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당성은 조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속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한 측정 도구가 그 개념과 속성을 얼마나 정확히 측정하는가를 말한다(채서일,2003). 타당성은 내용타당성(contentvalidity),기준에 의한 타당성(criterion-related validity),개념타당성(constructvalidity)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측정은 상이해야 한다는 판별타당성에 의한 것이다.요인분석은 다수의 변 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기초로 많은 변수들 속에 내재하는 체계적인 구조를 찾아내 보려는 기법으로,이를 통해 연구자에게 변수의 형태로 주어진 많은 정보를 쉽고 간단하게 보다 적은 수의 요인으로 제시해 주는 분석방법이다 (채서일,2003).이 두 가지 종류의 타당성을 기본으로 하여 개념타당도를 평 가하는 데,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이한 다수의 개념과 상이한 다수 의 측정방법이 필요하며,세 가지 각도 하에서 결과들을 비교 분석하게 된다.
요인분석에 의한 개념타당도 평가는 서로 상이한 개념에 대하여 각각 여러 가지의 측정수단(항목)들을 이용하여 측정을 실시한 후,각 항독들에 의한 측 정치의 요인을 분석하였을 때 그 결과로 나온 요인들이 원래 의도한 개념을 대표할 수 있는가를 평가하는 것이다.요인분석의 기본원리는 항목들을 상관 관계가 높은 것끼리 묶어 내어 하나의 요인을 형성하게 하여 형성된 요인들 을 상호 독립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따라서 하나의 요인내에 묶여진 측정 항목들은 동일한 개념을 측정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요인들 간의 상관 관계는 0이므로 틀린 요인에 적재된 측정항목들은 다른 개념을 측정하는 것 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따라서 요인내의 항목들은 집중타당도에 해당되면 요인 간에는 판별타당도가 적용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채서일,2000).
본 연구는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요인 분석법을 주성
부분분석(principalcomponentanalysis)을 이용하였고,요인들의 독립성을 확 보하기 위해 직교회전방식(Varimax)을 이용하여 회전시켰다.이것은 요인들 과 요인에 높게 적재되는 변수의 수를 줄여서 요인의 해석을 쉽게 하는데 중 점을 둔다.요인과 문항의 선택기준은 Eigen Values가 1.0이상,요인 적재치 가 0.4이면 유의한 변수로 간주하며 0.5이상이면 아주 중요한 변수로 본다.
이를 기준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요인을 선택하였다.
2. 2. 1독립변수 요인분석
독립변수의 요인분석 결과 한국문화 친숙도,한국문화 정보접근성,국가경 제 이미지,개인자원 보유로 각 요인들은 구분되며,모든 요인들의 변수는 요 인적재량 0.5이상으로 제시되는 변수들만을 포함하였으며,고유값(Eigen-Val ue)은 1.0이상으로 나타났다
한국문화 친숙도는 FAM1,FAM2,FAM3,FAM4네 가지 변수가 포함되 고 고유값은 3.546이며,한국문화 정보접근성은 INF1,INF2두 가지 변수가 포함되고 고유값은 3.256으로 나타났다.국가경제 이미지는 IMA1,IMA2,IM A3,IMA4네 가지 변수가 포함되고 고유값은 1.903이며,개인자원 보유는 R EC1,REC2,REC3세 가지 변수가 포함되고 고유값은 1.601로 나타났다.변 수 INF3은 요인분석 결과 사제되었다.
구 분 변수명 요인적재량 공통성 Eigen-value 분산설명력 한국문화
친숙도
FAM1 .880 .845
3.546 27.280 FAM2 .743 .748
FAM3 .841 .851 FAM4 .814 .868 한국문화
정보접근성
INF1 .812 .869
3.256 25.047 INF2 .841 .838
한국의 국가경제
이미지
IMA1 .868 .829
1.903 14.638 IMA2 .870 .816
IMA3 .797 .712 IMA4 .847 .776 개인자원
보유
REC1 .571 .779
1.601 12.319 REC2 .906 .838
REC3 .578 .538
<표 4-26>독립변수 요인분석
2. 2. 2매개변수 요인분석
K-POP 선호도는 PRE1,PRE2,PRE3,PRE4,PRE5다섯 가지 변수가 포 함되었고 고유값은 3.145이며,한국문화 몰입도는 COM1,COM2,COM3 세 가지 변수가 포함되고 고유값은 2.783으로 나타났다.
구 분 변수명 요인적재량 공통성 Eigen-value 분산설명력
K-POP 선호도
PRE1 .745 .729
3.145 39.313 PRE2 .796 .662
PRE3 .800 .779 PRE4 .730 .540 PRE5 .770 .657 한국문화
몰입도
COM1 .915 .870
2.783 34.787 COM2 .864 .822
COM3 .886 .868
<표 4-27>매개변수 요인분석
2. 2. 3종속변수 요인분석
종속변수의 요인분석 결과 문화이벤트 참여의도,일반상품 구매의도로 각 요인들은 구분되며,모든 요인들의 변수는 요인적재량 0.5이상으로 제시되는 변수들만을 포함하였으며,고유값(Eigen-Value)은 1.0이상으로 나타났다.
문화이벤트 참여의도는 PAR1,PAR2,PAR3세 가지 변수가 포함되고 고 유값은 2.823으로 나타났으며,PAR4,PAR5는 요인분석 결과에 따라 제거되 었다.일반상품 구매의도는 GEPUR1,GEPUR2두 가지 변수가 포함되고 고 유값은 1.825로 나타났다.
구 분 변수명 요인적재량 공통성 Eigen-value 분산설명력 문화이벤트
참여의도
PAR1 .806 .695
2.823 56.456 PAR2 .844 .746
PAR3 .564 .691 일반상품
구매의도
GEPUR1 .832 .723
1.825 16.500 GEPUR2 .865 .793
<표 4-28>종속변수 요인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