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모형의 분석결과 K-POP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한국문화 친숙 도,한국문화 정보접근성,국가경제 이미지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개인자원 보유는 K-POP 선호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문화 친 숙도는 경로계수=.257t-값=4.908,한국문화 정보 접근성은 경로계수=.279,t- 값=5.870,국가경제 이미지는 경로계수=.343,t-값=8.111로 세 변수는 모두 K- POP 선호도에 99%의 신뢰도에서 유의하였다.
한국문화 몰입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국가경제 이미지,개인자원 보유, K-POP 선호도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한국문화 친숙도,한국문화 정보접근 성은 한국문화 몰입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국가경제 이미지는 경로계수=.388,t-값=8.435,개인자원 보유는 경로계수=.291,t-값=6.847, K-POP 선호도는 경로계수=.227,t-값=4.315로 세 변수는 모두 한국문화 몰입 도에 99%의 신뢰도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림 4-1]경로모형 분석결과
주:숫자는 표준경로계수(괄호안은 C.R값)를 나타냄
*p<.05,**p<.01
문화이벤트 참여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K-POP 선호도와 한국문화 몰 입도로 나타나며,K-POP 선호도는 경로계수=.153,t-값=3.277,한국문화 몰입 도는 경로계수=.579,t-값=12.403으로 두 변수는 모두 99%의 신뢰도에서 유의 한 영향을 주고 있다.
일반상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한국문화 몰입도와 문화이벤트 참여의도로 나타나며,K-POP 선호도는 일반상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지 못 하는 변수인 것으로 분석되었다.한국문화 몰입도는 경로계수=.573,t-값=11.022, 문화이벤트 참여의도는 경로계수=.170,t-값=3.472로 두 변수는 모두 99%의 신뢰도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문화이벤트의 참여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K-POP 선호도와 한 국문화 몰입도이며,일반상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한국문화 몰입도 와 문화이벤트의 참여의도이며,한국문화 몰입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변 수로는 국가경제 이미지와 개인자원 보유 그리고 K-POP 선호도였고,K-PO P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한국문화친숙도와 한국문화정보접근성 그리고 국가경제 이미지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즉,한국의 문화이벤트 참여의도와 일반상품 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K-POP선호도와 한국문화 몰입도를 올려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국가경 제 이미지를 상승시킬 수 있는 대외 홍보정책과 K-POP 가수들의 폭 넓은 해외활동 등이 필요할 것이다.
연구모형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로분석결과에 따라 가설채택 유무를 결정하 였다.가설채택의 기준은 일반적인 사회과학 연구의 기준에 따라 분석결과에 대한 유의수준은 t-값>2.58은 α=0.1로 신뢰도 99%,t-값>1.96은 α=0.5로 신뢰 도 95%로 판단하였으며,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가설을 기각하였다.
이에 따라 총 14개의 가설 중 H1,H2,H3,H7,H8,H9,H10,H12,H13,H 14은 채택되었고,H4,H5,H6,H11은 기각되었다.즉 가설채택 판단 기준에 의하면 개인자원 보유는 K-POP 선호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한국문화 친 숙도,한국문화 정보접근성은 한국문화 몰입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또한 K-POP 선호도는 일반상품 구매의도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경로(가설) 경로계수 t값 채택유무 H1 한국문화 친숙도 ⟶ K-POP선호도 .257 4.908** 채택 H2 한국문화 정보 접근성 ⟶ K-POP선호도 .279 5.870** 채택 H3 국가경제 이미지 ⟶ K-POP선호도 .343 8.111** 채택 H4 개인자원 보유 ⟶ K-POP선호도 .001 .231 기각 H5 한국문화 친숙도 ⟶ 한국문화 몰입도 .060 1.100 기각 H6 한국문화 정보 접근성 ⟶ 한국문화 몰입도 -.060 -1.209 기각 H7 국가경제 이미지 ⟶ 한국문화 몰입도 .388 8.435** 채택 H8 개인자원 보유 ⟶ 한국문화 몰입도 .291 6.847** 채택 H9 K-POP선호도 ⟶ 한국문화 몰입도 .227 4.315** 채택 H10 K-POP선호도⟶ 문화이벤트 참여의도 .153 3.277** 채택 H11 K-POP선호도⟶ 일반상품 구매의도 .050 1.117 기각 H12 한국문화 몰입도 ⟶ 문화이벤트 참여의도 .579 12.403** 채택 H13 한국문화 몰입도 ⟶ 일반상품 구매의도 .573 11.022** 채택 H14 문화이벤트 참여의도 ⟶ 일반상품 구매의도 .170 3.472** 채택
χ² d.f NFI CFI IFI RFI AGFI GFI RMR RMSEA 41.63 8.0 .983 .986 .940 .940 .875 .972 .034 .108
*p<0.05,**p<0.01
<표 4-32>최종 제안모형 가설 검정결과 및 채택유무
제4절 대안모델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단일차원성을 저해하는 항목을 제거하였고,측정 모델의 적합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또 다시 항목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 경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제안된 경로모형은 제안 연구모형,K-POP 선호도와 한국문화 몰입도를 제 외한 대안모형1,한국문화 몰입도를 제외한 대안모형2로 구분된다.
연구모형의 분석결과 한국문화 친숙도가 K-POP선호도에,한국문화 정보 접근성이 K-POP 선호도에,국가경제 이미지가 K-POP선호도에 각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개인자원 보유는 K-POP 선호도 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분석결과에 대한 유의수준 은 t값 절대치에 따라 t-값>2.58은 α=0.1에서 유의한 신뢰도 99%,t-값>1.96 은 α=0.5에서 유의한 신뢰도 95%를 기준으로 하였다.
국가경제 이미지가 한국문화 몰입도에,개인자원 보유가 한국문화 몰입도 에,K-POP 선호도가 한국문화 몰입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고 있으며, 한국문화 친숙도와 한국문화 접근성은 한국문화 몰입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K-POP 선호도는 문화이벤트 참여의도에,한국문 화 몰입도가 문화이벤트 참여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한국문화 몰입도가 일반상품 구매의도에,문화이벤트 참여의도가 일반 상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K-POP 선호도는 일반상품 구매의도에 직접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연구모 형의 분석결과 총 14개의 가설 중 10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경로(가설) 연구모형 대안모형1 대안모형2 한국문화 친숙도 ⟶ K-POP선호도 .257** .257** 한국문화 정보 접근성 ⟶ K-POP선호도 .279** .279** 국가경제 이미지 ⟶ K-POP선호도 .343** .343** 개인자원 보유 ⟶ K-POP선호도 .001 .010** 한국문화 친숙성 ⟶ 한국문화 몰입도 .060
한국문화 정보 접근성 ⟶ 한국문화 몰입도 -.060 국가경제 이미지 ⟶ 한국문화 몰입도 .388** 개인자원 보유 ⟶ 한국문화 몰입도 .291** K-POP선호도 ⟶ 한국문화 몰입도 .227**
K-POP선호도 ⟶ 문화이벤트 참여의도 .153** .477 K-POP선호도 ⟶ 일반상품 구매의도 .050 .229 한국문화 몰입도 ⟶ 문화이벤트 참여의도 .579**
한국문화 몰입도 ⟶ 일반상품 구매의도 .573**
문화이벤트 참여의도 ⟶ 일반상품 구매의도 .170** .466 한국문화 친숙도⟶ 문화이벤트 참여의도 .090
한국문화 정보 접근성⟶ 문화이벤트 참여의도 .007 국가경제 이미지⟶ 문화이벤트 참여의도 .241** 개인자원 보유⟶ 문화이벤트 참여의도 .393** 한국문화 친숙도⟶ 일반상품 구매의도 .059 한국문화 정보 접근성⟶ 일반상품 구매의도 -.067 국가경제 이미지⟶ 일반상품 구매의도 .428** 개인자원 보유⟶ 일반상품 구매의도 .285**
적합도 χ² d.f p NFI CFI IFI GFI AGFI RMR RMSEA 연구모형 41.63 8.000 .000 .963 .986 .940 .972 .875 .034 .106 대안모형1 50.00 1.000 .000 .929 .929 .930 .956 .066 .053 .372 대안모형2 131.17 8.000 .000 .922 .926 .927 .918 .712 .105 .192
*p<0.05,**p<0.01
<표 4-33>연구모형 가설 검정결과
대안모형1의 분석결과는 총 8개의 가설 중 4개의 가설이 채택되었으며,대 안모형2는 총 7개의 가설 중 4개의 가설이 채택되어 기본 연구모형이 한국문 화 및 K-POP선호도와 한국문화 몰입도에 따른 문화이벤트 참여의도와 일반 상품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가장 잘 설명해주고 있다.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K-POP 선호도”및 “한국문화의 몰입도”의 매개변수 작용을 확인함에 따라 기존의 한류문화 소비연구에 관한 연구모형 인 대안모형1과 대안모형2보다 종속변수인 “한국 문화이벤트 참여의도”와
“일반상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잘 규명한다.
제5장 결론
기존 중국 및 아시아 국가에 한국 드라마 및 가수를 통해 시작된 한류문화 인기는 2010년 K-POP과 아이돌 가수를 중심으로 유튜브와 SNS를 통해 유 럽과 중남미까지 그 인기가 확산되고 있다.이를 신한류 열풍 혹은 한류 2.0 이라고 명명하고 있다(한국콘텐츠진흥원,2011).
특히,중국은 한류의 원천으로 일컬어지고 있으며,한국 문화산업의 주요 소 비국가가 되고 있다.이러한 K-POP에 대한 인기의 확산과 중국의 한국의 문 화에 대한 관심은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기대되며,한국 문화산업의 발전과 일반상품의 구매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지만,현재 한 국문화 및 K-POP이 미치는 한국 대중문화 발전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미 진한 수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현지인들이 지각하는 K-POP과 한류 문화상품의 호 감도와 친숙도가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따른 한류문화공 연의 참여 및 한류문화상품의 구매의도를 살펴봄으로써 한 한국 국가이미지 향상 및 한국 문화산업을 확산하기 위해 대중문화 공연과 문화상품의 발전방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설계에 따른 설문조사 분석결과 응답자들은 K-POP 및 한류 대중 문화에 대한 정보를 접하고 있다는 집단의 비율이 74.6%이며,전혀 접하고 있지 않다는 집단의 비율이 25.4%로 많은 중국인들은 K-POP 및 한류 대중 문화에 많은 관심을 갖고 인기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무작위 표본 집 단의 약 75%가 이처럼 K-POP 및 한류 대중문화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은 한류콘텐츠가 중국인에 대한 한국문화 소비확산에 도움을 주는 주요 요 소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K-POP 및 한류문화 콘텐츠의 정보의 원천에 대해서는 인터넷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한국의 K-POP 및 한류문화 콘텐츠에 관심을 가 지는 중국인은 능동적으로 자료를 검색하고 관심있는 가수들에 대해 직접 정 보를 검색하여 정보를 습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가장 많은 관심을 보이 는 한류문화의 관심분야는 TV드라마로 이후 중국인에 한류 드라마 콘텐츠가 인기를 보이고 있으며,K-POP 및 가수에 대한 관심은 2위로 조사되었다.아 시아에서 점점 많은 인기를 가지는 현재의 추세에 따라 K-POP 및 가수에 대한 관심은 점점 더 커질 전망이다.
교차분석에 따른 결과에 의하면 남성보다 여성이,한국방문이 많은 응답자 가,연령으로는 20대가 한국문화 친숙도가 높으며,한국문화에 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또한 개인자원의 보유도 높았으며,K-POP을 선호하였다.그리고 한 국문화에 보다 많은 몰입도를 보였으며,문화이벤트의 참여와 일반상품 구매 에 보다 많은 의도를 나타냈다.즉,문화이벤트 및 일반상품 구매의 주요 목표 시장은 한국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20대의 여성으로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본격적인 실증분석을 위해 각 변수들은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이에 따라 한국문화 친숙도,한국문화 정보접근성,국가경제 이미지,개인자원 보유,K- POP 선호도,한국문화 몰입도,문화이벤트 참여의도,일반상품 구매의도의 개념으로 분류되었으며,각 변수들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단일차원성 을 저해하는 항목을 제거하였다.측정모델의 적합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또 다시 항목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 경로모형 분석에 이용된 변수는 한 국문화 친숙도 4문항,한국문화 정보 접근성 2문항,국가경제 이미지 4문항, 개인자원 보유 3문항,K-POP 선호도 5문항,한국문화 몰입도 3문항,문화이 벤트 참여의도 3문항,일반상품 구매의도 2문항이 분석에 이용되어 최적의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최초 관련 변수로 선정된 한국의 정치적 이미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