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
령은 지난
4월 뉴욕타임즈(New York Times)와의 인 터뷰에서 바이든 대통령
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 정착을 위해 실질적이고 철회 불가능한 진전을 이루어 낸 대통령으로 기록 (go down as a historic president that has achieved substantive and irreversible progress for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and peace settl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되기를 기대한 다고 말했다.
222) 그리고 한 달 뒤인 5월 바이든 대통령은 문재인 대 통령과의 한미정상회담에서 미국은 ‘판
문점선언’과 ‘싱가포르 공동
선언문’에 기초한 한반도 비핵화와 영구적 평화 정착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화
답했
다.223) 이는 바이든 정부가 한반도 평화를 위해 한 국 정부와 함께 노력하겠다는 의사를 재 확인한 것이다.
그런데 바이든 정부가 한반도 평화를 지지한다는 입장이 우리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로드맵을 그대로 수용하겠다는 의미는 아
닐
수 있다. 왜냐하면 바이든 정부의 한반도 평화구축을 위한 우선순위 및 관련 전략이 우리의 것과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글로벌 민주주의를 이끄는 미국이 평화를 지지하지 않는다는 것은 상상하 기 어렵다. 하지만 미국이 국제무대에서 평화를 지지한다고 할 때
222)“After Trump ‘Failed’, South Korean Leader Hopes Biden Can Salvage Nuclear Deal” The New York Times, April 21, 2021, <https://www.nytimes .com/2021/04/21/world/ asia/biden-north-korea-nuclear–deal- president–
moon.html?action=click&module=RelatedLin ks&pgtype=Article> (Accessed April 28, 2021).
223) 2021년 5월 한미정상회담 후 발표된 공동선언문에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We also reaffirm our common belief that diplomacy and dialogue, based on previous inter-inter korean and US-DPRK commitments such as the 2018 Panmunjom Declaration and Singapore Joint Statement, are essential to achieve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and establishment of permanen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r.”: “US-ROK Leaders’ Joint Statement”, The White House, May 21, 2021, <https://www.whitehouse.gov/briefing-room/
statements–releases/2021/05/21/u-s-rok-leaders-joint-statement/> (Accessed May 22, 2021).
그 ‘평화’에 대한 인식과 구현 방식은 우리의 것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평화가 실현되는 현실은 분쟁 당사국 간 관계 및 주변국과의 관계, 관련국들의 이익에 대한 고려, 관련국의 군사력 및 경제력, 관련국 국내외의 정치상
황 및 여론
등 다양한 변수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이에 본 장은 바이든 정부의 한반도 평화에 대한 입장을 보다 객 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바이든 정부의 평화 인식과 한반도 관련 정 책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바이든 대통령을 비롯한 주요 정부 인사 의 평화 일반과 한반도 평화에 대한 인식을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