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미국의 평화 인식과 평화구축 활동

Ⅲ. 미국의 평화 인식과

본 장은 냉전 이

미국 행정부가 견지해 온 국제평화(international peace)에 대한 인식과 이를 바

탕으로 추진해 온

평화구축

활동

(peacebuilding operations)에 관한 개

괄적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

다. 이를 위해 우선 냉전 기간 소련과의 체제 경쟁에서 정치‧군사적 우위를 점하기 위한 협의적 관점에서 접근한 미국의 국제평화에 대 한 인식과 비교해, 냉전 이후 미국 정부의 국제평화에 대한 인식과 평화구축 활동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분석할 것이다. 이와 관련해 본 장에서 제시하는 분

석의 핵심

은 탈냉전 시대 미국의 국제평화에 대 한 인식은 자유주의적 국제주의(liberal internationalism)에 입

해 인권이나 민주주의 같은 보편적 가치와 규범을 중시하며 광의적 관점의 국제평화를 추구하는 것으로 변화

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냉

전 직후 1990년대 미국의 국제 평화구축 활동 또한 유엔(United Nations)과 같은 국제기구와 제도를 통한 적극적 다자협력을 선호

다.

하지만 2001년 9‧11 테러의 충격으로 인해 이후 미국의 국제평화 에 대한 인식과 평화구축 활동의 초점은 세계적 차원에서의 테러와 의 전쟁(Global War on Terrorism)으로 이동했다. 따라서 지난 20

동안 미국은 아프가니스탄과 이라

크 그리고 시리아와 소말리아

등의 분쟁지

역에서 국제 테

러 조직들과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

단체

을 격퇴하기 위한 군사 작전을 수행해 왔다. 2001년 이

후 이와 같

은 미국의 평화구축 활동에서 발견할 수 있는 특징은 군사 작전의 신

속성과 효율성을 위해 유엔을 통한 다자적 접근보다 북대서양조

기구(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와 같은 동맹 기구를 활용한 독자적 접근을 선호해 왔다는 점이다. 하지만 또 하

의 중요한 특

은 2001년 이후 미국의 평화에 대한 인식과 평화구 축 활동이 냉전 시

절의 협의적 관점으로 회귀

하지 않고, 광의적 관

점의 평화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평화구축 활동을 전개해 왔다는 점이다. 이는 대표적으로 아프가니스

탄과 이라 크에서 알 카에다 조 직

을 격퇴하고 국제 테러리즘을 비호하던 탈레반 정부와 사담 후세 인 정부를 전

복한 이후

각 국가에 평화

롭고 안정적인 민주 정부와

속한 경제 재건을 목표로 다양한 ‘국가건설(nation building)’ 활

동을 전개해 온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86)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본 장에서는 다음과 같이 ‘줌인 (zoom-in)’식 분석이 이루어질 것이다. 첫째, 우선 전 세계적 차원 에서 전개된 국제평화구축 활동에 대한 개괄적 이해를 위해 1948년 부터 2020

년까지 수행된 총

71차례의 유엔 평화구축 활동 사

례들을 임무 유 형별로 구분해 시기별

변화 패턴을 분석할 것이다. 둘째, 이 를 바

으로 냉전 이

미국 주도로 실행된 31개의 국제평화구축 활 동 사례들을 선정해 시기별 차이 및 행정부별 특징을 분석할 것이 다. 셋

째, 31개의 국제평화구축 활

동 사례 중 유엔을 통한 다자주의 적 접근을 취하지 않고 미국의 동맹국

들을 동원해 전개한 8개 사 례

에서 발견할 수 있는 특

징을 분석

할 것이다. 특히 9‧11 테러 이후 미국이 아프가니스탄 전쟁(2001~2021)과 이라

크 전쟁(2003~2011)

에 투여한 군사적 자원 및 경제 비용 규모와 유엔 평화구축 활동에 대한 미국 정부의 기여 수준을 비교 분석해 미국의 국제평화구축 활 동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파악할 것이다.

본 장의 이러한 분

석은 코소보와 시리아에서의 국제평화구축 활

동을 비교 분

석하는

Ⅳ장과 연결되어 냉전 이후 미국의 국제평화에

86) 이런 의미에서, 냉전 이후 미국의 광의적 관점의 국제평화구축 활동과 ‘국가건설 (nation building)’이 종종 혼용되어 쓰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다음을 참조. Mark T. Berger and Justin Y. Reese, “From Nation-states in Conflict to Conflict in Nation-states: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Nation Building from South Vietnam to Afghanistan,” International Politics, vol. 47, no. 5 (2010), pp. 451~471.

대한 인식과 그 활동에 관해 더욱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중 패권 경쟁이 격화되어가는 전략적 환경에서 바 이든 정부가 추구하고자 하는 미국적 관점의 평화와 평화구축 활동 이 무엇일지 분석하는 Ⅴ장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바이든 정부가 추구하고자 하는 국제평 화의 관점에서 한반도 문제를 어

게 접근할 것인지 가늠해 보는 데 도

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와 바이든 정부의 전 세계적 평화구축 전략을 어떻게 연결해야 장기 적으로 지

가능한 한반도 평화 체제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지 고민하는 데에도 도

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