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주관적 개념으로서의 시간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51-54)

시간의 경우 1978년 미국 소비자 연구 협회(TheAssociationforConsumer Research)에서 시간을 주제로 시간의 의미,시간 지향성,시간 예산에 대한 연 구 발표 기회를 가지게 된 후 많은 사람들의 관심분야가 되었다(백숙현,2003). 한국의 소비자의 시간지각 유형에 관한 연구는 시간을 다양한 측면에서 고찰했 으며,시간지각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를 제공한 1984년 김 기찬의 ‘시간 변수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후로 꾸준히 연 구되기 시작했다.시간지각에 관한 연구에서는 Gonzalez &  Zimbardo(1985) 와 Bergaddaa(1990)의 측정도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들은 과거,현 재,미래지향적 시간지각 내용을 포함하는 것이다.이 측정도구를 근거로 시간 지각에 대한 연구한 연구자는 김숙영(1992),이정아(1996),임가영(1999)등이 있 다.시간지각과 관련된 한국의 논문을 연도별로 살펴보면,이용학(1985)은 한국 취업주부의 소비자 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에서 취업주부를 전문직 주부와 비 전문직 주부들로 구분하여 그 차이를 밝혔다.연구결과 비전문직에 종사하는 주부들이 더 많은 시간부족을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이는 경제적 이유

로 인해 비전문직 주부들의 경우 시간구매 전략을 많이 사용하지 못하기 있 기 때문이다.한경미(1987)의 연구도 주부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는데,동일한 비취업 주부들 내에서도 소득수준에 따라 시간의 사용이 달라지며 소득수준 이 시간지각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즉,같은 가사노동일지라도 소득이 높으면 식사준비,청소,옷 손질 등에 소비하는 시간수는 적어지는 반면 자녀 를 돌보는데 사용하는 시간은 많아진다고 하였다.이러한 사실은 가구의 수 입은 개인의 시간지각과 함께 고려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예일 것이다(임경 복,1994).

소비자의 구매행동과 연관하여 시간변수를 살펴본 논문으로는 임경복(1994) 은 시간변수가 주부들의 실제 생활에서의 시간소비와 문화상품 구매행동에 어 떤 차이를 나타나게 하는지 규명하고자 했으며,시간지각 차이와 주부들의 취 업여부를 고려했을 때 취업여부가 시간소비량을 결정한다고 하였다.그리고 시간지각집단별로 문화상품 구매 의사결정과정에서 문제인식단계에서 구매동 기,정보탐색단계,대안평가 단계,구매단계까지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난다고 하였다.또한 구매 후 행동에서도 시간이 부족한 집단에서 사적 불평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다른 연구로는 백숙현(2003)은 주부들의 시간부족 지각이 기능성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연구결과는 구매 후 행동에서 임경복(1994)의 연구결과에서처럼 시간 여유지각집단이 시 간지각부족집단에 비해 구매 후 행동에 더 적극적이었다.기존 시간변수에 관 한 논문은 그 대상은 주로 주부들에게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소비 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만을 고려하였다.

이정아(1996)는 소비자의 시간배분을 조사하고,시간압박감,시간성향,시간 지각 등의 시간인식정도가 정보탐색행동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적 변인과 시간관련 변인 및 탐색시간,활동,내용탐색의 영향

력을 분석한 결과 탐색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시간압박감이며, 탐색활동에는 미래지향성,가계소득,현재지향성이 유의하였고,내용탐색에는 미래지향성,시간압박감,성별,현재지향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것은 소비자의 정보탐색행동이 시간을 어떻게 인식하고 사용하 는가에 따라서 탐색수준의 차이를 보인 예시일 것이다.즉,소비자행동 중에 서 정보탐색단계는 개인적 변인 외에도 소비자가 시간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임가영(1999)의 연구에서는 시간에 대한 주관적인 개념으로 시간지각유형 을 과거,현재,미래 세 차원으로 나누어 문화상품 및 점포 평가기준과 점포 애고행동간에도 관련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연구 결과 우선 남성이 여성 보다 미래지향성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여성이 남성보다 현재지향성과 과거지향성에서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기혼이 미혼보다 미래 지향성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과거 지향성은 미혼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그리고 과거지향 집단이 미래지향 집단보다 점포 분위기 요인과 품질 및 신용 요인 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하였다.

제6절 한류문화,K-POP 및 K-POP 선호도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5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