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친숙도의 주요관계 연구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35-39)

있음을 증명하여 대중문화 공연에 대한 친숙도가 앞으로 의사결정,방문의도 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Prentice& Andersen(2000)은 친숙도 가 소비자의 방문의도행동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요소임을 밝혀냈다.

Prentice(2004)는 방문 또는 경험으로서의 친숙도는 사람을 설득하는 경향 이 있다고 말했다.Prentice(2006)는 또한 지식,이미지,친숙도가 서로 영향을 주어 소비자에게 환기군을 형성하고 이는 행동(방문의도)에 영향을 주며 대 중문화 상품 선택을 하게 한다고 했다.

Prentice(2003)는 자의적(self-described)친숙도와 교육적(educational)친숙도 를 더해 친숙도를 총 4가지로 확장했다.또한 Prentice(2004)는 본인이 연구한 4가지 친숙도에서 추정적(proximate)친숙도를 더하여 친숙도를 다섯 개로 확대 해석하였다.정보적 친숙도는 이용된 정보의 양,경험적 친숙도는 사전 방문경험이며 추정적 친숙도는 대상자의 국적에 따라 측정되는 것으로 문화 적 거리이다.자의적 친숙도는 직접적 관계 여부에 따른 차원이거나 가치체 계 상속에 따른 차원이다.끝으로 교육적 친숙도는 문화상품에 관련된 다양 한 매체에 노출된 정도이다.

Prentice(2006)은 친숙도를 다시 경험적 친숙도(experiential),인상적 친숙도 (felt),추정적 친숙도(proximate)와 기대적 친숙도(expected)의 네 가지로 해 석하였다.여기에서 인상적 친숙도는 Baloglu(2001)가 정의한 것과 같은 개념 으로 응답자가 관광지를 5점 척도로 측정하는 것이고 추정적(proximate)친 숙도는 스칸디나비아 언어의 숙달 정도와 문화적 연결정도이다.기대적 친숙 도는 환영의 기대정도를 5점 척도로 측정한 것이다.친숙도의 구성에 관한 연구에 관한 정리는 다음 <표2-3>와 같다.

연구자 친숙도 구성요소 관련변수 연구대상

Milman&

Pizam(1995) Experiential

Destinationimage Interestinvisiting Likehoodtovisit

CentralFlorida

Prentice&

Andersen(2000)

Experiential Self-described

DestinationImage

VisitingPropensity Ireland

Baloglu(2001) Informational

lExperiential DestinationImage Turkey Kim &

Richardson(2003) Self-rated DestinationImage

Interestinvisiting Vienna

Prentice(2003)

Informational Experiential Self-described

Educational

DestinationImage Australia

Prentice(2006)

ExperientialFelt Proximate

Expected

Knowledge Imagery Propensitytovisit

Scandnavia

Prentice&

Andersen(2007)

Cultural Heritage

Motivation

Experience Denmark 자료:Soojin,Lee(2007),AstudyofLeisureInvolvementandCelebrityFandom,TexasA&

M 박사학위논문 pp.34.바탕으로 연구자 재작성

<표 2-3>친숙도의 구성

허용호․한상현․허향진(2005)은 Baloglu(2001)의 연구에 따라 안동 하회마 을을 중심으로 친숙도가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하였다.위에 언급된 여러 가지 친숙도의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허용호․한상현․허향진(2005)가 연구한 것 처럼 한국에서도 적용하여 연구할 수 있을 것이다.하지만 Lee(2007)는 추정 적 친숙도(proximate)는 유럽같은 여러 인종이 혼합된 나라에서는 측정이 가 능한 한편 한국이나 일본 같은 단일민족으로 구성된 나라에는 효과적인 방법 이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제3절 정보접근성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3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