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지금까지 NMD 구성요소의 다앙한 부분들에 대해 많은 지상실험이 실시되었으나 통합비행실험(IFT)은 2001년 말 현재 모두 7회 실시되 었다. 각 실험의 개요와 문제점을 짚어보면 다음과 같다.

IFT 1A와 IFT 2는 EKV의 센서의 성능을 입증하고 신호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비행실험”(Sensor Flight Test: SFT)으로서 보잉 /TRW사와 레이디온사가 만든 EKV를 순서대로 사용했다.21) IFT 1A(1997년 6월)는 EKV가 실제탄두와 위장물체를 구별할 수 있는가를 알기 위한 최초의 “표적근접비행”(Fly-By) 실험이었는데, BMDO는 9 개의 위장탄두와 1개의 실제탄두가 사용된 IFT 1A가 성공적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MIT 대학의 포스톨(Theodore Postol) 박사는 실험자 료를 분석한 결과 EKV(보잉/TRW사 제조)가 실제탄두와 위장탄두를 구별하지 못했다고 밝혔다.22) IFT 2(1998년 1월)는 레이디온사가 개 발한 EKV를 사용한 표적근접비행 실험으로서 역시 9개와 위장탄두와 1개의 실제탄두가 사용되었다. BMDO는 IFT 2도 성공적이었다고 밝 혔다.

IFT 3(1999년 10월 2일)는 EKV가 실제로 탄두를 요격하는 최초의 실험으로서 두 차례의 지연 끝에 실시되었다. IFT 3의 목적은 EKV의 비행성능을 시험하는 것이었다. 실제탄두와 유사한 RV와 위장탄두 대 용으로 큰 풍선이 각각 1개씩 사용된 IFT 3에서 EKV는 초기에 위장 탄두를 향해 접근했으나 마지막 순간에 실제탄두를 발견, 이를 요격하

21) “Ground based interceptor sensor flight test: IFT-1a & IFT-2,” BMDO FACT SHEET 108-00-01, p. 1. 이전에 시도되었던 IFT 1은 요격무기 운 반체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잘못되어 발사에 실패했다.

22) Daniel Smith, “Technological challenges in national missile defense,”

National Missile Defense: What Does It All Mean?: A CDI Issue Brief (Washington, D.C.: Center for Defense Information, 2000), p. 13.

는 데 성공했다.23) 클린턴 행정부 당시 BMDO는 IFT 3의 상황, 즉 RV와 위장탄두가 각각 1개씩 사용되는 것을 제1단계 NMD (Capability 1: C1)가 2005년경에 당면할 상황으로 보았다.

IFT 4(2000년 1월 18일)는 두 번째 요격시험이면서 모든 구성요소 를 포함한 최초의 요격실험이었다. IFT 4의 주요 목적은 EKV의 비행 성능과 센서운용 등을 시험하는 것이었고, 부수적 목적은 NMD 체계 의 종합적 능력을 입증하는 것이었다.24) IFT 4에서도 실제탄두와 유 사한 RV와 위장탄두 대용으로 커다란 풍선이 사용되었다. 표적탄두를 요격하기 6초 전 EKV에 탑재된 적외선 감지기의 냉각시스템이 막혀 서 오작동하는 바람에 요격에 실패했다. EKV가 표적인 RV를 향해 정확히 비행해서 충돌하지 못하고 RV에서 약 100m 정도 벗어나 버린 것이다.

IFT 5(2000년 7월 7일)는 BM/C3망의 IFICS가 운반체에서 분리된 EKV에 유도 및 표적확인 정보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었다. EKV와 운 반체의 분리가 실패하는 바람에 실험은 실패했다. 위장탄두(풍선)가 제대로 팽창하지 않은 문제점도 발생했다. 그러나 BMDO는 요격체 발사장소인 콰와잘린에 배치된 X-Band “원형레이더”(Prototype Radar)가 실제탄두와 기타 위장체를 구별해냈다고 밝혔다.

IFT 6(2001년 7월 14일)는 부시 행정부 들어서 최초의 NMD 실험 으로서 성공리에 실시되었다. 이번 실험에서도 실제탄두와 위장탄두 각각 1개씩이 사용되었으며 소요비용은 약 1억불이었다. 본래 2000년 5월에 실시될 예정이었으나 연기되었던 것이다. 요격미사일이 초속 7.2km(시속 16,200마일)로 비행중인 표적탄두를 고도 144마일의 높이

23) “National missile defense integrated flight test three (IFT-3),” BMDO FACT SHEET 110-00-11, November 2000, p. 1.

24) “National missile defense integrated flight test four (IFT-4),” BMDO FACT SHEET 124-00-11, p. 1.

에서 정확히 요격했다.25)

IFT 7(2001년 12월 3일)도 성공리에 실시되었다. 콰와잘린에서 발사 한 요격미사일이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발사된 표적미사일을 고도 140마일 정도에서 시속 15,000마일의 속도로 충돌해서 파괴했다.26) 실 제탄두와 위장체가 각각 한 개씩 사용되었고 이동식 지상, 해상 혹은 우주 배치 ABM 체계가 이용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전의 실험과 다 르지 않다.

한편 NMD 운용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탄도미사일에서 분리되 는 실제탄두와 요격체를 “유인”(Fool)하기 위한 각종 침투보조수단을 정확히 구별하는 것이다. EKV의 성능이 대부분 알려져 있기 때문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침투보조수단을 만드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 한 형편이다.

구별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흔히 세 가지가 고려되고 있는 데,27) 탄도미사일이 외기권에 도달해서 실제탄두와 위장탄두를 배출 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도록 이륙상승단계에서의 요격에 초점을 맞추 고 있다. 첫째, 해상배치 NMD 체계를 이용하는 것이다. NMD 체계를 해상에 배치하면 탄도미사일 발사지역에 가급적 가까이 접근할 수 있 게 되며 이륙상승단계(최초 발사 후 2~5분간)의 요격이 가능하게 된 다. 둘째, “항공기탑재 레이저”(Airborne Laser: ABL)를 이용하여 이 륙상승단계의 탄도미사일을 공격하는 것이다.28) ABL은 현재 TMD

25) Vernon Loeb, “Interceptor scores a direct hit on missile,” Washington Post, July 15, 2001, p. A01; James Dao, “Amid applause, caution urged on missile defense,” New York Times, July 16, 2001.

26) Bradley Graham, “Missile test interceptor scores hit over Pacific,”

Washington Post, December 4, 2001, p. A04; “U.S. missile test succeeds after two delays,” New York Times, December 4, 2001.

27) Daniel Smith, “Technological challenges in national missile defense,” pp.

13~14.

체계의 일부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셋째, “우주배치 레이 저”(Space-Based Laser: SBL)를 이용해서 이륙상승단계의 요격을 실 시하는 것이다.

28) ABL은 고도 12km 이상에서 날아오르는 미사일을 요격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