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스포츠 스타−팬 SNS 상호작용 의미

SNS의 가장 큰 특징은 상호작용성(Casaló, Flavián, & Ibáñez-Sánchez, 2017;

Yang, Liu, & Wei, 2016)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호작용성은 컴퓨터 매개 커뮤 니케이션(CMC)을 실행하는 온라인상의 집단 속에서 나타나는 커뮤니케이션을 의 미하며, 그동안 미디어의 속성에 따라 상호작용성과 이용자 간의 상호 정보 교환 에 대한 것으로 구분되어 왔다(Rains, Akers, Pavlich, Tsetsi, & Appelbaum, 2019). 뉴미디어, 인터넷, SNS등 상호작용이 가능한 미디어의 특성을 연구한 연 구들은 이용자 간 상호작용성은 같은 미디어를 사용하는 이용자들 간에 정보를 교 환행위로 설명하고 있으며, 상호작용은 단순한 정보뿐만 아니라, 댓글과 재전송, 콘텐츠 공유 등의 행동을 중요한 상호작용의 양식으로 논의 하였다(Eriksson, Coultas, & De Barra, 2016). 이후 미디어 속성과 이용자 간의 상호작용성에 관한 연구가 결합된 상호작용성의 연구로 이어졌으며, 이들 연구는 이용자와 미디어 관 점을 통합한 즐거움, 선택, 연관성, 정보 수집, 상호작요의 중심이 되는 개념으로 제시하였다(Chan, Trueger, Roland, & Thoma, 2018).

스포츠와 관련하여 상호작용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지만, 몇몇 연구에 서 SNS를 활용한 팬들과의 상호작용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이들 연구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SNS를 기반으로 상호작용을 통해 조직이나 개인에 긍정적 효 과를 보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곽정현, 이선희(2015)는 스포츠 관람자들이 SNS를 통해 능동적으로 원하는 스포츠를 시간, 공간 제약 없이 함께 타인과 상 호작용하면서 즐길 수 있으며, 선수와 팬의 소통을 통해 스포츠가 성장할 수 있 다고 설명하였다. 김충현, 고준석(2012)의 스포츠 팬은 구단과 선수를 자신과 유사하게 생각하는 동일시의 심리가 형성되어 구성원들 사이에 구전 행위 등을 촉진한다고 하였으며, 김민주, 이혁기, 임수원(2012)은 SNS에서 스포츠 스타의 자기표현 방식과 주제를 분석하고 팬들과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자기

표현과 주제 선택의 신중성을 강조하였다. 그들은 스포츠 스타의 트위터를 분석 하여 자기표현 유형을 독백형 자기표현과 대화형 자기표현 구분하고, 독백형 자 기표현은 일기형, 알림형으로, 대화형 자기표현은 동료선수 및 지인과의 대화, 대중과의 대화로 세부적인 구분을 하였다. 또한, 자기표현 주제는 대중으로서 같 음의 주제와 스타로서 다름의 주제가 도출하였으며, 같음의 주제는 평범한 일상 주제, 공감주제, 문화공유주제, 다름의 주제는 경기력 과시 주제, 일상생활 구별 짓기 주제, 친분과시 주제로 분석하였다. 김지선(2019)은 스포츠 스타의 팬덤을 집단지성으로 개념화하고, 이러한 팬덤이 스포츠 스타의 독보적인 지위를 확립 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해외연구에서는 최근 스포츠 참여자는 상호작용을 하면서 사회성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되 대인관계의 형성과 함께 사회적 재생역할에 기여한다는 결과를 제 시하였다(Coalter, 2007; Okayasu, Kawahara, & Nogawa, 2010; Hajli & Hajli, 2013; Hoekman, Breedveld, & Kraaykamp, 2017). 특히 Hajli & Hajli(2013) 는 스포츠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 지식, 경험 등을 공유해 사회적 자본을 형성한다고 하였으며, Darcy, Maxwell, Edwards, Onyx, &

Sherker(2014)는 스포츠와 관련된 사회자본의 형성은 강한 유대감과 소속감을 제공하면서 인적 자원 개발에 기여한다고 하였다. 반면에 Whittaker &

Holland-Smith(2016)는 어두운 면에 대해 언급했는데 소수에 의해 독점된 집 단의 경우에는 그들만의 동질성 및 정체성이 과도하게 강화되어 다른 사람의 진 입을 막는 성향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이처럼 스포츠 구단 또는 스포츠 스타-팬의 상호작용은 동질성을 확보하여 팬덤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며, 이때 형성된 팬덤은 스포츠 스타에 대한 강한 유대감과 소속감을 제공하여 스포츠 스타는 물론 팬들에게도 긍정적 효과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호작용의 효과는 스포츠 스타를 중심으로 한 팬들 의 강력한 커뮤니티를 바탕으로 형성된 팬덤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스포츠 스

타-팬 상호작용 결과는 팬덤 형성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