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TMD와 NMD의 구분을 없애려는 미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는 양자를 구분해서 접근하고자 하고 있다.416) 이는 일본의 방어 에 직접 관련되는 TMD에 대해서는 참여가 가능하지만 미 본토 방어 용인 NMD에 대해서는 “이해”라는 심리적 차원의 후원을 넘어설 수 없다는 일본 내의 정서를417) 반영하고 있다. 이런 현실에 입각해서, 일본은 TMD에 대해서는 지지의사를 밝히는 반면에 NMD에 대해서 는 미국의 입장을 이해한다는 정도에 머물고 있다.

416) “The best response to the U.S. on missile defense is a flat ‘no’,” The Asahi Shimbun, May 11, 2001.

417) “Japan weighs response to U.S. missile strategy,” The Asahi Shimbun, May 10, 2001.

TMD와 관련해서는 1998년부터 미국과 진행중인 TMD 공동연구를 계속 진행시키겠다는 입장이다. 2001년도 방위백서는 올해 TMD 관련 연구예산으로 37억엔을 책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일본은 2003~2004년 에 끝날 예정이었던 공동연구를 미국의 해상배치 TMD 체계의 실험 이 지연되는 상황을 고려해서 3년 이상 연장하기로 했다.418) 공동연구 와는 별도로 국민의 생명에 관계되는 위협을 막기 위해 자체적인 TMD 능력을 보유하겠다는 의사도 분명히 표명하고 있다.419)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미 네 척의 이지스함을 보유하고 있는 일본 자위 대는 2001~2005년의 중기방위력 정비계획에 따라 두 대를 추가 건조 할 예정이다.420)

한편 NMD에 대해서 일본 정부는 미국의 입장을 이해한다는 원론 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예를 들어, 2001년 3월 개최된 모리 요시로 총리와 부시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는 “이해한다”는 입장이 미국 측에 전달되었다.421) 하지만 정부 내에서도 찬반 양론으로 갈리는 등 혼란스런 양태를 드러내고 있다. 찬성론자들은 일본의 NMD 참여가 일‧미 동맹의 신뢰성을 제고시켜줄 것이고 미국도 일본방위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는 점을 근거로 들고 있다.422) 이들은 중국의 핵전력 증강이 일본의 안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찬성보다는 반대 혹은 유보라는 입장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

418) “Japan, U.S. to continue cooperating in TMD research,” Kyodo News Service, March 22, 2001.

419) 나카타니 겐(中谷元) 일본 방위청장관의 발언, 「한국일보」, 2001년 6월 25일.

420) 「동아일보」, 2001년 8월 18일; “Govt OK’s 25 trillion yen for 5-year defense plan,” The Daily Yomiuri, December 16, 2001.

421) 「동아일보」, 2001년 3월 21일.

422) Ballistic Missile Defense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Views from Washington, Beijing, and Tokyo, p. 21.

다. 예를 들어, 다나카 일본외상이 이태리와 호주 외교관들을 만난 자 리에서 미국의 NMD가 중국을 겨냥한 것 같다면서 그 필요성에 의문 을 제기한 바 있다.423) 코이즈미 총리도 NMD는 세계안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신중히 고려해야 하며 NMD로 인해 세계적인 군비경쟁이 촉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424)

따라서 지금까지 NMD에 대해 표출된 일본의 입장을 정리하면 미 국을 이해는 하되 그 여파를 우려하는 조심스런 것으로 요약할 수 있 다. 여기에는 NMD가 일‧미 동맹차원을 넘어서 일본의 이웃들(특히 NMD를 반대하는 중국과 러시아)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주는 문제라는 인식이 자리잡고 있다.425) 일본의 NMD 지지입장이 중‧러와의 정치적 관계를 악화시킬 뿐 아니라 양국의 군사적 대응으로 일본의 안보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점에 대한 우려의 표명으로 볼 수 있다. 심지어 아사히신문의 논설은 미국의 NMD에 대응해서 중국의 핵전력이 증강 되는 것처럼 어리석고 위험한 시나리오는 없다고 하면서 일본은 미국 의 동맹국으로서 NMD에 “노”라고 대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26)

이밖에 NMD에 대한 일본의 조심스런 입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로서 다음 몇 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첫째, NMD가 “미국의 요새 화”(Fortress America) 움직임을 강화함으로써 미국이 일‧미 동맹을 소홀히 할 수 있다는 우려이다. 안전한 방패를 갖춘 미국이 고립주의

423) Doug Struck, “Japanese aide is said to question U.S. missile plan,”

Washington Post, June 2, 2001, p. A13.

424) “Japan PM may oppose missile defense,” New York Times, June 13, 2001. 기사 내용은 TMD와 NMD를 구별하지 않고 있다. 두 체계의 개념 에 대한 언론의 명확한 이해가 부족한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기존의 일본 입장을 감안할 때, 일본의 유보적인 입장은 NMD를 겨냥한 것으로 판단된다.

425) “Japan weighs response to U.S. missile strategy,” The Asahi Shimbun.

426) “The best response to the U.S. on missile defense is a flat ‘no’,” The Asahi Shimbun.

에 빠져들어 자국의 안전에 만족해 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리”에 대 한 일본판 우려인 것이다. 둘째, 핵무기 감축을 필두로 군축외교를 강 력히 추진해 온 일본으로서는 ABM 조약을 위반하면서 추진되는 미 국의 NMD를 공개적으로 지지할 수는 없는 입장이다. 일본의 NMD 지지는 군축외교를 통해 평화적인 국가이미지를 창출하고자 심혈을 기울여 온 그간의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들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유 사시에는 일본도 국제사회에 대한 약속을 헌신짝처럼 던져버릴 수 있 다는 이미지를 만들어냄으로써 일본의 핵무장 가능성과 군국주의 부 활에 대한 국제적 우려를 야기할 수 있다. 셋째, 국내적 합의를 중시 하는 일본정치의 특성을 감안할 때, NMD와 같은 중대한 문제에 대체 적인 합의를 도출하는 데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는 사실이다. 합의도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는 일‧미 동맹관계, 재 정문제, 법적 제한, 기술적 가능성, 군사적 타당성, 기술산업에 미치는 영향, 일본 내 부처간 이해와 갈등 등을 들 수 있다.427)

일본정부의 행동반경을 구속하는 법적 장치에는 집단자위권 행사를 금지한 헌법 9조, 우주의 평화적 사용에 대한 국회결의, 군사기술의 수출금지 법규 등이 있다. 특히 집단자위권 행사 문제는 NMD뿐만 아 니라 미국과의 TMD 공조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428) 이와 관련, 베 이커(Howard Baker) 주일 미국대사는 일본이 미국과의 MD 공조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헌법 9조를 재해석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 다.429)

427) Michael Swaine, Rachel Swanger and Takashi Kawakami, Japan and Ballistic Missile Defense (Santa Monica: Rand, 2001), pp. 41~84.

428) Doug Struck, “Japan divided on U.S. call for missile defense,”

Washington Post, February 8, 2001, p. A18; 전성훈, 「미‧일의 TMD 구 상과 한국의 전략적 선택」, p. 49, 각주 67.

429) Doug Struck, “Japan may be forced to decide on charter,” Washington Post, July 18, 2001, p. A23.

ABM 조약에 대한 일본 여론의 지지가 높음을 감안할 때, 미국의 조약 탈퇴는 미‧일 동맹에 나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일본의 TMD 정책에도 반대여론을 형성할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430) 따라서 일본의 전문가들은 미국과 러시아간의 합의도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양국이 제한된 NMD를 구축하고 핵군축을 실시하는 데 합의할 경우 중국의 반대입장도 약화시킬 수 있고 일본의 여론도 이런 합의를 수 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견해인 것이다.431)

430) Ballistic Missile Defense and Northeast Asian Security: Views from Washington, Beijing, and Tokyo, p. 22.

431) Ib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