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확인적 요인분석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122-126)

본 연구에서도 구성개념들 간의 가설적 관계를 분석하기에 앞서서 각 측정 변수들의 단일 차원성을 검정하였다.일반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방법이 탐 색적 요인분석 방법보다 단일차원성 검정에 보다 더 바람직하기 때문에 각 측정변수들을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기존 선행연구들의 확인적 요 인분석의 판단 척도인 χ²,P값,CMIN/DF,GFI,AGFI,CFI,NFI,IFI,RMSE A을 기준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위 의 판단 지표를 초기 하위요인 개수와 최종적으로 포함된 하위요인 개수에 따라 구분하여 나타냈다.

2. 3. 1독립변수 확인적 요인분석

최종 문항에서 제시된 높은 적합도를 생성하기 위해서 최초 문항에서 SM C(SquaredMultipleCorrelation)값 .400이하를 기준으로 하나씩 제거하는 과 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였다.SMC는 측정변수가 잠재변수를 얼마나 설명하 는 가를 판단할 때 사용하는 지표이다.

매개/종속변수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각 요인들의 표준적재치가 모두 .50 이상으로 개념타당성(constructvalidity)은 확보되었다.분산추출지수(average varianceextracted)또한 개인자원 보유(.390)를 제외하고 .50이상으로 수렴 타당성(convergentvalidity)도 확보되었다고 볼 수 있다.각 개념의 개념신뢰 도(constructreliability)도 개인자원 보유(.643)를 제외하고 모두 .70이상이어서 내적 일관성(internalconsistency)이 있다고 할 수 있다.모형적합도 면에서도 D.F=59χ²=314.41p=.00NFI=.963CFI=.960GFI=.880AGFI=.820RMSEA=.109 로 기준치를 상회하고 있다.

개념 측정변수 표준적재

치 t-value 측정오차 CR AVE 한국문화

친숙도

FAM1 0.864 20.520 0.254

.933 .992 FAM2 0.829 19.219 0.313

FAM3 0.895 21.738 0.200 FAM4 0.933 23.358 0.130 한국문화

정보접근성

INF1 0.970 22.075 0.058

.877 .783 INF2 0.791 16.840 0.375

한국의 국가경제

이미지

IMA1 0.912 22.131 0.167

.904 .830 IMA2 0.900 21.645 0.190

IMA3 0.745 16.275 0.444 IMA4 0.783 17.454 0.387 개인자원

보유

REC1 0.821 14.786 0.326

.643 .390 REC2 0.469 8.346 0.780

REC3 0.525 9.443 0.725 측정모형

적합도

χ² d.f p NFI CFI IFI AGFI GFI RMR RMSEA 314.41 59 .000 .963 .960 .940 .820 .880 .229 .109

<표 4-29>독립변수 확인적 요인분석

2. 3. 2매개/ 종속변수 확인적 요인분석

매개/종속변수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각 요인들의 표준적재치가 모두 .50 이상으로 개념타당성(constructvalidity)은 확보되었다.분산추출지수(average varianceextracted)또한 문화이벤트 참여의도(.487)를 제외하고 .50이상으로 수렴타당성(convergentvalidity)도 확보되었다고 볼 수 있다.각 개념의 개념 신뢰도(constructreliability)도 모두 .70이상이어서 내적 일관성(internalconsi stency)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모형적합도 면에서도 D.F=59χ²=346.11p=.000NFI=.950CFI=.959GFI=.972 AGFI=.804RMSEA=.105으로 기준치를 상회하고 있어 모형의 적합도는 문제 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개념 측정변수 표준적재치 t-value 측정오차 CR AVE

K-POP 선호도

PRE1 0.844 19.334 0.287

.872 .651 PRE2 0.744 16.072 0.446

PRE3 0.885 20.807 0.217 PRE4 0.573 11.460 0.672 PRE5 0.729 15.631 0.468 한국문화

몰입도

COM1 0.880 21.042 0.226

.918 .788 COM2 0.857 20.180 0.265

COM3 0.924 22.855 0.145 문화이벤트

참여의도

PAR1 0.585 11.479 0.657

.733 .487 PAR2 0.592 11.629 0.650

PAR3 0.877 19.002 0.230 일방상품

구매의도

GEPUR1 0.717 14.554 0.485

.726 .570 GEPUR2 0.791 16.283 0.374

측정모델 적합도

χ² d.f NFI CFI IFI AGFI GFI RMR RMSEA 346.11 59 .950 .959 .959 .804 .972 .198 .105

<표 4-30>매개/종속변수 확인적 요인분석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12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