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본 연구는 학제간 연구와 협동연구의 장점을 살리고자 각 주제별 또는 총괄적으로 관련 행위자 및 전문가를 중심으로 간담회

,

워크숍

,

학술회의 등을 개최하였다

.

세부 주제별로 다양한 형태의 간담회 및 워크숍을 15차 례 이상씩 개최하였다. 그리고 총괄적으로도 자문회의, 사업계획발표회, 총괄책임자와 세부과제 참여자간 간담회, 공동연구진 전체워크숍, 중간 발표회, 최종발표회 등 총 40회 이상의 모임을 가져 회의 결과를 연구에 반영하고 문제점을 해결해 나가려고 노력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분야별 전문기관간 유기적 연계 속에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는 진정한 “협동연구”가 될 수 있도록 했다. 무엇보다 본 연구는 대주제와 분야별 세부주제간 유기적 연관성을 도모하기 위해 연구진 전체회의와 워크숍을 수차례 개최하여 상호간 인식을 공유하였 다(아래 <표

Ⅰ-1>

참조).

<표 Ⅰ-1> 주요회의 개최 현황

구분 일시 회의명 주요내용

3.16

자문회의 국가정보

,

북한정보에 관한 이론적 논의

3.24

사업계획안 발표회

2010년 북한정보 협동연구 계획안 발표회 3.30

자문회의 국가정보

,

북한정보에 관한 이론적 논의

4.2

간담회 북한 사회문화 정보체계 연구 논의

4.21

간담회 북한정보 수집 활용 현황 논의

4.22

간담회 정보수집체계 문제점 진단 논의

4.23

간담회 북한정보체계 개선 시사점 및 활용방안 논의

4.28

간담회 천안함 사태와 북한정보 논의

4.29

간담회 탈북자를 통한 북한정보 수집 실태 밑 대북방송 활동 논의

4.30

간담회 북한 사회 문화 정보수집 및 분석체계 논의

5.7

간담회 북한 사회문화정보 수집체계

5.19

자문회의 북한 사회문화정보 수집분석 체계

5.19

총괄책임자와

세부팀장간 간담회 북한정보체계의 현황 및 평가

정 보체 계 실 태조 사

구분 일시 회의명 주요내용

5.27

자문회의 북한 사회문화정보 수집분석 체계

5.27

간담회 대북정보체계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논의

6.21

간담회 북한 정치분야 정보수집 실태조사 논의

6.24

간담회 북한 대남정보의 수집 및 분석 실태조사 논의

6.23

자문회의 북한 정치분야 정보수집 실태조사

6.29

간담회 중국의 북한정보 논의

7.5

간담회 북한정보의 딜레마 논의

7.6

간담회 북한정보 분석 실태조사 논의

7.13

간담회 대북 정보체계 개선방안 논의

7.20

간담회 대북정보체계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논의

7.20

자문회의 대북정보체계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7.21

간담회 북한 대남 정보의 수집 및 분석조사 논의

8.17

총괄책임자와

세부팀장간 간담회 북한정보체계의 현황 및 평가

9.7

간담회 북한정보체계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논의

9.10

중간보고

2010년 북한정보 협동연구 중간보고회

9.13

간담회 북한 대남정보체계 실태 및 평가 논의

9.24

간담회 북한정보 관리체계 논의

10.1

간담회 북한정보 수집체계 논의

10.5

간담회 북한 대남정보체계 실태 및 평가 논의

10.6

간담회 정보관리 체계 관련 논의

10.15

간담회 언론분야의 북한정보 수집 및 분석실태 논의

10.20

간담회 북한정보체계의 현황 및 실태평가 논의

11.1

간담회 북한 전문언론매체의 북한정보 수집 실태 및 현황 논의

11.4

간담회 북한정보의 활용실태와 개선방안 논의

11.13

최종보고

2010년 북한정보 협동연구 최종보고회

11.30

간담회 북한정보가 대북정책결정에 미치는 영향 논의

12.7

간담회 정치정보의 수집 및 가공의 개선방안 논의

12.14

간담회 대북정보체계 평가와 향후 대책 논의

12.27

간담회 대북정보체계 평가와 향후 사업계획 논의

한편, 본 연구는 북한정보의 분야별 실태조사에 중점을 두었는 바, 해 당 분야 전문가의 자문회의 및 심층면접에 초점을 두었다. 북한정보의

장 -

서 론

실태조사는 개별 행위자에 대한 평가가 수반될 수밖에 없다

.

따라서 전문

가의 심층면접 내용이나 자문내용은 직접적으로 표기하지 않고 익명으 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자문회의나 심층면접에 참여한 분야별 전문가는 다음과 같다.

<표 Ⅰ-2> 자문자 및 심층면접 참여자 명단(가나다 순)

자문자 소속 자문자 소속

곽승지 연합뉴스 이영종 중앙일보

김명성

NK지식인연대

이우탁 연합뉴스

김성진 연합뉴스 장용훈 연합뉴스

김용훈

Daily NK

전미영 동국대

노귀남 동북아 미시사회연구소 정성남 자유아시아방송 신동호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 정성임 육군사관학교 안득기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정성장 세종연구소

안용현 조선일보 정세율

NK지식인연대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정창현 민족21

양창석 통일부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윤규식 육군종합행정학교 조영국 국가인권위원회 이기동 국가안보전략연구소 하태경 열린북한방송

이대근 경향신문 한희원 동국대학교

이수석 국가안보전략연구소 현성일 국가안보전략연구소

본 협동연구는 통일연구원이 기본계획서와 이에 따른 연구분야 및 세 부연구주제를 확정하고, 엄정한 공모와 심사를 거쳐 연구기관 및 연구자 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연구의 효율성

,

공정성

,

적합성, 주제 간 유기적 연계성 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 통일연구원을 총괄 연구기관으로 하여 3개의 세부과제는 통일연구원이 그리고 나머지 2개 의 세부과제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대외경제정 책연구원이 협력연구기관으로 참여하여 협동연구망을 구축하였다.

정 보체 계 실 태조 사

이론적 논의 및 해외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