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팬에게 있어서 사회적 유대감 형성 동기는 대부분의 연구 대상에게 나타나고 있었다. 스포츠 스타를 위해 만든 팬 계정 즉, 특정 스포츠 스타의 팬 계정을 통해 스포츠 스타라는 공통의 관심사가 형성되고 공유된 관심사로 인해 관계가 형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스포츠 팬의 SNS는 현시대에서 강조되고 있는 감성이라는 코드와 결합을 시도하면서 개개인의 단순하고 지루한 낱알의 네트워 크 가치의 총량이 아닌, 다양한 관계를 일컬으며 네트워크 가치를 실현하는 플 랫폼으로 기능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SNS의 등장은 팬들 간 팬과 스포츠 스타 간의 상호작용에 많은 영향을 주기 시작하면서 시공간의 한계를 뛰어넘어 가상 공간의 공동체 개념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 되었다.
이처럼 스포츠 팬은 SNS를 물리적 발현이 아닌 상징 또는 의미의 공간이라 보는 견해에서 SNS를 통한 소통은 팬이 갖는 고유의 의미 공유를 통해 유대감 을 강화해주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즉 SNS를 통해 스포츠 팬들 간의 온 라인 공동체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온라인 공동체는 많은 사람들이 자주 온라인 공간에서 상호작용할 때 형성되는 문화적 집합체로서 일정 온라인 공간 에서 상징, 의미, 구조, 문화 등의 공통성을 절충하고 생산해내는 소통 과정을 통해 스포츠 팬들 만의 공간을 구성하는 형태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스포츠 팬 은 SNS라는 공간을 통해 자신들의 유대감을 형성하려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유대감 안에는 크게 정보적 지지와 정서적 지지로 구분되었다.
가) 정보적 지지를 통한 유대감 형성
스포츠 팬은 SNS에서 서로 정보를 교환하면서 상호의무를 가지는 구성원으 로 사회 관계망에 소속되어 있음을 느끼게 하는 정보적 지지라 느끼고 있었다.
이는 스포츠 팬이 스포츠 스타가 운영하는 SNS에서 다른 팬들과 소통함으로써 자신이 SNS라는 공동체에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로 그 공간 안에서 자신이
가치 있고 인정받는다고 느끼게 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는 SNS에서 스 포츠 스타를 통한 네트워크와 연결은 특정 대상과의 관계, 특정 대상을 통한 관 계로 확산이 되며 이를 통해 정보나 의견을 알고자 하는 것이고 사회적 위치, 명성을 가진 특정 대상을 통해 새로운 이득인 정보적 지지를 통한 사회적 유대 감을 형성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는 스포츠 팬이 함께 공존하는 사회적 공간을 발전하고 있으며, 새 로운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인적관계를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다시 말해, SNS는 손쉽게 팬들이 서로 상호작용할 기회를 제공해 줄 뿐 아니라 온라 인 공간에서의 관계를 활성화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 히 온라인 공간이라는 커뮤니티 공동체의 발전을 위한 목적으로 SNS를 활용한 경우 SNS가 팬 공동체 형성 및 유지 혹은 사회적 자본 수립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기도 한다. 따라서 팬간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상호작용 대 상들 간에 믿음과 신뢰 그리고 친근감과 유대감 형성에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나 고 있었다.
<그림 9>에서 유추 할 수 있듯이 스포츠 팬은 스포츠 스타의 관련 정보를 팔로워(계정에 소속되어 있는 팬)에게 알리고 있었다. 경기가 언제 있는지, 언제 유니폼을 공동 구매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세세히 스토리에 공유하였다. 또한, 공동 구매를 원하는 사람들끼리 댓글 및 DM으로 연락 하면서 구매 일정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그림 9> ‘정보적 지지를 통한 유대감 형성 동기’ 관련 게시물
000 선수의 팬SNS를 사용하면서 이SNS를 팔로우하는 사람들 간의 공유 공간이 생
겨나요. 별다른 힘들이지도 않아도 계정 관리가 가능하죠. 000 선수를 팔로우하면 그 에 관련된 정보들도 한눈에 볼 수 있고…. 그래서 그냥 출근하면서 퇴근하면서 정보 를 쉽게 찾아서 공유하는 거예요. 제가 조금만 부지런하게 찾아서 올리면…. 다른 팔 로워분들이 좋아해 줘요. 이런 거 어디서 찾았냐며…. 금손이라며(스포츠 팬c의 심 층 면담 중).
SNS의 관련된 내용 피드백을 보면서…. 이런 유익한 정보 감사하다…. 좋다…. 더 올
려달라…. 뭐 이런 댓글을 보면 나름 뿌듯해요…. 그리고 또 저를 팔로우하는 사람들 이 정보를 저에게 보내주는 경우도 많이 있어요. 정보를 보내주면 저는 그거를 다시 공유하고 그와 관련된 자료 찾아서 또 설명해주고…. 그래요(스포츠 팬c의 심층 면 담 중).
스포츠 팬 c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스포츠 스타 관련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정보적 지지감이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계정에 있는 팔로워인 다른 팬 들로부터 자신의 정보 수집에 대한 인정을 통해서 지지감이 형성이 되는 것이 다. 자신이 사회로부터 받지 못했던 지지의 욕구를 SNS상에서 충족이 되는 것 으로 스포츠 팬 자신이 정보를 재생산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자신의 행위에 있 어 다른 팬이 조력을 해주고 있다고 믿는 것이다.
스포츠 팬은 계정안에서 스포츠 스타의 경기정보를 공유했다. 또한 그들이 지인과 시 간을 보냈을 때 그 사진을 스포츠 스타의 계정에 올라온 사진이 아니더라도 다른 지 인의 사진을 리그램해 계정에 팔로워와 공유했다. 본인이 찾는 정보 이외에도 스포츠 스타 관련 정보를 흔히 말하는 퍼오기를 행하면서 공유 하고 있었다(20190606, 계정 관찰일지 중).
계정관찰일지에서 스포츠 팬은 스포츠 스타와의 관련 정보를 주고받으면서 그들만의 관계성의 확장과 강화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SNS는 공간 안에서 정보를 주고받으며 사회자본을 강화하는 것으로 보였다. 때문에 이들은 SNS에 스포츠 스타 정보뿐만 아니라 다양한 흥미로운 정보를 보다 빠르고 많은 양으로 채워 나가고 있었다. 정보라는 매개체를 스포츠 팬은 자신의 정보를 통 해 SNS 내에서 관계 강화 및 확장해 스포츠 스타에 관한 정보를 빠르게 공유하 며 계정의 팔로워들과 친밀하게 소통하는 등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에 영향을 줘 또 하나의 정보공유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은 사회적인 존재로서 인간의 속성으로부터 발견할 수 있다. 즉 스포츠 팬 또한 사회적 동물 이며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충족될 수 있는 기본적인 사회적 욕구가 있 다. 이를 위해서 스포츠 팬은 SNS 안에서 상호작용을 하고 있고 이를 통해서 지지를 얻게 되면서 그 욕구를 충족시키게 된다. 스포츠 팬은 이와 같은 스포츠 스타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해 얻게 된 지지는 스포츠 팬의 기본적인 욕구와 연 관되어 있다는 데에서 SNS 이용 동기의 중요성을 찾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처음 시작은 스포츠 팬 한 명의 선호 또는 개인의 만족 때문에 스 포츠 스타의 SNS를 만들어 활동하였지만, 이 계정 운영하면서 결과적으로 지지 의 동기가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나) 정서적 지지를 통한 유대감 형성
정서적 지지는 개인에게 관심과 사랑의 감정을 느끼게 하는 친밀감, 밀착, 동 정, 관심 혹은 배려 등으로 설명 될 수 있다. 이처럼 정서적 지지는 사회적 대상 으로부터 존경, 애정, 신뢰 관심을 받게 되는 것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믿음 을 갖게 된다. 즉 SNS를 통해서 스포츠 팬은 스포츠 스타라는 공통의 관심 매 개로한 새로운 연대를 촉진하는 과정에서 정서적 지지라는 긍정적인 동기를 유 발하게 된다.
SNS를 사용하는 동기는 우리끼리 아는 언어로 소통할 수 있어서 사용하고 있어요.
즉, 000 선수의 별명, 팀의 애칭? 그런 거를 부르면서 소통을 하면서 자유롭게 우리 의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요. 소통하면서 그냥 좀…. 관심을 다른 사람에게 받는 거 같기도 하고…. 인정해주는 거 같기도 하고…. 그래서 신나서 더SNS를 하게 되는 거 같아요(스포츠 팬d의 심층 면담 중).
스포츠 팬 d는 자신이 운영하는 스포츠 스타 관련 SNS를 통해 타 팬들의 응 원과 관심을 통한 정서적 지지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서적 지지 는 스포츠 팬이 SNS를 운영하는데 큰 기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아무 도 봐주지 않은 환경이나 적은 팔로워가 있는 환경에서 스포츠 스타 관련 SNS 를 운영했을 시에 양적으로 적은 정서적 지지를 받는다고 할 수 있겠지만 많은 팔로워가 자신이 게시한 게시물에 있어서 관심을 지속해서 보여주는 것에 있어 서 만족감을 느끼고 있었다.
스포츠 팬 c, d는 자신이 좋아는 선수의 애칭을 적어 내려가면서 그들의 근황에 대해 댓글로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또한, 자신이 올린 게시물에 대해서 팔로워들이 칭찬 하는 듯한 글을 남기자, 댓글로 ‘많이 예뻐해 주셔서 감사해요J 앞으로 더 열심히 자료 모아서 공유할께요’라고 답했다(201906022, 계정관찰일지 중).
계정관찰일지에서 알 수 있듯이 스포츠 팬이 SNS 내에서 정서적 지지감을 획득하기 위해 개인 간의 직접적인 연결과 빈번한 상호작용을 중요시 여기는 것 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팬은 SNS 안에서 스포츠 팬들과 스타와의 관계 구축과 상호작용을 활성화하는 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행동은 자발적이고, 이타적이며, 헌신적인 스포츠 팬의 행위이고, 이는 스스로 상호작용하는 팬들과 긍정적인 경험을 공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스포츠 팬 간의 친밀감이 형성되고 궁극적으로 유대감이 강화되게 된다. 이처럼 유대감이 강화되는 데 있 어 정서적 지지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따라서 SNS를 이용하는 스포츠 팬 이 네트워크 참여를 통해 유대감형성 동기를 가져다준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스 포츠 팬은 타인의 정서적 지지 없이 혼자서만 SNS를 관리하게 된다면, SNS를 유지하는 데에 있어서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정서적 지지란 타인으로부터 자 신의 행위에 관해 관심을 받고, 옹호를 받고 있다고 믿는 정도로, 이러한 정서적 지지는 SNS를 이용하게 되는 동기 중 중요한 기제라고 할 수 있다. 정서적 지 지는 SNS 계정 내에서 스포츠 스타 또는 팬들과의 협력과 참여를 기반으로 정 서적 만족감은 호감과 신뢰로 발현되고, 이는 또 그들 사이에서의 심리적 간격 을 좁히게 되며,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집단적 공감 경험과 신뢰가 발현된다. 스 포츠 팬은 자신을 팔로우하는 다른 팬들에게 있어서 정서적인 지지를 받을 수 있다는 동기를 가지고 SNS를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자신이 정서적으로 다른 팬들에게 지지를 받는다는 이유로서 SNS를 더욱더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동기부여는 스포츠 스타라는 공통 주제가 항상 기 초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즉 SNS에서 스포츠 스타라는 공통의 주제를 통해 정 서적 공감 경험은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대한 신뢰로 발전되는 것으로 나타났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