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장에서는 한반도 평화
논
의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역
대 정부의 한반도 평화 인식과 정책을 비교‧분석해보았다. 노태 우 정부는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한반도 평화논의를 공식화한 정부이다. 하지만 노태우 정부부터 문재인 정부에 이르기까지 역
대 한국 정부에서 한반도 평화논의는 활발히 전개되지 못하였다. 역대 정부는 한반도 평화 정착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평화구축을 위한 정 책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역대 정부는 한반도 평화 인식과 한반도 평화를 달성하는 방법
론 측
면에서 분명한 차이를 드러냈
다. 또 한반도 평화구축과 관 련된 쟁점 이슈에 대해서도 역
대 정부가 다른 입장을 견지하는 모습 이 포착되었다. 이 과정에서 한국의 핵심 동 맹인 미국에 맞서 거나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역대 한국 정부의 한반도 평 화 인식과 평화정책은 각각의 특성이 다르고, 명확한 차이가 나타난 다는 의미이다.본 장은 노태우 정부부터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 인식의 유사 성에 바탕을 두고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한반도 평화
논의 착
수기(노태우‧김영 삼 정부)와 교류 기반의 평화 추진기(김
대중‧노무
현 정부), 국제규범 기반의 평화 추진기(이 명박
‧박
근혜 정부), 평 화의 최우선 추구기(문재인 정부) 등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한반도 평화
논의 착
수기’에는 남북대결을 남북한의 공존과 화해로 전환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한반도 평화논의를 남북한 간의 의 제에서 국제적 의제로 확장하였다. 이로 인해 남북한은 물론 국제사 회가 한반도 평화구축 논의에 관심 가지게 되
었
다는 점이 특징이다.다
음 ‘교류 기반의 평화 추진기’는 남북 화해
‧협력을 위한 대화를 중요한 의제로 상정하고, 남북관계 개선을 한반도 평화 정착의 선결
과제로 인식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북핵 문제 역시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할 것을 주장하며, 남북대화 및 교류를 통한 관계개 선에 초점을 맞춘 것이 특징이다. ‘국제규범 기반의 평화 추진기’는
북핵‧미사일 실험을 포함한 북한의 무력도발에 대한 강력한 대응이 특징이다. 이 시기는 남북대화 나 남북관계의 특수성이 아니라 국제 규범에 기반한 국제사회의 대북정책을 지지하고, 보조를 맞 춘 시기
이다. 한반도 평화 정착은 북핵 문제의 선제적 해결로 가능하다는
인식이 표출
된 시기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평화의 최우선 추구기’ 는 남북대화를 강조하며 북핵 문제의 해결과 함께 종전선언과 평화 협정 체결을 추진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양자 그리고 다자 대화 를 통해 북핵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한반도 평화구축을 위한 국제사회의 지지 획득을 위해 노력하 였다.
지
금까지 역
대 한국 정부의 한반도 평화 인식과 평화정책의 특징 을 살펴보았다. 역대 한국 정부는 한반도 평화구축 문제에 있어 미
국의 역할과 중요성이 크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는 듯 보였다. 하지
만 한반도 평화구축 의제는 미국의 아시아‧태평양 전략 수립과정에 서 우선순위가 낮아 한‧미 간 활발한 논의가 전개되지는 못하였다.
한국은 대체로 핵
심
동맹인 미국과 공조를 선택하였지만, 일부 이슈
에 대해서는 대립하기도 하였다. 이에 본 장은 한국과 미국의 한반 도 평화논의 전개 과정에서 쟁점화된 대표 이 슈를 다 섯 가지로 정리
하였다.
첫
번째 이슈는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문제이다. 한‧미는 초기 한국의 단독 가입을 시도하였지만, 탈냉전 분위기가 확산되는 가운
데 남북한 동시 가입을 추진하기 위해 협력하였다. 두 번째 이 슈는
대북지
원 문제이다. 한
‧미 양국 모두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대북지원
을 활발히 추진하였다. 하지만 대북 제재 상황 속에서 추진하는 대북지원 문제에서는 이견이 표출되 었다. 세 번째는 평화협정 체결
및 종전선언이다. 한국은 남북한이 주체가 되는 평화협정 및 종전선 언을 추진하고자 하였으나
, 미국은 4자 혹은 6자 회담을 통한 평화 협정 논의를 주장하였다. 네
번째 이슈는 전작권 전환 문제이다. 노
태우 정부에서 체결된 전작권 전환 문제는 한국 사회에서 정치 쟁점
화되면서 남남갈등을 유발하였다. 이뿐 아니라 초기 한국으로의 전작권 전환을 약속하였던 미국이 전략적 변화를 선택
하며 합의를 도출
하지 못하였다. 마지막 쟁점 이슈는 북핵 문제 해결방안(경로) 문 제이다. 한반도 비핵화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한‧미 양국 모두 공감 대를 형성하고 있으나 경로 및 방식을 둘러싸
고 의견 차이를 드러냈 다. ‘선 비핵화, 후 대화(지원)’원칙을 고수하고 있는 미국과 달리
한국은 미국의 원칙 지지와 대화를 통한 비핵화 추진 등 두 가지 방 식으로 의견이 갈렸
다. 미국과 이러한 이견을 조율하고 협의하기 위 해서는 양국이 정책적 공조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한국의 최우방인 미국과의 긴밀한 협의를 통한 합의가 도출된다면, 이는 한반도 평화 구축에 대한 국민적 지지를 확보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 다. 구체적으로 한‧미 양국이 한반도 평화구축 논의를 위해 정례적 회의를 진행하는 것과 같은 공조 체계를 유지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을 마련해야 한다.Ⅲ. 미국의 평화 인식과
Dalam dokumen
미국의 평화정책과 전망: 한반도 평화구축을 위한 한미관계
(Halaman 6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