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정보에 관한 이론적 논의

정 보체 계 실 태조 사

이론적 논의 및 해외사례

장 -

이 론 적 논 의

및 해 외 사 례

성을 논하고 있다.4)

또한, 켄트

(Sherman Kent)는 정보는 국가정책 운용을 위한 “지식

(knowledge),

첩보(information), 활동(activities), 조직(organization)을

포괄하는 개념”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5) 켄트의 개념이 가장 권위적인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정의가 있으나 이를 요약하면 정보(intelligence)는 분석 및 여과의 과정을 거쳐서 생산된 체계화된 지식으로 정책에 직접적 으로 유용하게 활용되는 자산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국가정보는 국가정책에 다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로웬탈은 정책과 정보의 관계에 대해서 아래 그림이 보여 주듯이 정책과 정보는 정부의 활동을 기준으로 분리된 두 영역이라고 간주하고 있다.

<그림 Ⅱ-1> 정책과 정보의 관계

정책 정보

다시 말하면, 정부의 활동이 반투과성 막으로 존재하면서 정책과 정 보를 구분하게 된다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즉, 정책결정자들은 이 막을 넘어 정보영역으로 건너갈 수 있으나, 정보관들은 정책 영역을 침 범할 수 없으므로 이 막이 반투과성이라는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

4) Ken G. Robertson, “Intelligence, Terrorism and Civil Liberties,” Conflict Quarterly, Vol. 7., No. 2 (Spring 1987), p. 46; 국가정보포럼, 󰡔국가정보학󰡕 (서울: 박영사, 2006), p. 6, 재인용.

5) Sherman Kent, Strategic Intelligence for American World Polic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49), pp. 3~4; 위의 책, p. 7, 재인용.

정 보체 계 실 태조 사

는 것이다.6)

한편

,

정보의 범위를 생각해 보면, 국가정보

(national intelligence)는

국가정보기관이 생산하는 정보로서 단위행정부문을 넘어서서 국가 전체 적인 목적을 위해 생산된 전략정보(strategic intelligence)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7) 따라서, 국가정보기관은 부문별 정보기관과 대별되며

,

부문별 정보기관(departmental intelligence organization)은 기능적 역할 분담에 의해 해당 정보를 생산하는 하위기관을 의미한다.

물론 부문별 정보기구도 국가정보를 생산할 수는 있다.

(가)

국가정보의 유형

국가정보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유형별로 보다 자 세하게 나누어 보면

,

시계열 및 기능과 수집방식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 며

,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시계열에 따른 분류8)

정보를 수집 및 활용함에 있어서 정보가 여러 차례의 가공 및 분석을 거쳐서 발전하게 되는데

,

이러한 과정상에 있어서 초기 단계의 정보와 후기 단계의 정보가 있으며, 기본정보, 현용정보, 경보정보, 예측정보로 분류할 수 있다.9)

첫째, 기본정보((basic descriptive form of intelligence)는 과거의 사례 를 총괄하는 서술적으로 총망라된 정보로 일반적으로 참고자료로 활용 되는 것으로써

,

과거의 사실이나 이벤트들에 대한 첩보를 수집 및 분석해 놓은 것이다. 기본정보는 정치

,

군사, 경제, 과학기술

,

사회문화, 지리, 인구, 역사 등 대상국가에 대한 모든 첩보를 포함하며, 기본정보의 체계 적 구축을 위한 분류법 가운데 잘 알려진 것은 각 정보의 영문 첫글자를

6) Mark M. Lowental, 김계동 역, 󰡔국가정보: 비밀에서 정책까지󰡕 (서울: 명인문화사, 2008), p. 7.

7) 한희원, 󰡔국가정보󰡕 (서울: 법률출판사, 2010), p. 28. 한희원은 중앙정보기구가 생산하는 정보라고 규정하고 있으나, 국가정보의 생산주체는 부문 정보기구와 대비되는 특정 국가의 정보공동체 전체를 지칭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판단되어 ‘국가정보기구’라는 표현을 선택하였음.

8) 문정인 편저, 󰡔국가정보론󰡕 (서울: 박영사, 2002), p. 28~30.

9) Kevin P. Stack, “Competitive Intelligence,” Strategic Intelligence for American National Seturi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9), pp. 3~40; 문정인 편저, 󰡔국가정보론󰡕, pp. 28~31, 재인용.

장 -

이 론 적 논 의

및 해 외 사 례

구분 세부항목 주생산기관

개인신상 정보

-

개인성향

-

이념적 특성

-

인간관계

-

행동특성 등

・국가

정보기관 경제

정보

-

각종 경제지표

-

인적

・물적 자원 보유/배분 현황 등

외교

・국가

정보기관

사회정보

-

인구조사자료

-

사회적 특성

-

여론

,

교육

,

종교

-

복지 및 보건

외교

・경제

부처

운송

・통신

정보

-

철도

・도로 ,

내수로

,

항만, 공항, 원유

・가스파이프 라인 등

의 운용현황 및 시설물

-

라디오

, TV,

전보, 해저케이블, 언론・ 통신시설물

,

군 통 신시설물

정보기관 군지리

정보

-

자연지리 정보

-

인문지리정보(정치・경제

・사회 요충지 및 시설 )

정보기관

군사정보

-

조직

・행정

-

인력

-

전투서열

-

군수물자

,

병참

-

전략 및 방어

정보기관 따 BESTMAPS라고 하고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10)

- B :

개인신상정보(biographical intelligence)

- E :

경제정보(economic intelligence)

- S :

사회정보(sociological intelligence)

- T :

통신정보(transportation and telecommunication intelligence)

- M :

군사지리정보(military geographic intelligence)

- A :

군사정보(armed forces intelligence)

- P :

정치정보(political intelligence)

- S :

과학기술정보(scientific and technical intelligence)

<표 Ⅱ-1> 기본 정보의 구성

10) 최강, “국방정보론,” 문정인 편저, 󰡔국가정보론󰡕, p. 68.

정 보체 계 실 태조 사

구분 세부항목 주생산기관

정치정보

-

정부의 기본원칙

-

운용방식(체제특성, 적법성, 권력배분, 의사결정체제・

과정 등)

-

대외정책

-

정당, 이익집단, 반(反)국가단체

외교

・국가

정보기관

과학・기술 정보

-

연구기관・조직

-

연구・개발활동

-

연구・개발예산

-

연구・개발시설

・국가

정보기관

둘째

,

현용정보(current reportorial form of intelligence)는 매일 매일 의 현상에 대한 현재정보로써

,

기본정보를 바탕으로 현재의 주요 상황을 분석하여 생산한 정보이다. 즉

,

국가이익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들을 우선 순위별로 정리해 놓은 미국의 대통령 일일보고

(President’s Daily Brief:

PDB),

국가일일정보(National Intelligence Daily: NID) 등 일일정보가

대표적인 것이다

.

한편, 전략 경보정보(strategic warning intelligence)는 현용정보의 일부분이지만 적의 동향을 부단히 감시해서 얻어지는 공세 적 이상 징후를 즉각적으로 주요 정책결정자에게 전달하여 신속한 대응 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이다

.

,

모든 국가정보기관의 최우선 적 목표가 전쟁의 조기경보에 있기 때문에 전략경보 정보는 매우 중요하 며

,

과거 미소 핵 대결 시기에 있어서 전략경보는 국가정보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셋째

,

전략경보 정보(strategic warning intelligence)는 현용정보의 일 부라 할 수 있으나

,

중요성 때문에 별도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전략경보 정보는 적의 동향을 부단히 감시하여 얻어지는 공세적 이상 징후를 즉각 적으로 주요 정채 결정자들에게 전달하여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이다.

넷째

,

예측정보(speculative evaluative form of intelligence)는 판단정 보라고도 부르며, 추론과 평가를 기초로 미래에 대한 예측과 판단을 가능 케 해주는 정보이다

.

즉, 예측정보는 미래에 대한 사회과학적 추산정보라 할 수 있으며, 예측정보는 특정 국가의 총체적 정보역량을 보여준다. 미

장 -

이 론 적 논 의

및 해 외 사 례

국의 국가정보예측(National Intelligence Estimates: NIEs) 보고서는 예

측정보의 대표적 사례로 거론되고 있다.

2)

기능에 따른 분류

정보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활하고 있는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 상을 설명하기 위한 영역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

정치・군사・경제・사이버 등 기능에 따라 정보가 생산 및 유통되고 있다.11)

첫째, 정치정보는 국가안보와 직결된 국내외의 정치상황, 정치지도자

,

정치제도, 정치과정, 정치이념 등 정치 전반에 대한 포괄적 정보를 의미 한다. 또한, 정치정보는 국내정치정보와 국외정치정보를 포함하며, 우방 국가나 중립국가 그리고 적성국가 등의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군사정보는 가상 혹은 실질 적국의 위협인식과 평가, 전략과 전 술, 전력구조 및 기획, 군사배치, 무기체계, 국방정책 결정구조

,

그리고 민군관계 등 다양한 사안을 포함한다

.

따라서, 군사정보는 아국과 연관이 있는 우방국에 대한 총체적 군사력에 대한 지식을 포괄하며

,

일반적으로 부문별 정보로 분류되어 부문별 정보기구에서 다루지만, 사안의 중요성 때문에 국가정보기관도 직접적으로 개입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경제정보는 전통적 국가정보기관의 정보수집 대상이 아니었으 나

,

세계화 및 국제경쟁의 심화로 인해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경제정 보는 일반적으로 정부기관, 연구소, 기업, 대학 등에서 공개된 정보를 대상으로 주요 교역대상국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정보기관의 역할보다는 공개된 형태의 연구결과물이 주된 것이었다. 따 라서 국가정보기관은 석유 등 전략 자원 등에 한정된 정보활동을 주로 하였으나, 국제경쟁력 강화

,

국내외 경제추세의 중장기 예측, 국제경제체 제의 불안정성 예측, 전략자원의 추세 및 안정공급, 첨단 과학기술의 확 보 및 방어

,

기타 대형 사업의 수주정보 확보 등으로 확대되고 있는 실정 이다.

11) 문정인 편저, 󰡔국가정보론󰡕, pp. 31~36, 참조.

정 보체 계 실 태조 사

넷째, 사이버정보는 정보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부상한 정보유형으로 써

,

정보화시대의 사이버 정보는 한 국가의 중추신경을 구성하는 정보통 신체계에 대한 모든 위협을 포괄한다 할 수 있다

.

한편, 과학・기술 정보

,

환경・보건 정보, 문화정보 등 다양한 영역의 정보활동이 존재하고 있다.

3)

수집방식에 따른 분류

국가정보는 수집방식에 따라 인간정보

(HUMINT)와 기술정보 (TECHINT)

및 공개정보(OSINT)로 나누어지며, 세부적 분류에 의한 정보의 종류는 아래 그림과 같다. 첫째, 인간정보(HUMINT: human intelligence)는 일반 적으로 인간을 침투시켜 이들로 하여금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

망명자, 여행객

,

학술회의 참석자 등 다양한 인간 출처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포괄한다

.

인간정보는 인적수단을 사용하여 수집한 정보를 말하며

,

인간정보는 정보관이나 주재관이 직접 수집하는 경우도 있고, 공작원이나 협조자를 활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

여행자, 포로, 망명자 등으 로부터 추출해 내는 경우 등 다양한 수집방법이 있다

.

또한

,

정보기관간에 서로간의 공통 관심사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은 일상적인 업무로 간주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정보기관들은 상대국에 연락관을 주재시켜 상호 협력하고 있다.

둘째, 기술정보(TECHINT: technical intelligence)는 인공위성, 정찰항 공

,

도청장치, 레이더 등 사람이 아닌 과학기술을 동원하여 수집한 정보를 의미한다

.

기술정보는 다양한 형태의 기술에 의존해서 얻어지는 정보를 통칭하고 있으며, 영상정보(IMINT: imagery intelligence)와 신호정보

(SIGINT: signal intelligence)로 대별된다.

영상정보는 항공기, 인공위성

및 기타 수단을 활용해서 수집한 정보를 의미하며

,

전통적인 항공사진

(PHOTINT: conventional aerial photograph intelligence)을 포함해서

보다 최첨단적인 정보로써 위성전자사진

(SATINT: satellite electronic

photography intelligence),

레이더 영상사진(RADINT: radar imagery

intelligence)

등이 있다

.

신호정보는 통신정보(COMINT: communication

intelligence),

전자정보(ELINT: electronic intelligence), 외국장비신호정

(FISINT: foreign instrumental signals intelligence),

레이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