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미국 내 반대의견

부시 행정부의 NMD 추진계획을 둘러싼 미국 정가의 의견은 공화 당 중심의 찬성과 민주당 중심의 반대로 뚜렷하게 양분되어 있다. 부 시 행정부를 견제하려는 미국 내 NGO들의 반대여론 조성 노력도 만 만치 않다226). 이처럼 NMD에 관한 공방이 가열되는 이유는 NMD 체 계의 배치 결정이 국제안보질서에 급격한 변화를 야기할 수 있고 미 국의 적대국뿐만 아니라 우방국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앞서 분석한 미국의 미사일방어망 구축 노력이 NMD 찬성론자들에 의해 주도되어 왔음을 감안할 때, 본 절에서는 NMD에 대한 미국 내 반대의견을 주요 사안별로 검토하고자 한다.

가. 여론조사

미국의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는 NMD에 대한 국민들의 인지도가 높지 않지만, 감성적인 차원의 지지도는 높으며, 구체적 고 려사항들을 제시할 경우 지지도가 크게 떨어지는 특징을 나타냈다.

인지도와 관련, 2001년 8월 1일 1,022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해리스 여론조사에 따르면, NMD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는 응답과 없다는 응답이 각각 49%와 50%를 차지하고 있다. 2001년 7월에 실시 한 비행실험의 성공여부에 대해서는 성공한 것으로 안다는 응답이 226) 미국의 민간 단체들은 NMD에 반대하는 캠페인의 일환으로서 관련 인터

넷 사이트를 개설하기도 했다. http://www.shieldofdreams.org 참조.

44%, 실패했거나 확실하지 않다는 응답이 55%에 달했다.227) 2001년 7 월 갤럽의 여론조사에서도 응답자의 69%와 68%가 각각 TWA 항공 기 추락사건과 콜로라도의 고등학교 총격사건을 면밀하게 주목하고 있다고 답한 데 비해 응답자의 11%만이 NMD 문제를 관심있게 들여 다보고 있다고 대답했다.228) 미국이 당면한 가장 중요한 현안의 하나 가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81%가 의료보험을, 73%가 교사충 원 문제를 그리고 58%가 세금삭감을 들었다. NMD는 응답자의 55%

가 지적했는 데 50%이상의 응답을 얻는 9개 현안 중 여덟 번째에 해 당되었다.229)

지지도와 관련, 2000년 5월 CBS와 뉴욕 타임즈가 공동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미 행정부가 핵공격에 대비해서 NMD를 추진하는 문 제에 대해 응답자의 58%가 찬성하는 입장을, 28%는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했다.230) 2001년 1월 워싱턴포스트지와 ABC가 성인 1,513명을 대 상으로 공동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응답자의 80%가 NMD에 지지를 표명했다.231) 미 외교협회가 2001년 5월 1,468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도 NMD에 대한 찬성이 51%로 반대 38%보다 많 다.232) 이 여론조사에 따르면, 찬성의 이유는 우발적 미사일공격에 대

227) 이 여론조사에서는 대통령과 의회가 지금 NMD의 개발과 배치를 해야한 다는 의견이 20%인 반면, 배치를 결정하기 전에 연구와 실험을 더 해야 한다는 의견은 62%로 나타났다. http://www.clw.org/nmd/harrispoll0801.

html

228) The Mellman Group, Analysis of Recent Polling Data on National Missile Defense, July 9, 2001, p. 1.

229) Ibid., p. 2.

230) Ibid., p. 4.

231) Steven Mufson, “Democrats plot strategy on missile defense,” Washington Post, May 20, 2001, p. A14.

232) Paul Richter, “The Nation majority in U.S. backs missile shield, poll finds,” Los Angeles Times, June 12, 2001, p. A12.

처할 수 있고 동맹국도 방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현재의 방어가 부 적합하다는 세 가지였다.

하지만 단순 찬반을 묻는 대신 여러 가지 조건을 제시할 경우 NMD에 대한 지지도는 크게 떨어졌다. 앞서 소개한 CBS와 뉴욕 타임 즈의 공동조사에서 이러한 현상이 뚜렷이 나타난다.233) 즉 NMD가 기 술적으로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제하에서는 찬성이 25%로 줄어 들고 반대가 56%로 늘어났다. NMD가 ABM 조약의 파기를 초래한다 는 조건에서도 찬성이 28%로 줄고 반대가 52%로 증가했다.

2001년 1월의 워싱턴포스트지-ABC 공동 여론조사에서도 여러 가지 전제조건을 제시했을 때는 지지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234) 예를 들어, 비용이 600~1,000억불 들 경우에는 반대가(47%)가 찬성(45%)을 앞섰고, 과학자들이 미국 전체에 대한 방어 가능성에 의 심을 나타내면 반대할 것이라는 의견(50%)이 찬성(40%)보다 높았다.

NMD로 인해 군비경쟁이 촉발된다고 해도 찬성하겠다는 의견이 45%

인 반면 반대의견이 49%로 높았고, ABM 조약이 파기될 경우에는 찬 성(37%)에 비해 반대(56%)가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여론조사 결과는 미 국민들이 ABM 조약에 대해 높은 신뢰 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미 외교협회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 답자의 34%가 미사일공격에 대응해서 NMD가 군축조약보다 나은 방 어책이라고 답한 반면 군축조약이 가장 훌륭한 방어책이라는 응답은 54%에 달했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29%만이 현재 NMD 체계를 갖춰 야 할 필요성이 꼭 있다고 대답한 것은 미 국민들이 NMD에 대해 갖 고 있는 조심스런 태도를 잘 보여준다고 하겠다.235) 심지어는 군출신

233) The Mellman Group, Analysis of Recent Polling Data on National Missile Defense, p. 4.

234) Steven Mufson, “Democrats plot strategy on missile defense,” p. A14.

235) Paul Richter, “The Nation majority in U.S. backs missile shield, poll

가운데도 부시의 NMD를 막대한 비용이 들어갔지만 무용지물이었던 프랑스의 마지노선에 비유하는 사람이 있다.236)

나. 민주당의 입장과 대응전략

미 본토 방어를 지상과제로 생각하면서 클린턴 행정부를 압박했던 공화당의 경우 현재 부시 행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NMD에 대해 이견 이 없다. 그러나 야당인 민주당 내에서는 두 그룹이 존재하는 데 서로 타협점을 찾지 못할 경우 공화당의 독주를 막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 도 제기되고 있다.237) 첫 번째 그룹은 NMD가 전략적 안정의 초석인 ABM 조약을 파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NMD에 전면 반대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두 번째 그룹은 러시아를 자극해서 미국의 안보에 새로운 위협이 가해지지 않을 정도의 제한된 NMD를 구축하자는 입 장이다.

민주당 내 인사 가운데에서도 바이든(Joseph Biden) 상원 외교위원 장은 부시 행정부의 NMD 행보에 제동을 걸 수 있는 능력과 가능성 을 가진 인물이다. NMD에 대한 그의 기본입장은 NMD 구축에 반대 하는 것은 아니지만 여러 가지 요인들을 고려해서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바이든 위원장은 크게 네 가지 점을 우려하고 있 다.238) 첫째, NMD가 기존 핵무기의 발사준비태세를 강화하고 군비경

finds.”

236) 육군참모총장을 지냈던 설리반(Sullivan) 장군이 한 말이다. Thomas Ricks, “Rumsfeld on high wire of defense reform,” Washington Post, May 20, 2001, p. A01.

237) James Lindsay and Michael O’Hanlon, “Democrats’ risk on missile defense,”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August 2, 2001.

238) Coalition to Reduce Nuclear Dangers, “No inevitability with National Missile Defense,” Issue Brief, vol.5, no.6, April 6, 2001.

쟁을 야기해서 오히려 안보를 해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무리한 NMD 강행이 비확산 정책을 훼손할 수 있다는 걱정이다. 러시아와 중 국의 핵무기 증강뿐만 아니라 일본의 핵무장도 부추킬 수 있다는 것 이다. NMD는 포괄적이고 균형잡힌 비확산정책을 대체하는 것은 아니 라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셋째, 미국과 동맹국들간의 결속에도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이다. 마지막으로, 부시 행정부가 NMD의 목표로 삼고 있는 것은 불량국가들의 미사일뿐만 아니라 러시아 등으 로부터의 우발적, 비인가된 미사일발사인 데, 후자의 경우에 대비해서 는 전자와 비교할 수 없는 첨단의 방어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두 경우를 합쳐서 하나의 목표인 것 같이 하고 하나의 방어체 계만 있으면 된다는 식의 논리는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은 NMD의 필요성에는 반대하지 않지만 현실적 인 문제들을 제기해서 공화당의 NMD 계획에 영향력을 행사하겠다는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예상된다.239) 여기에는 NMD 자체에 대한 반대 가 국가방어를 소홀히 한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는 정치적 고려와 함 께 부시의 NMD가 초래할 기술적, 경제적, 외교적 문제를 제기함으로 써 NMD 계획을 수정 내지는 지연시킬 수 있다는 희망이 깔려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민주당은 앞으로 부시의 NMD 계획이 과 거 클린턴 행정부의 NMD 계획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예상된다.

다. MAD에 입각한 억지개념의 유용성 옹호

부시 행정부는 상호확증파괴, 즉 MAD에 입각한 종래의 억지개념에 서 탈피해서 공격과 방어를 모두 고려한 새로운 억지개념의 필요성을 239) Steven Mufson, “Democrats plot strategy on missile defense,” p. A14.

제기하면서 ABM 조약의 폐기와 NMD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개발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있다. 러시아가 더 이상 미국의 적이 아니며 예측 불가능하고 신뢰할 수 없는 제3세계 불량국가와 테러범들의 WMD 위 협이 가중되고 있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미국은 불량국가의 지도자들 이 불안정하고 불합리하기 때문에 과거 소련에 대해 적용했던 전통적 인 억지가 불량국가에는 먹혀들지 않을 수도 있다고 간주하고, NMD 가 유럽에 대한 다양한 위협에 대응해서 미‧유럽동맹의 대처능력을 강화시킬 것이라고 주장한다.240)

그러나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반론이 제기되고 있다. 우선 불량국 가들의 지도자가 예측이 불가능한 미치광이라는 가정이 틀렸다는 것 이다. MAD 유용론자들은 이라크의 후세인이 걸프전에서 미군에게 세 균‧화학무기를 사용하지 못한 것은 미군의 핵보복을 두려워했기 때문 이며 이는 종래의 억지전략이 효과적으로 작동한 증거라고 본다. 따라 서 종래의 억지전략은 앞으로 상당기간 그 효과를 발휘할 것인 데, 다 만 과거의 냉전시대와 차이가 있다면 “너 죽고 나 죽기”식의 MAD가

“그들만 확실히 죽이기”(Their Assured Destruction: TAD)로 대체되 었을 뿐이라는 주장이다.241) 그 이유는 미국을 압도할 수 있는 세력이 사라짐으로써 상호성이 없어지고 일방성 만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것 이다.

결론적으로, 바지에 혁대도 있고 서스펜더도 있으면 좋지만, 경제적, 전략적 비용이 문제이기 때문에 비용대 효과를 곰곰히 따져봐야 하며 NMD는 MAD에 입각한 억지전략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하는 것이라는 기본적인 성격규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242)

240) Daniel Smith “The ballistic missile threat,” p. 7.

241) Thomas Friedman, “MAD isn’t crazy,” New York Times, July 24, 2001.

242) Ib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