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 5 : 클립형 영상학습자료 작품설명서]
2022년도 제30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주제 : 전쟁을 바라보는 예술가의 시선
소속기관 관교여자중학교 직위 교사 성명 김신일(기획, 영상편집) 소속기관 연성중학교 직위 교사 성명 최미선(자료조사, 영상편집)
1. 제작 동기
최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전 세계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것을 볼 수 있 다. 이에 학생들과 전쟁의 심각성과 동시대 사람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미술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 중‘미술의 시대적, 지역적, 사회적 배경 을 설명할 수 있다’의 항목으로 미술이 가진 다양한 기능 중 사회적 역할에 중점을 두고 시대를 표현하는 미술에 대한 수업과 전쟁의 다양한 면모와 국제 정 세를 이해하는 수업을 제작하고자 영상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2. 제작 내용
기록의 역할로 시작된 미술이지만 예술가들은 자신의 생각으로 주관적인 기 록을 하기 시작했다. 그렇기에 같은 시대, 같은 사건에도 전혀 다른 작품이 제 작된다. 이는 이전부터 그리고 현재까지의 전쟁을 미술의 사회적 역할, 즉 시대 를 기록하는 기능을 작용하는데 있어 예술가의 생각과 관점이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술가들은 당대의 전쟁에 대해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고 표현했을까’를 전 제로 전쟁을 표현한 5명의 예술가를 선발하였다. ‘전쟁을 찬동의 시선으로 바 라보는 예술가, 자크 루이 다비드’, ‘전쟁의 참상을 고발한 예술가, 프란시스 코 고야’, ‘전쟁으로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예술가, 케테 콜비츠’, ‘전쟁의 비참함을 널리 퍼트린 예술가, 파블로 피카소’, ‘전쟁의 공포를 취재한 예술 가, 에르칸 외즈겐’.
각기 다른 예술가들의 작품을 통해 그 시대의 전쟁을 어떤 시점으로 바라보고 있는지 살펴보고 학생들에게 현재의 전쟁에 대한 자신의 시선은 어떤 것인지 질문을 남겨 미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영상자료로 활용하고 자 한다.
3. 기대 효과
미술과 성취기준‘미술의 시대적, 지역적, 사회적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에 따라 미술의 사회적 역할을 통해 기록되는 전쟁을 미술사로 접근하여 통합적 사고력을 기르고, 수업 중 학습 영상자료에 대한 이해를 돕는 과정에서 비판적, 분석적, 창의적 사고와 같은 고차원적 사고력을 함양시킬 수 있다.
7대 안전사고 중 폭력예방, 어울림 프로그램을 미술 교과에 연계하여 전쟁의 폭력에 대한 역사를 주제로 현재 우리의 역할은 무엇인지 고민과 토론으로 활 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 내용별 설명
‘예술가는 시대를 자신의 시선이 담긴 작품으로 기록한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뿐만 아니라 현대 전쟁에 대한 참혹한 현실에 대해 예술가의 역할을 무엇인지 역사적으로 전쟁을 소재로 작품을 제작한 예술가의 활동을 통해 짚어 보고 우리의 역할은 무엇인지 되묻고자 한다.
당시 예술가는 어떤 시선으로 전쟁을 기록하였는지 살펴보고, 예술가가 작품에 남긴 메시지를 알아보고 그것을 통해 전쟁이 끼친 사회적 영향을 세밀하게 들여다본다.
동시대를 살았지만 ‘전쟁을 찬동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예술가’ 자크 루이 다비 드는 정치권력을 찬양하고, 전쟁을 미화시키는 작품을 남긴 예술가인 반면, ‘전쟁의 참상을 고발한 예술가’프란시스코 고야는 작품을 통해 왕실의 무능함을 비꼬며 폭 로하고 전쟁의 참상을 적나라하게 표현한 대표적인 예술가이다.
1차세계대전과 2차세계대전이 연이어 발발하면서 이를 다룬 수많은 예술가가 있었고 그 중 ‘전쟁으로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예술가’케테 콜비츠는 전쟁으로 자식과 손자를 잃고 그 감정을 작품으로 승화시켜 전쟁으로 인한 고통을 알리려 하였다.
전쟁에 대한 관심이 깊었던 세계적인 예술가‘전쟁의 비참함을 널리 퍼트린 예술 가’파블로 피카소는 스페인 내란에 대한 참상을 알린 대작‘게르니카’뿐만 아니라 우리나라가 겪은 한국전쟁을 표현한 작품을 그리며 전쟁에 대한 참상을 전 세계인들에 게 알리고자 하였다.
터키의 현대 예술가‘전쟁의 공포를 취재한’에르칸 외즈겐은 선천적 청각 장애를 가진 한 아이와의 인터뷰를 통해 아이가 직접 겪은 시리아 내전의 참혹함을 언어 없이 몸동작으로 전달한다.
전쟁이라는 상황 속에서 예술가로서 자신만의 방식과 시선으로 전쟁을 기록한 그들의 작품들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