International Response, Lessons Learned, p. 139.
을 통해 세르비아에 메시지를 전달했으며 1999년 2월 프랑스 랑 부예에서 세르비아 정부와 알바니아계 사이 평화협상을 중재하기 도 했다. 한편 군사력 활용에 대해서는 NATO 내부에서 대화가 이
루어졌다.
외교적인 압력에
더
해 경제제재도 비교적 이른 시기 가해졌다.1998년 3월 유엔 안보리가 세르비아에 대한 무기 금수조치를 결의
했
고 4월부터 6월까지 컨택트 그룹
국가들이 세르비아의 해외 자산 동결, 투자 유치 금지, 항공편 봉쇄 등에 차례로 합의했지만 가시적 인 결과는 없었다.147) 해상 봉쇄와 석유 수출 금지 등 보다 강력한 경제제재는 NATO의 군사작전이 시작한 이후인 1999년 5월에 이루 어진다.외교와 경제재제 만으로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미국은 1998년 6
월
NATO 회원국들과 군사력 활
용 방안에 대해 본격적으로 협의하 기 시작한다. 그러나 당초부터 적지 않은 정책결정자 들이 세르비아
의 공격을 중단
하기 위해서는 군사 위협이 필요하다고 여겼음에도무
력 사용을 결정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렸다.148) 16개 회원국
간 군사력 사용 방안은 물론 코소보에서의 군사 작전이 국제법과 NATO 규약에 어긋나는지를 두고 이견이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고, 무엇보다 군사력 사용의 급박성에 대한 판단이 갈렸 던 탓이 크
다.149) 다시 말하면 상황이 심각한 단계에 이르지 않고서는 국제법147) Ivo H. Daalder and Michael E. O’Hanlon, Winning Ugly: NATO’s War to Save Kosovo, pp. 28~29.
148) Madeleine Albright and Thomas Blood, Madam Secretary: A Memoir, p. 423;
Ivo H. Daalder and Michael E. O’Hanlon, Ibid., p. 31.
149)타국 내 군사력 사용이 국제법상 정당한 것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1) UN 안보리의 승인, 2) 영토 주권을 가진 집단의 허락, 혹은 3) 자기방어의 논리 중 하나가 충족이 되어야한다. NATO의 코소보 폭격은 이중 어느 것에도 해당되지 않았다. Monica Hakimi, “The Jus Ad Bellum’s Regulatory Form,” Americ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 112 no. 2 (2018), p.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