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940~1950년대
미국에서 탄도미사일에 대한 방어기술의 개발 필요성이 공식 제기 된 것은 1945년 7월 4일이었다. 당시 미 육군은 최초로 탄도미사일을 요격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시작하도록 행정부에 제의했다. 이듬해 5월 29일 발간된 “스틸웰보고서”(Stilwell Board Report)는 미래의 유도미 사일은 전투기와 대공무기로 요격할 수 없을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면 서 요격미사일 개발을 정식으로 건의했다. 따라서 1946년은 미국이 미 사일방어방 개발 프로그램에 착수한 원년으로 기록된다.
1955년 5만여 차례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끝에 벨연구소 과학자들이 총알로 총알을 요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1955년부 터 육군이 “나이키-제우스”(Nike-Zeus) 탄도탄요격미사일 개발을 추 진하기 시작했다. Nike-Zeus는 400kt 무게의 핵탄두를 탑재한 장거리 요격미사일을 발사하여 외기권 혹은 대기권 고도도에서 핵탄두를 폭 발시켜 적의 탄도미사일을 격추하도록 고안되었다. 나이키-제우스의 목적이 미국 전역을 방어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거의 완벽에 가까운 성능이 필요했다. 주요 도시를 향해 날아오는 소련의 핵미사일 가운데 몇 기만 요격에 실패해도 그 피해는 엄청날 것이기 때문이었다. 그러 나 당시 기술로 이러한 완벽한 방어를 실현한다는 것은 불가능했다.
이밖에 레이더가 다수의 미사일에 대처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침투보 조수단”(Penetration Aid)30)에 취약하다는 문제점도 노출되었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의회의 강력한 배치압력이 있었으나 아이젠하워 대통 령은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배치를 포기하였다.31)
30) 풍선과 같은 “위장탄두”(Decoy)에서부터 “전파방해기”(Radar Jammer)에 이르기까지 탄도미사일과 여기에서 분리된 탄두에 대한 요격을 방해하는 모든 수단을 말한다. 줄여서 “Pen Aid”라고도 한다.
31) Jack Ruina, “Missile defense, part VI,” Washington Post, March 4, 2001, p. B03.
1957년 10월 4일 소련이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닉(Sputnik)호를 발사하는 데 성공하면서 미‧소간에 본격적인 탄도미사일 개발경쟁이 시작되었다. 미사일방어 프로그램이 시작된 이후 육군과 공군간에 주 도권 경쟁이 치열했지만 1958년 1월 16일 육군이 탄도미사일방어의 책임 부서로 지명되었다. Nike-Zeus와 병행해서 추진되었던 계획이 오늘날의 신기술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프로젝트 디펜더”(Project Defender)였다. 여기에서 개발된 개념이 BAMBI(Ballistic Missile Boost Intercept)인 데, 이는 표적탄도미사일의 발사초기 5분(이륙‧상 승단계) 사이에 위성에서 발사하는 일단의 직격파괴 미사일들로 망을 형성해서 탄도미사일을 파괴하는 방식을 상정했다.
2. 1960~1970년대
1962년 7월 19일 태평양 상공에서 행한 나이키-제우스 요격미사일 실험에서 표적인 Atlas ICBM에 2km까지 근접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탑재된 핵탄두로 표적을 파괴할 수 있는 거리였다. 같은 해 12월 실시 된 실험에서는 요격미사일이 표적에 200m까지 근접했다. 육군은 나이 키-제우스의 배치를 밀어 부쳤지만 맥나마라 국방장관이 반대했다. 맥 나마라는 당시 채택과정에 있던 “상호확증파괴”(MAD) 개념을 기본으 로 하는 미국의 포괄적인 전략 속에서 미사일방어망의 배치여부가 검 토되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케네디 대통령은 1962년 12월 22일 나이키-제우스를 “나이키-엑 스”(Nike-X) 프로그램으로 전환했다. Nike-X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 이 보강되었다: ①새로운 위상배열레이더 사용, ②핵탄두를 탑재한 두 가지 형태의 요격미사일(단거리용 Sprint와 Nike-Zeus를 개량한 장거 리용 Spartan) 개발, ③컴퓨터 기능 향상. 그러나 Nike-X도
Nike-Zeus가 갖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했다. 1966년 11월 10일 맥나마라 국방장관은 소련이 “갈로쉬”(Galosh) 탄도미사일요격체 계를 배치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갈로쉬의 개량형인 “가젤”(Gazelle) 체계는 현재도 모스크바 인근에 배치되어 있다.
1967년 9월 18일 존슨 행정부의 맥나마라 국방장관은 Nike-X를 대 체하는 “샌티널”(Sentinel) 요격체계를 배치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시 절에는 미소간의 군비경쟁 결과 어느 한쪽이 전국적인 미사일방어망 을 갖추더라도 다른 상대방은 침투보조수단을 이용하거나 공격력을 증강해서 훨씬 적은 비용으로 자국의 공격력이 훼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점이 분명했었다. 결국 상대방의 공격에 대한 취약점은 줄 어들지 않은 채 군비경쟁의 악순환만 반복될 것이라는 인식이 확산된 것이다.
맥나마라 국방장관은 샌티널 계획을 발표할 때 다음 두 가지 점을 지적했다: ①“중량의 ABM 체계”(Heavy ABM System)를 배치하는 것은 공격무기의 개발경쟁을 야기함, ②지금 필요한 것은 핵무기의 우 발적 발사나 중국의 소규모 핵전력과 같이 제한된 위협에 대처할 수 있는 “경량의 ABM 체계”(Light ABM System)를 갖추는 것임.32) 따 라서 존슨 행정부가 Nike-X 계획을 축소하여 잠재적인 중국의 장거 리 미사일에 대응하는 제한된 방어망으로 제시한 것이 샌티널이다. 미 국의 미사일방어망 개발 계획에서 중국의 위협이 최초로 언급된 것은 센티널 개발 때이다.33)
샌티널로는 소련의 대량 ICBM 공격을 방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32) Coit Blacker and Gloria Duffy, International Arms Control: Issues and Agreements, p. 206.
33) 중국은 1959년 원자폭탄 실험과 1964년 ICBM 발사에 성공했고, 1980년대 들어서 초보적 수준의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을 보유하게 되었다.
중국은 현재 총 20~24기의 ICBM과 사거리가 짧은 SLBM을 다수 보유하 고 있다.
미소간의 군비경쟁을 야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 전제되었다. 결국 샌티널은 소련의 대량공격으로부터 인구밀집지역을 광범위하게 방어 하는 층이 두터운 방어망이 아니라 주로 중국의 공격을 겨냥한 층이 얇은 방어망이다. 물론 샌티널은 중국의 소규모 ICBM 공격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주임무로 하면서 동시에 미닛맨 ICBM 기 지를 방어하고 소련 ICBM의 우발적 공격으로부터 인구밀집지역을 제 한적으로 보호하려는 의도도 갖고 있었다.34) 하지만 샌티널 계획은 기본적으로 “가벼운 미사일 공격”(Light Missile Attack)에 대응한 체 계였다.35)
1969년 3월 14일 닉슨 대통령은 샌티널 계획을 “세이프가 드”(Safeguard) 체계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세이프가드는 지금까지 의 미사일 방어계획이 도시와 인명의 방어에 초점을 맞추었던 것과 달리 최대 12개의 요격미사일 기지를 구축해서 미닛맨 ICBM 기지와 전략공군사령부 및 워싱턴 등 핵심 군사시설의 방어에 중점을 두겠다 는 것이다. 물론 세이프가드도 후에 방어범위를 확대하여 인구밀집지 역도 방어하도록 하는 복안을 갖고 있기는 했다.
1972년 5월 26일 닉슨과 브레즈네프가 양국의 미사일방어망을 두 곳에 각각 100기의 요격미사일을 갖추는 것으로 제한하는 ABM 조약 에 합의했다. 1974년 7월 3일 ABM 조약은 요격미사일 기지를 한 곳 으로 축소하도록 수정되었다.
1975년 10월 1일 노스 다코다주 그랜드 폭스(Grand Forks)에서 세 이프가드 체계가 가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그 이튿날 미 하원이 세이 프가드 체계를 폐쇄하기로 결정했고 같은 해 11월 18일 상원도 이에
34) Coit Blacker and Gloria Duffy, International Arms Control: Issues and Agreements, pp. 194, 222.
35) Donald Baucom, National Missile Defense: An Overview (1993-2000) (Washington, D.C.: BMDO, 2001), p. 2.
동의했다. 미 의회의 결정으로 그랜드 폭스의 요격미사일 기지는 1976 년 2월 폐쇄되었다. 폐쇄의 가장 큰 이유는 소련의 신형 “다탄 두”(Multiple Independently Targetable Reentry Vehicle: MIRV) 미사 일이 세이프가드를 쉽게 제압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취 약성이 노출된 상황에서 세이프가드의 핵탄두 폭발 시 예견되는 “전 자기파”(Electromagnetic Pulse)에 의한 레이더 작동방해와 같은 기술 적 문제들은 세이프가드의 신뢰도를 더욱 떨어뜨리게 되었다. 결국 미 닛맨 ICBM에 대한 세이프가드의 방어효과를 기대하기 힘든 상황에서 소련의 선제공격만 유발하게 될 방어망의 설치가 설득력을 얻을 수 없게 된 것이다. 지원레이더가 북미방공사령부에 편입된 것을 제외하 고 모든 세이프가드 시스템이 해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