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독자회의 형식으로 실제 다양하게 존재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조선문학』 지면을 통해서도 확인 가능하다.64 독자, 인민은 특히 현지 파견 사업에서 직접 현실의 인민 속으로 들어가라는 동맹 사업에서 드러나듯 조선문학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등장하나, 1956년 대회 연단을 전후해 다른 쟁점들에 비해서 아직 그 이론적 심화가 불충분하게 이뤄지면서 구체적인 작품 평가의 기준으로서는 모호한 성격을 보인다.

이렇게 전후 문학 부문의 건설에 있어 그 중요성이 강조된 신인 사업에 대해서 대회 결정서는 ‘신인 육성 위원회’의 발족을 제기했다. 이는 한설야의 보고에서 제안된 것으로 특히 신인 육성의 지도기관인 작가 학원의 책임을 맡은 한태천의 논의에서도 지지 발언이 있었다.67 대회에서 신인 육성 사업은 한태천의 발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한태천은 아직 그 사업 기간이 길지 않은 신인 사업의 결함보다는 향후 과업에 더 많은 비중을 할애했다. 우선 향후 중요한 과업 중 하나로 “일년에 한두번씩 청년 작가 대회를 소집하고 그들의 작품을 토론하며 창작 경험을 교환하는 일”을 하면서 여기에 “반드시 경험 있는 로작가들이 출연하여야 하며 신인들이 제기하는 창작상 질문들에 대하여 해답들을 주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학 후비군을 양성하는 것은 경험 많은 로작가들의 중요한 사업이며 이는 창작 활동과 아울러 동시에 진행해야 할 당적 및 사회적 임무”라고 강조하면서 그는 “므.고리끼”를 그 모범으로 지적했다.68

한편 신인들을 위한 새로운 문학 잡지 『청년 문학』을 창간, 이미 수차에 걸친 문학 현상 모집을 통하여 신인 작가들의 작품 선집을 출판한 사실을 평가하면서 잡지가 아직 “신인 작가들의 활동 무대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하지 못”하고 “그들을 체계적으로 교양하는 지도자의 역할은 극히 미미하게 수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69 또한 창작 의욕을 말살하는 냉혹한 비판과 더불어 “출판사 편집 일꾼들과 출판 지도 일꾼들에게서” 나타나는 “작품 평가와 지도에서의 관료주의적 태도”를 지적했는데, 이러한 태도가 “신인 작가의 개성적 쓰찔을 말살하고 그에게 주관주의적 견해를 강요”한다고 주장했다. 한태천은 “신인의 우리 문학에 대한 역할”에 대해

그들의 특색은 새로운 것에 대한 민감성과 생활과 투쟁에 대한 정열이

충만되여 있는 바로 그점에 있습니다. 때문에 우리들은 그들을 진정으로 아껴야 하며 자기의 주관적 척도에다 그들의 작품을 기계적으로 알맞게 해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예술적 형식과 개성적 쓰찔의 다양성은 사회주의 사실주의 창작 방법의 가장 중요한 요구입니다.70

67 한설야, “보고”; 한태천, “신인 육성에 대하여”, 『제2차 조선 작가 대회 문헌집』,

(평양: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56).

68 한태천, “신인 육성에 대하여”, 216.

69 한태천, “신인 육성에 대하여”, 217.

70 한태천, “신인 육성에 대하여”, 217.

82

라고 강조했다. 물론 혹독한 비평에 대한 비판과 함께 『추켜 주기』식 평론 태도도 비판했다. 그는 신인들에 대한 비평적 관심을 주문하며 신인들의 작품들을 제때 평론을 통해 소개하고 각종 토론회들을 조직해 주어야 한다고 제기했다.

한편 한태천은 자신이 원장으로 있는 작가 학원의 역할에 대해서 구체적인 언급을 주고 있어 1956년 10월 대회 당시 신인 육성의 지도기관이었던 작가 학원의 실태에 대해 파악이 가능하다. 우선 그는 “작가 학원은 이미 60여 명의 졸업생을 내였으며 멀지 않아 또 30여 명의 신인들을 우리 작가 대렬에 보내게 될 것”이라며 “그중에도 김 철, 리 종렬, 정 해윤, 김 재호, 박 태홍 등 재간 있는 청년 작가들이 포함되여 있는바 이것은 작가 학원 사업에서 거둔 빛나는 성과”라고 언급했다.71 그러나 곧바로 학원의 실태, 특히 수업 년한, 교수 시간, 교수 과목, 교수 인력, 과정안 등에 대한 구체적 평가를 통해 결함을 지적하고 있다.

학원이 창설된지 만 2년이 가까워 왔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들에게는 아직 학원의 특수성이 명백하게 규정되여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학원 관리 운영 체계도 충분히 확립되지 못한 형편에 있습니다. 교수 사업은 거의 전부가 다 외래 강사에 의존되여 있는바 전학기만 하여도 총 950시간 중 210시간이 결강되였습니다. 정말 강사를 기다리는 심정은 앓는 아이를 놓고 의사를 기다리는 것과 같습니다. 그런데 우리 학원의 수업 년한이 일년이라는 실정을 고려할 때 이것은 너무나 엄중한 일인 것입니다. 현재 우리 학원에는 단 한 명의 전임 교원 밖에 없는데 이 력량으로써는 도저히 결강되는 시간을 원만히 보장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전문 과목들에 한해서만이라도 전임 교원들을 증가시킨다면 학원 사업이 원만하게 진행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외에 신인 작가들을 위한 단기 강습회 같은 것도 수시로 진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기게 될 터이니 이는 일석이조의 리득이라 아니 할 수 없습니다.

다음 학원 사업에서의 결함은 수업 년한 1년에 비하여 터무니없이 과중한 과정안 편성에 있습니다. 김대 어문학부에서 5년 동안 배우는 과목들을 일년 동안에 집행하자니 자연히 무리가 생기게 되며 극히 필요한 과목들에 적은 시간을 배당하지 않으면 형편입니다. 현재 조선 문학, 로씨야 문학, 서구라파 문학과 같은 전공 과목들에 시간이 아주 적게 배당되여 있으며 따라서 자연히 강의가 교조주의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노트를 통하여 문학 수업을 하는 그릇된 편향을 신속히 시정하여야겠습니다. 문학사에 많은 시간을 배당해야 것이며 문학 교수 사업을 강의와 문학 강독을 병행하여 진행할

71 한태천, “신인 육성에 대하여”, 219.

83

것입니다. 벌써부터 우리 학원에서는 이런 방향에서 과정안을 재검토하고 있습니다.72

특히 교수 과정안과 관련해서는

창작 쎄미나르는 신인 작가들을 육성하는 사업에 있어서 중요한 방법이며 이는 또한 우리 학원의 과정안에서 제1차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창작 쎄미나르에 대한 일정한 교수 창작 요강도 아직 없을 뿐더러 지도 교원들은 일정한 준비 없이 산만한 수업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창작 쎄미나르에서 학생들이 창작한 작품들을 검토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도 매개 쟌르에 고유한 리론과 기교를 배워 주는 것이 더 중요한 것입니다.

맑스-레닌주의 미학의 일반적 법칙에 튼튼히 의거하며 원칙들을 세계 문학의 고전적 명작들에 창조적으로 적용하며 자기가 전공하는 쟌르에 대한 구체적인 리론을 옳게 파악하는 조건에서만이 청년 작가들은 부단히 전진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창작 쎄미나르 지도 교원들에게는 교수에서의 주밀한 계획과 구체적인 과정안을 시급히 작성할 필요성이 있습니다.73

라고 부연하며 작가 학원의 과제로 맑스-레닌주의 미학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창작 실천을 위한 구체적 지도를 주문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태천은 신인 육성부에 대한 설치 문제를 제기했다.

나는 현재 분과 위원회에서 산만하게 진행되고 있는 신인 작가들에 대한 지도 사업을 새로 동맹내에 신인 육성부를 설치하고 그에 통합하자는 한 설야 위원장의 말씀을 전적으로 찬성합니다. 만약에 우에서 말한 신인 육성부가 문화 선전성 군중 문화국, 직총 문화부 각 신문사, 잡지사 등 문학 서클 사업을 지도하고 있는 각 기관들과 밀접한 련계를 맺고 작가 지부, 작가반을 통하여 공화국 방방곡곡에 분포되여 있는 문학 서클들을 유일 체계에서 적절하게 지도한다면 분야에서의 결함은 시급히 시정될 것이며 멀지 않은 장래에 수많은 청년 작가들이 우리의 대렬을 보충하게 될 것입니다.74

신인 작가 육성의 문제는 대회의 중요한 조직 사업의 쟁점이었을 뿐만 아니라 1960년대 중후반에 이르기까지 문예 부문의 중요한 조직적 의제였다.

특히 1958년 공식적으로 시행된 7년제 의무교육제의 혜택을 받고 사회에

72 한태천, “신인 육성에 대하여”, 220.

73 한태천, “신인 육성에 대하여”, 220.

74 한태천, “신인 육성에 대하여”, 220.

84

진출한 초중, 고중 졸업생들의 새로운 세대는 1960년대 문예 창작에서 주인공들로 부각되었을 뿐 아니라 신인 작가들을 배출하는 사회적 지반이었다.

7년제의 전반적 의무교육제가 시행된 1958년 말 천리마 운동과 결합된

‘공산주의 교양’의 중요성이 강조되었고 이러한 새로운 교육을 받고 자라난 새 세대는 1960년대 북한 문예 부문의 신인 작가 대열을 구성하는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