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가. 스포츠 스타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스타-팬 SNS 상호작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스포츠 스타를 연구 대상자로 하여 종목,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뉴미디어에서 스포츠 스타와 스포츠 팬의 소통에 관해 알아보기 위해 이미지 기반 SNS인 인스타그램을 이용하는 국내 스포츠 스타를 선정하였다. 국 내 스포츠 스타는 1주일에 게시물 2개 이상을 포스팅하는 스타 중 팔로워를 많 이 보유하고 있는 상위 스타를 선정하였다. 또한, 스포츠 스타 선정 시 팔로워를 많이 보유하고 있더라도 본인이 직접 계정을 관리하지 않은 스포츠 스타는 연구

<그림 5> 연구 진행 절차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이는 본인이 계정을 직접 관리하지 않고 회사에서 관리하 는 경우 스포츠 스타가 직접 팬과의 소통에 노력하는 것이 아닌 회사 측에서의 마케팅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선정과정을 통해 스포츠 스타 10명을 선정하였으며, 연구의 윤리성과 개인의 정보 문제로 인해 실명 대신 기호(스포츠 스타 A, B, C...)를 사용하였다.

<표 5> 연구 대상(스포츠 스타)

스포츠 스타 팔로워 종목 나이 성별

A 52.7만 농구 33 남

B 23만 야구 32 남

C 15.2만 축구 24 남

D 14.7만 쇼트트랙 31 남

E 5.4만 농구 34 남

F 15.7만 리듬체조 27 여

G 55.3만 배구 32 여

H 7.2만 골프 28 여

I 7.8만 쇼트트랙 29 남

J 6만 골프 30 여

나. 스포츠 팬

본 연구의 대상자를 선정하는 데 있어 Clark & Maher(2019)가 제시한 ‘스포 츠 팬’으로의 사회화와 Kolyperas, Maglaras, & Sparks(2019)의 열광적인 스포 츠 팬의 공통적인 특징의 개념을 참조하여 선정기준을 설정하였다. 선정 기준은 첫째, 직·간접 스포츠 소비에 상당한 양의 시간과 돈을 투자하고 둘째, 스포츠 스타와 관련 스포츠에 대한 지식이 있으며 셋째, 특정 스포츠 스타에 대해 감정 적인 태도 성향을 표출하고 넷째, 스포츠 경기의 스타를 관람하는 동안 감정의 변화를 경험하고, 마지막으로는 계정의 다른 팬과 대화 주제로 스포츠 스타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충성도가 높은 팬의 공통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이 정의 하였다. 첫째, 매일 스포츠 스타의 계정을 확인하고 둘째, 1주일에 적어도 2번 이상의 스포츠 스타의 계정에 소통을 시도하고, 마지막으로는 본인이 좋아하는 스포츠 스타의 경기를 관람을 위해 적어도 시즌 내 경기장을 방문하고 거기에 대해 팬들과 소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준을 통해 선정된 연구 대상자는 2년 이상 특정 스포츠 스타의 계 정을 팔로우 하면서 지속적으로 스포츠 스타와 소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대상으로 소통을 위한 행위(팬계정 만들기, 댓글, 동영상, 라이브 방송, 해쉬 태그, 사진, 스토리 등)에 대해 분석하고, 인스타그램의 다이랙트 메시지를 통해 심층면담을 요청하였다. 이때 스포츠 팬 모두 연구의 윤리성과 개인의 정 보 문제로 인해 실명 대신 기호(스포츠 팬 a, b, c...)를 사용하였다.

스포츠 팬 팔로워 나이 성별

a 9,660 34 여

b 1,485 32 여

c 4,994 36 여

d 19,725 22 여

e 2,136 27 여

f 4,630 25 여

g 6.028 31 여

h 14,940 23 여

i 24,504 30 여

j 5,444 32 여

<표 6>연구 대상(스포츠 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