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IA)
1. 한반도 정세 변화와 북한정보 추이
북한정보 활동은 국내외 정치안보적 민감성으로 국제관계와 국내 정 세는 물론 북한 내부, 남북관계 상황 등에 따라 그 주체와 기능 등에 변화를 보여왔다. 본 글에서는 북한정보 활동 주체, 영역, 분석과정 등의 주요 추이를 정리하되 북한정보활동에 조응하는 한반도 대내외 정세를 더불어 제시하고자 한다.
가. 국제 관계와 북한정보
최근 북한정보의 흐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국제적 배경으로 는 미국의 대북정책과 북
・중 접경 지역을 통한 북・중 교류 증대가 주목받
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 환경은 북한정보 주체, 영역 등에서 변화를 가져 오고 있는데,
특히 북한정보 주체로서의 북한이탈주민 단체의 성장과 정보 영역에 있어 인권, 주민생활 영역으로까지 구체적 정보 수집, 분석,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우선
,
북한정보의 국제적 환경으로서 미국의 대북정책을 살펴보기로 한다. 북한 핵실험, 미사일 발사가 이어지면서 미국의 대북 제재가 속도 를 내는 가운데, 2002년부터 추진된 북한인권 관련 법안이 2004년 제108
차 미 의회에서 통과되었다. 북한 인권 증진을 위해 미국과 한국 내 민간 단체에 대한 지원이 시행되었는데, 국무부 예산항목과 민주주의진흥재단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NED)에서 북한인권과 북한이
탈주민 지원 활동 NGO에 대한 재정지원이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민주 주의진흥재단(NED)을 통해 2006년도부터 시행된 지원 내역을 보면 한 국 내 북한이탈주민 운영 단체와 대북 방송 매체
,
북한 인권 활동 NGO들 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장 -
북 한
정 보 체 계 의 현 황 과 실 태 NED
연례보고서를 통해 2006년부터 2009년까지의 지원 대상과 대상별 지원금을 보면, 주로 북한 인권 단체와 북한이탈주민 운영 대북매체가 대부분임을 알 수 있다. 북한 인권 관련 단체로는 북한인권시민연합, 북 한인권정보센터 등이 해당되며, 대북 정보 내지 방송 활동을 벌이고 있는 단체로 Daily NK, 열린북한방송
,
자유북한방송, 북한민주화네트워크 등 이 포함되어 있다.Daily NK,
열린북한방송, 북한민주화네트워크 등은 최근 북한정보활동에서 주요 행위자로서 주목되고 있는바, 이들 단체의 활동 배경으로 미국 재정 지원이 전혀 무관하다 할 수는 없을 것이다
.
이들 단체의 활동 을 통해 북한 주민들의 생활이 구체적으로 정보화되고 활용되어 북한정 보 영역이 사회문화, 인권 영역에 이르기까지 확장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인권 단체로 북한인권시민연합, 북한인권정보센터 등이 포함 되어 있어 북한 인권을 중심으로 한 북한정보 영역 확대를 촉진하는 배경 중 하나가 되고 있다.북한정보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국제적 환경으로 미국의 대북정책과 더불어 살펴보아야 할 부분이 북・중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한 인적, 물적 교류의 증대이다. 북・중 접경지역이 북한정보를 생산하는 주요 통로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앞서 보았던 Daily NK와 같은 대북 매체나 자유아 시아방송(RFA)76)등이 북한정보 활동의 주요 주체로 떠오르게 된 것도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북・중 접경지역을 통한 우회적 정보 수집이 주요 통로로 등장하게 된 것과 무관하지 않다.
북・중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한 인적, 물적 교류가 늘어나면서 북・중 접경지역을 오가는 정보의 양도 증가하게 되었고 접경지역에 대한 북한, 중국의 통제상황이 북한정보 수준을 좌우하는 배경이 되고 있다. 한 예로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전후해 북・중 국경경비가 강화되면서 접경지역
의 정보 활동이 줄어들기도 하였다는 점은 이러한 현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77)76) 1994년 클린턴 행정부 시기 미국 정보처 산하에 설립된 연방국제방송위원회의 예산지원, 서비스 감독으로 VOA(전세계 대상), RFA(아시아), RFE/RL(동구 및 러시아), Radio FARDA(이란), METN(중동), Radio SAWA (중동), Radio/TV MARTI(쿠바) 등이 운영되고 있다.
77)○○○(민간단체), (통일연구원 자문회의, 2010.11.1).
정 보체 계 실 태조 사
나. 남북 관계와 북한정보
남북한 관계에서 교류・협력의 증대는 행위자간 접촉을 통한 직접적 방법으로 북한정보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특성이 있다. 직접적인 대면과 사실확인을 통해 생성되는 북한정보는 정보 제공자인 북한의 의 도에 의한 왜곡을 어떻게 최소화할 것인가에 대한 과제를 갖게도 했으나
,
우회적・간접적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와는 차별성을 가지며 의미가
부여되어 왔다.또한 남북한 교류
・협력의 양적 증대가 분야와 주체의 증대로 이어지면
서 북한정보의 주체와 영역 또한 확장되었다.
남북 간의 정치・경제, 사회 문화 전영역에서 교류・협력이 급증했던 1990년대 후반부터 10여 년 간의
시기는 정부,
민간, 언론, 학계 등 북한정보 주체가 다차원적으로 확장된 시기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행위자의 다양성은 북한정보 분야에 있어 서도 기존의 정치 중심의 영역을 넘어 경제,
사회,
문화 등 영역의 저변을 확대하는 결과로 나타났다.이후 남북한 교류・협력의 감소는 북한정보 주체, 영역의 축소로 이어 지고 있다
.
그러면서 남북한 직접 접촉을 통한 정보 수집,
분석, 활용에서 우회 내지 간접적인 방법을 통한 정보활동이 강화되었다.
즉,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대북지원, 경협 관련 단체・기관 등을 통한 정보 생산은 축소 된 반면, 정보원 등을 통한 우회적, 간접적인 정보획득이 주목을 받게 되었다.
국내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내 입국이 2000년대 중반 이후 1만 명을 넘어 2010년 11월을 기점으로 2만 명을 넘어서면서 북한이탈주민을 통한 북한정보 접근 가능성도 확대되었다.
결국 남북관계 상황에 따라 북한정보 영역의 가중치에도 변화가 나타 난다고 볼 수 있다
.
남북한 교류・협력이 활성화되는 시기에는 경협, 통일 거버넌스,
금강산・개성 관광 등 교류・협력에 관한 정보가 확대되었다면,
남북관계 경색 이후에는 북한 내부에 대한 연구 및 정보에 초점이 두어지 고 있다. 이와 같은 정보 영역의 변화는 남북관계 상황에 따른 정보 수요 의 변화로도 설명될 수 있지만 정보 수집 통로의 변화에 따라 수집 가능 정보의 영역이 달라진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장 -
북 한
정 보 체 계 의 현 황 과 실 태
예를 들어 남북한 교류・협력이 활발했던 시기에는 정부 고위 당국자나경협
,
대북지원 단체들이 주요 정보 주체가 되면서 이들의 직접적인 대북 접촉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내용으로 생성된 정보였다면, 남북한 교류협력 이 감소하면서는 북・중 접경지역을 오가는 정보원을 통해 수집하게 된 정보가 주로 활용되면서 정보 영역의 차이로 나타나게 되었다는 것이다.다. 국내 정세와 북한정보
북한정보와 관련한 주요 국내 배경과 그 양상은 대북정책에 따른 정보 수요 변화
,
북한정보의 정치적 이해관계화에 따른 특정 정보의 과잉 내지 왜곡,
북한이탈주민 입국 증대로 인한 정보수집 방법으로서의 인간정보 확대로 나타났다.우선 역대정부에서 현 정부에 이르기까지 대북정책의 지속과 변화 상 황은 특정 정보 분야의 수요 확대와 축소로 이어져 왔다. 북한정보의 주된 수요자가 되어온 정부가 어떠한 대북 태도 및 정책을 취하는가는 북한정보를 수집, 분석, 활용하는 주체의 활동을 가름하는 주요 환경이 되어 온 것이다.
또한, 60여 년 간의 분단 상황에서 대북・통일 정책이 정치적 이해관계 에 활용되는 상황이 나타나면서 북한정보에 있어 특정 정보를 양산하거 나 과잉해석, 왜곡된 측면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이와 더불어 국내 북한이탈주민 입국이 늘어나면서 북한이탈주민을 통한 인간정보가 크게 증대된 것도 특징적이다. 국내 입국한 북한이탈주 민의 북한에서의 사회경제적 배경도 다양화되면서 북한 내 각 지역, 계 층, 직업군 등으로 세분화된 북한정보 수집이 가능해진 것이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이 주축이 된 민간단체들이 설립되고 이들 단체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정보 분야에 있어서도 북한 주민 생활 영역, 인권 상황 등을 구체적으로 포괄하게 되었고
,
북한 내부 고위 정보까지 수집하 는 등 정보 수집 역량에 있어서 기존 민간 주체의 역할 범위를 넘어서고 있기까지 하다.정 보체 계 실 태조 사
라. 북한 내부 정세와 북한정보
북한 내부 상황 가운데 체제의 폐쇄성과 시기별 사회 통제의 정도는 북한정보의 양적
,
질적 수준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되어왔다. 우선, 체제의 폐쇄성은 북한정보의 수집을 용이치 않게 하므로 정보의 희소 성을 야기한다.
정보의 희소성은 북한 내부의 특정부문을 부각시킨 나 머지 다른 분야에 대한 몰이해를 가중시킴으로 전반적 현상을 왜곡시 킬 소지를 갖는다. 또한 희소한 정보를 선점하려는 경쟁적 수집, 분석, 활용 단계가 강화되므로 정보의 과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분석과정에 있어서도 한정된 수집 정보로 끼워 맞추는 통합 단계를 거치게 되면서 분석자의 자의적 판단이나 정치적 성향 등이 개입될 소지가 크다고 할 수 있다.북한 내부의 통제 상황에 따라 정보의 양과 질적 수준이 좌우되기도 한다
.
통제가 강화되는 시기에는 정보의 양과 질적 수준이 저하되기도 하는 것이다.
최근 북한의 사회통제가 강화된 계기가 되었던 것은 화폐개 혁이후의 체제 불안정을 우려해 통제를 강화했던 시기이다. 특히, 북한 내부 정보원을 통해 정보 수집 활동을 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중심의 대북매체의 경우 북한 내부 통제 상황에 따라 정보 수집 가능성에 직접적 영향을 받게 된다.또한 북・중 접경지역에 대한 북한당국의 통제가 강화되면
,
국경지역에 서 북한이탈주민이나 장사를 위해 오고가는 북한주민을 통해 수집하게 되는 정보 수집도 용이치 않게 된다.
결국 정보 수집량이 줄어들게 되고, 북한의 의도적 역정보를 걸러내지 못하는 상황으로 이어지기도 한다.78) 이상의 주요 정세별 북한정보 추이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 그림과 같다.
78)○○○(언론사 기자), (통일연구원 자문회의, 2010.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