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의 진실성 확보는 질적 연구에 있어 연구의 타당성과 신빙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작업이다. 질적 연구의 목적은 논리의 일반화가 아니므로 연구 수행과정
에서 연구의 진실성(trustworthiness)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Anfara, Brown, & Mangione, 2002).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있 지만, 본 연구에서는 연구 수행 후 도출된 결과를 Lincoln & Guba(1985)가 제 시한 다각검증, 동료 간의 협의, 구성원간 검토의 방식을 통해 다방면으로 검토 하였다(Crewsell & Miller, 2000).
가. 다각검증
본 연구에서 스포츠 스타-팬 SNS 상호작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자료로 스 포츠 스타와 팬의 인스타그램 계정의 게시물, 사진, 심층 면담 내용, 계정관찰일 지 등이 있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들은 다각검증을 통해 자료 간의 일치되지 않 는 내용이나 연구 과정에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연구자 자신의 자료 분석 및 해석 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Fielding, Fielding, & Fielding, 1986).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스타의 게시물, 심층 면담, 스포츠 팬의 게시물 댓글 및 소통 행위, 심층 면담 등 연구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들을 상호 비교하였으며, 분석 맥락과 일치하지 않는 자료들을 확인 하면서 자료를 보완하고 그 의미를 정제해 나갔다.
본 연구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 중 자료 간 비교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은 게시물 분석과 심층 면담 내용이다. 스포츠 스타의 심층 면담 자료 중 모호하거 나 내용 간 일치하지 않은 부분은 계정관찰일지에 기록된 내용을 참고하여 확인 하고, 그 의미를 도출하였고, 그렇게 도출된 의미에 견주어 일치하지 않거나 모 호한 것들은 따로 분류하였다. 또한, 따로 분류한 자료의 내용 중에서 새로운 의 미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은 새로운 범주로 재구성하기 때문에 자료 간 비교를 통 해 일차적으로 많은 자료를 감환 하고, 감환 된 자료 간 지속적인 비교를 통해 귀납적으로 도출된 시사점은 연구자의 사고와 다시 한 번 비교하였다.
나. 동료 간 협의
본 연구에서는 객관성 확보를 위해 연구 경험이 있는 박사과정 수료생 1명, 체육학 박사 2명과 본 연구자를 지도하고 있는 스포츠 사회학 교수로 전문가 그 룹을 구성하였다.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의견을 주고받았다. 충 분한 논의 과정을 거쳐 모두가 합의한 내용만을 결과에 반영하였다. 특히 자료 를 분석하는 데 있어 나타나는 자료의 모호함이나 추가 확인이 필요한 의미들은 동료 간의 의견 조율과정을 거쳐 수정 및 보완을 통해 의미를 확인하였고, 한편 으로는 새로운 의미가 생성되기도 하였다. 이런 분석과 해석 과정은 꾸준히 이 루어졌으며, 제시된 연구결과 역시 연구자의 단독 도출이 아닌 전문가들과의 협 의를 통해 다시 수정 및 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재확인해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 한 것이다. 본 연구 수행과정에 함께 참여한 전문가 그룹 정보는 <표9>와 같 다.
<표 9> 전문가 그룹
성명 성별 나이 직위 전공
권정국 남 54 교수 체육학
김호연 여 32 박사 수료생 체육학
박서준 남 35 박사 체육학
노희민 여 36 박사 체육학
다. 구성원 간 검토
본 연구에서는 심층 면담을 통해 전사한 자료를 교차하여 비교하는 과정으로 구성원간 검토의 과정을 통해 자료의 진실성이 높아지게 된다. 연구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 즉, 뉴미디어 텍스트(게시글, 댓글, 사진, 동영상, 스토리 등), 스포 츠 스타-팬 심층면담 등의 내용과 자료에 대한 연구자의 해석을 연구 대상자로
부터 확인을 받았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의 의도가 연구자의 해석과 다르거나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의문이 발생하는 경우 연구 대상자들과의 추 가 면담을 통해 그들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명확하게 밝히기 위해 구성원 간의 검토를 하였다. 특히 스포츠 스타의 심층 면담 내용 중 그 의미가 모호한 경우에는 수시로 비공식적인 추가 면담(서면, 이메일, DM등)을 통해 그 내용을 확인받았다. 이러한 과정은 자료의 정확성을 확인하고 연구자의 편견이나 선입 관의 개입을 줄일 수 있는 중요한 과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