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미 본토 방어용인 NMD가 제대로 그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유 럽에 미사일 요격을 지원할 수 있는 NMD 구성요소를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발사가 예상되는 적의 미사일 기지에 가급적 가까이 레이더 등 관련 수단을 전진 배치함으로써 발사된 미사일에 대한 정확한 정 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NMD를 추진하는 데 있어서 유 럽의 지지와 도움은 그 만큼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드러난 유럽 각국 의 반응은 나라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미국의 NMD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입장의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인식이 자리잡고 있 는 것으로 볼 수 있다.376) 첫째, 미국 정부가 동맹국의 입장에 대한 충분한 배려도 없이 NMD 구축을 기정사실화하고 이를 일방적으로

374) 「조선중앙방송」, 2001년 7월 20일.

375) 「로동신문」, 2001년 9월 17일.

376) Stephen Cambone, Ivo Daalder, Stephen Hadley and Christopher Makins, European Views of National Missile Defense (Washington, D.C.: The Atlantic Council of the United States, 2000), pp. 4~5.

제시하고 있다는 불만이다. 둘째, NMD는 본질적으로 정치적이고 외 교적인 문제에 대한 기술적 차원의 해결책에 불과하다는 인식이다. 셋 째, 미국은 유럽이 오래 전에 포기한 100퍼센트 완벽한 안보를 추구하 고 있다는 시각이다. 넷째, 미국의 NMD 추진은 군산복합체의 압력이 그 동기이며 세계적으로 기술적 우위를 지키려는 정치적 리더쉽이 이 를 촉진하고 있다는 비판이다.377) 다섯째, 미국은 유럽과 달리 군사력 을 결정적 요인으로 보는 구식 국제관계 모델에 빠져있다는 분석이다.

마지막으로, 세계 전략상황의 변화를 인정한다고 해도 NMD 계획은 전략적 및 재정적으로 이러한 변화에 대한 과도한 대응이라는 지적이 다. 부시 행정부가 주장하는 소위 불량국가들이 서방에 야기하는 안보 위협에 대한 평가에서도 유럽과 미국간에 차이가 있다.378)

특히 유럽 각국은 기본적으로 지난 30년간 전략적 안정의 초석이었 던 ABM 조약을 훼손하면서 NMD를 구축하려는 미국에 불만을 갖고 있다.379) 미국이 기어코 NMD를 구축하겠다면 ABM 조약의 당사자인 소련과의 합의하에 조약을 수정해서 그 틀 안에서 하라는 것이다. 한 편으로는 NATO와 EU라는 틀을 중심으로 미국 쪽으로 기울어져 있 는 반면, 지리적으로 인접한 러시아의 입김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에 있는 유럽으로서는 NMD와 같이 양쪽의 첨예한 안보이해가 걸려있는 민감한 문제에서 어느 한쪽의 손을 들어주고 싶지 않을 것이다. 하지 만 부시 행정부가 NMD 추진의사를 확고하게 굳힘에 따라 미국의 입 장에 어느 정도 수긍하는 태도를 취하는 등 2001년 들어 일부 유럽국

377) 예를 들어, 익명의 EU 위원은 NMD 및 교토의정서에 대한 미국의 정책 이 미국 내 대기업이 기부한 선거자금에 좌지우지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Wanted: new rules of the road,” The Economist, June 9, 2001, p. 28.

378) Roger Cohen, “German officials question U.S. on missile defense,” New York Times, May 10, 2001.

379) Steven Mufson, “Seeking ‘common framework’: global need for missile defense plan becomes selling point.”

가들의 입장이 다소 흔들리는 양태도 나타나고 있다.380)

유럽의 입장을 NMD 체계가 배치될 국가와 배치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유사 배치국 및 배치되지 않을 국가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가. 배치국

영국 욕셔(Yorkshire)의 필링데일(Fylingdales) 레이더 기지에는 냉 전시대에 소련의 ICBM 발사를 콜로라도주의 방공사령부에 경보할 목 적으로 배치된 조기경보 레이더가 있다. 부시 행정부는 우선 이 레이 더를 NMD 목적에 맞게 개량해서 사용하겠다는 의도를 갖고 있다.381) NMD에 대한 영국의 국론은 찬성과 반대가 공존하는 상황이다. 예를 들어, 여당인 노동당은 찬반으로 의견이 갈린 반면 야당인 보수당은 정부의 지지표명 자제를 반미태도라고 비난하면서 영국의 NMD 참여 를 지지하고 있다.382) 영국의원 세 명은 전세계에서 600명 이상의 의 원, NGO 대표, 연구소 책임자 등이 서명한 NMD 반대서한에 서명하 기도 했다.383)

지금까지 영국의 가장 강력한 반대는 의회의 외무위원회에서 나왔 다. 영국 의회는 2000년 8월 발표한 대량살상무기 관련 보고서에서

380) 한편 유럽은 NATO 혹은 개별국가 차원에서 TMD에 관한 연구개발에는 활발히 참여하고 있는 데 현재 진행중인 사업들이 계획대로 완수되면 10 년 내에 유럽 자체의 미사일방어망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유럽의 TMD에 대한 이러한 관심이 NMD 반대입지를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Martin Broek and Frank Slijper, Theater Missile Defense: First Steps Towards Global Missile Defence, p. 10.

381) “Britain, Europe and America: keeping friends,” The Economist, February 10, 2001, p. 26.

382) Tomas Valasek, “Europe’s role in national missile defense,” p. 33.

383) http://www.basicint.org/NMD_FoELetter2001.htm

NMD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NMD가 새로운 군비경쟁을 야기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384) 이 보고서는 영국정부의 미온적인 대응을 비판하면서 영국 내에서 NMD에 대해 제기된 우려를 블레어 정부가 공개적으로 표명하도록 주문했다. 하지만 NMD에 대한 비협조가 NATO 동맹관계에서 유례없고 매우 곤란한 일이라는 점도 지적함으 로써, 미국과 러시아 사이에 끼여있는 유럽국가가 처한 어려운 처지의 한 단면을 드러내 보였다.

미국이 NMD 배치를 강행한다면 영국으로서는 기존의 전통적 안보 협력 관계를 감안하여 미국의 요구를 수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협력의 대가로 자체적인 미사일방어망 구축을 시도하려 할 가능성이 있다. 훈(Geoff Hoon) 국방장관은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장래에 영국 이 자체적인 NMD 능력을 획득해야 하는가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 도움을 받겠다고 밝힌 바 있다.385)

전체적으로 영국 정부의 입장은 시간이 지날수록 NMD 지지입장으 로 기우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001년 2월 말 부시 대통령과의 정 상회담에서 블레어 총리가 사실상 NMD 지지의사를 밝혔고,386) 7월에 는 영국 정부가 NMD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두 개의 레이더 관련 시 설을 요크셔에 건설했다고 발표했다.387) 하지만 여론의 우려는 그대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요크셔의 시설 건설과 관련한 여론조사에서, 72퍼센트가 이러한 시설로 인해 영국이 직접공격의 목표가 될 것이라 고 우려했다. 아울러 반 이상이 이 시설의 사용을 거부할 경우 영‧미 관계가 나빠질 것으로 예상했다. 욕셔의 시설이 영국의 이익에 부합할

384) Select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Report on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ugust 2, 2000.

385) Tomas Valasek, “Europe’s role in national missile defense,” p. 34.

386) “Agreeing to agree,” Washington Post, March 1, 2001.

387) http://www.basicint.org/NMDpoll-pressrelease.thm

것이라고 밝히 사람들은 30퍼센트 정도에 불과했다.388) 나. 유사 배치국

(1) 덴마크

덴마크는 NMD 체계와 직접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미국의 조 기경보 레이더가 배치되어 있는 그린랜드의 외교안보 문제에 관할권 을 갖고 있기 때문에 유사 배치국으로 간주된다. 클린턴 행정부는 그 린랜드의 썰(Thule)에 있는 조기경보 레이더를 개량하는 것과 아울러 X-Band 레이더를 새로이 배치하고자 했었다. 덴마크 정부도 NMD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표명한 것은 아니지만, 피터슨(Niels Petersen) 외 상은 미국의 그린랜드 기지 사용이 ABM 조약에 위배되어서는 안된 다는 유보적인 입장을 밝힌 바 있다.389)

사실 NMD 문제로 인해 덴마크와 그린랜드는 소련의 노골적인 보 복위협에 직면해 있는 상황이다. 이바노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미국이 NMD를 강행하고 덴마크(그린랜드를 의미함)의 레이더가 여기에 포함 되면, 덴마크도 ABM 조약을 훼손한 책임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 러시 아가 보복조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390) 러시아의 이러한 위 협이 클린턴 행정부 하에서 X-Band 레이더 배치 후보국이었던 한국 을 포함한 다른 지역에도 가해질 수 있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그린랜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의 경우 가급적 그린 랜드 정부의 입장을 고려하겠다는 덴마크 정부의 정책도 문제를 어렵 게 만들고 있다. 그린랜드의 현정부가 자국이 NMD에 연루되는 것에

388) Ibid.

389) Tomas Valasek, “Europe’s role in national missile defense,” p. 34.

390) Ibid., p. 35.

반대하기 때문이다. 미국은 그린랜드의 반대를 무마하기 위해 1951년 덴마크 정부로부터 양도받았던 “피트픽 반도”(Pituffik Peninsula)를 원주민들에게 환원하겠다는 당근을 제시했다.391) 미국이 NMD를 위해 영토환원이라는 당근을 제시했다는 사실도 NMD 체계의 배치 후보국 이었던 한국에게는 매우 흥미로운 대목이다. NMD가 중요한 안보적 관심사항인 만큼 덴마크 정부는 국내외 여론을 수렴하고 자체적으로 보다 확고한 입장을 정립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392)

(2) 노르웨이

노르웨이도 NMD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러시아 국경에 인접한 바르도(Vardo)에 배치되어 있는 X-Band 레이더가 문제가 되고 있 다.393) HAVE STARE로 불렸던 이 레이더는 1990년대 초 레이디온 사가 개발해서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사용했던 것이다.

러시아는 이 레이더가 NMD의 일부이고 ABM 조약에 위배된다고 주 장하고 있다. 노르웨이 정부는 이 레이더의 목적이 우주에서 낙하하는 잔해를 추적하는 것이라는 데에 미국과 분명히 합의했으며 만약 미국 이 바르도의 X-Band 레이더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려면 새로운 협 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394)

하지만 다음과 같은 점들에 비춰볼 때 러시아의 입장도 무시할 수

391) 덴마크 정부는 1951년 피트픽 반도의 원주민을 추방하고 미국에 양도해 서 썰(Thule) 기지를 사용하도록 도왔다. Ibid., p. 34.

392) 한 예로서, 덴마크 의회는 2001년 4월 25일 NMD와 세계질서를 주제로 국제회의를 주최한 바 있다. http://www.folketinget.dk/BAGGRUND/

00000077/00588709.htm.

393) Inge Sellevag, “Vardo expose,”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vol.56, no.2, March/April, 2000, pp. 26~29.

394) Tomas Valasek, “Europe’s role in national missile defense,” p.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