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결론: 기대효과

Dalam dokumen PDF 교양교육의 회복과 재구성(Ⅱ) (Halaman 181-186)

Session 2 Session 2

5. 결론: 기대효과

이러한 우리의 제안이 서론에서 말한 과제를 해결할 전략적 목표가 되는가?

우리는 서론에서 우리 대학의 과거, 현재, 미래의 문제로서 대학의 재정위기, 교육여건의 불비, 학령인 구 감소로 인한 구조조정, 새로운 시대 대응을 제시했다. 국립교양대학의 설립과 운영은 대학 재정의 상당 부분을 국가가 부담하는 정책의 시작이 된다. 각 대학 교육과정의 25%~33%를 점하는 교양교육과정 을 무상화함으로써 대학의 재정을 분담함으로써 대학의 교육여건을 개선하고 대학의 재정 위기를 타개할 수 있다. 또한 대학 구조조정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국립교양대학이 확장되어 부분적인 입시개편이 시도된다면 정원 조정을 질서있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양교육과정을 표준화하고 새로운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과정과 교과목 개발을 통해 교육의 질을 강화하여 새로운 시대에 대응하는 교육을 시행할 수 있다. 대학의 학술정책을 정부가 수립하고 이에 입각해서 국립교양대학에서의 교육과정을 설계함으로 써 중구난망의 교양교육이 아니라 기초학문 중심의 교양교육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대적 요구를 수용하는

교양교육을 통합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14)

그렇다면 필자들의 제안이 우리 교육 문제의 과거, 현재, 미래 문제로 제기했던, 사교육, 학력저하, 입시, 대학서열화, 미래 교육에 대안이 될 수 있을까? 국립교양대학이 확산되면 공동입시를 통해 사교육 을 줄일 수 있다. 또 교양교육과정을 엄격한 학사관리와 교수진의 충분한 공급으로 관리하여 학력저하 현상을 막고, 고교 교육을 정상화시킨다. 부분적 공동입시를 도입하면 대학서열화를 다소간 완화할 수 있다. 교양교육과정의 교육과정을 개편하여 미래 교육에 대비할 수 있다. 기초학문 학과의 교육시수가 보장됨으로써 기초학문학과가 전공교육과정을 계속 운영하여 학문 후속세대를 유지할 수 있다.

참고문헌

강남훈(2011):.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대학체제 개편안.” 문화과학 67, 171-190.

강명구, 김지현(2010). “한국 대학의 학사구조 변화와 기초교양교육의 정체성 확립의 과제.”아시아교육연구 11, no. 2, 327-361.

국정브리핑 특별기획팀(2007). 대한민국교육 40년. 서울: 한스미디어.

고부응(2012). 근대 대학의 형성: 칸트의 이성의 대학에서 훔볼트의 학문의 자유 대학으로. 비평과이론, 17, 5-39.

김대중 외(2017), 「대학교육에서의 핵심역량과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이해와 쟁점」, 뺷핵심역량교육연구뺸2(1), 한국 핵심역량교육학회, 31. 23-45.

김병주, 임기병, 최한석, 최손환, 오예린, 이미라(2016.). 국립대학 종합 발전방안 연구. 경북: 고등교육정책연구소.

김성우, 최종덕(2009). “대학 교양교육의 위기와 인문학의 미래.” 시대와 철학 20, no. 1 11-42.

민교협 편(2015), 입시 사교육 없는 대학체제-대학개혁의 방향과 쟁점. 경기: 한울.

민춘기, & 김순임(2012). 교양-전공 연계교육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예비 고찰. 교양교육연구, 6(1), 395-429.

박병철(2018). 리버럴아츠칼리지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의 미래. 교양교육연구, 12(1), 99-121.

박병철(2019). 리버럴아츠 교육과 한국의 교양교육. 교양교육연구, 13(1), 163-180.

박일우(2015).“교양기초교육을 통한 인문학과 대학 되살리기.” 교양교육연구 9, no. 3, 97-126.

백승수(2017). 4 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양교육의 방향 모색. 교양교육연구, 11(2), 13-51.

백승수(2018). 국립 리버럴아츠칼리지 설립의 교육적 타당성 고찰. 교양교육연구, 12(5), 231-250.

백승수(2019). 교양교육의 명칭 재정립을 통한 교양교육의 재개념화. 교양교육연구, 13(1), 141-161.

서경식, 가토 슈이치, 노마 필드(2007). 교양, 모든 것의 시작. 서울: 노마드북스.

서남수(2010). “한국 대학 교양교육의 구조적 난점과 과제.” 교양교육연구 4, no. 21-18.

손동현(2007). “새로운 교육수요와 교양기초교육.” 교양교육연구 1, no. 1, 107-123.

손동현(2009b):. “교양교육의 새로운 위상과 그 강화 방책.” 교양교육연구 3, no. 2, 5-22.

손동현(2009a):. “융복합교육의 기초와 학부대학의 역할.” 교양교육연구 3, no. 1, 21-32.

손동현(2016). “리버럴아츠 교육, 한국 대학교육의 새 지평?”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577-591.

손승남(2017).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 (K-LAC) 의 가능성 탐색. 교양교육연구, 11(1), 13-37.

손승남(2017). 리버럴아츠 교육모델 혁신 사례-Yale-NUS College 를 중심으로.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구 문화교 류연구), 6(3), 123-142.

심광현(2015). “입시폐지-국립교양(기초)대학 통합네트워크 구성을 통한 교육혁명의 마스터플랜 개요.” 민교협

14) 예를 들어 시대요구에 의한 교양교육과정으로서 <컴퓨팅적 사고>를 들어보자. 많은 대학에서 동일한 교과목을 개설 운영하지만 충분한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의 부재로 단순히 코딩교육을 하는 경우가 많다. 교양교육과정은 다르게 운영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이를 국가적으로 투자하여 교육과정을 잘 개발해둔다면 양질의 교육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교육에도 규모의 경제가 작동하는 것이다.

엮음. 입시, 사교육 없는 대학체제. 경기: 한울.

안현효 외(2013), 통합고등기초대학 운영 방안 연구보고서, 경기도교육청

안현효(2016). “교양교육을 통한 인문학 살리기 - 학사구조의 문제.” 교양교육연구 10, no. 2, 131-155.

안현효(2018). [토론문] 국립 리버럴아츠칼리지 설립의 교육적 타당성 고찰 (백승수) 에 대한 논평.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13-215.

오길영(2013). “대학의 몰락과 교양교육.” 안과밖 34, 177-197.

이승호(2016), 박대권.“혁신학교 운영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교육행정학연구 34, 129-158.

이주호(2016),“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교육개혁.”경제논집 55, no. 1. 89-102.

이하준(2021), 「교양교육 이념, 목적, 가치에 관한 사유의 갈래들」, 뺷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뺸, 한국교양 교육학회. 70-85.

임재홍, 강남훈, 박거용, 홍성학, 김용련, 김학경(2016). 초,중등교육 정상화를 위한 대학체제 개편방안 연구.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자크 데리다(2021), 「조건 없는 대학」, 문학동네.

정병오 외 (2007),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 교육 공약 평가 토론회 자료집」, 교육대통령을 위한 국민의 선택 정진상(2005). 국립대 통합 네트워크: 입시 지옥과 학벌 사회를 넘어. 서울: 책 세상.

최미리(2001.). 미국과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비교. 경기: 양서원.

최병문 외(2017),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 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교양기초연구원

최종철(2007). 한국 대학 교양교육의 역사와 교훈: 1970 년대 서울대학교 교양과정부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 연구, 1(1), 209-232.

홍성욱(2009). “지식의 융합, 과거로부터 배운다.” 김광웅 엮음. 우리는 미래에 무엇을 공부할 것인가. 서울: 생각의 나무.

EBS <왜 우리는 대학에 가는가> 제작팀 지음(2015), 「왜 우리는 대학에 가는가」, 해냄,

Jones, E. A., and Ratcliff, J. L. (1991)“Which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s better: core curriculum or the distributional requirement?”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69-101.

Kant, Immanuel. (1798) The Conflict of the Faculties. Trans. May J. Gregor. Lincoln: U of Nebraska P, 1992

Kaplan, J(2015). Humans Need not Apply,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신동숙 역. 인간은 필요 없다. 서울: 한스미디어, 2017.)

Krueger, D., and Kumar, K. B(2004), “Skill-specific rather than general education: A reason for US-Europe growth differences?” Journal of Economic Growth 9, no. 2 167-207.

World Economic Forum(2016). The Future of Jobs-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Global Challenge Insight Report.

“시대 전환기에 다시 제기하는 국립교양(기초)대학”에 대해

백승수(가천대)

이 글은 대학의 재정 위기, 교육 여건 불비, 학령인구 감소, 기초학문 구조조정, 대학 서열화 등 한국 대학의 과거, 현재, 미래에서 제기되는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의 하나로 국립교양(기초)대학 을 설립하자는 제안을 하고 있다. 기본적인 문제제기에 공감하면서 몇 가지 사항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1. 먼저 필자들은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기초학문 위기’에 대하여 주목하면서 “학령인구 감소가 기초학문 학과의 폐과로 귀결하는 것은 대학이 전공 중심으로 편제되어 있어서 기초학문과 응용학 문이 같이 경쟁하는 상황에 빠져 있기 때문이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주장은 본 논문의 핵심적 인 가정이기 때문에 좀 더 타당한 근거를 가지고 충분히 검토되어야 할 과제이다. 학령인구 감소가 대학 존립에 직격탄을 가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지만 “벚꽃 피는 순서로 망한다”라는 현실이 말해주듯이 지방 소재 대학들은 기초/응용의 학문분야를 불문하고 위기를 맞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서울 소재 소위 명문 대학의 경우는 기초학문분야가 그나마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기초학문 학과의 폐과가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것임을 입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더군다나 학령인구만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인구 총량 자체가 급감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야 할 것이다. 인구 감소로 과거의 입학 정원 규모를 그대로 유지할 수 없음이 자명한데도 마치 기초학문 분야의 입학 정원만은 ‘과거 수준 그대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주장으로 비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대학 입학 정원의 적정선을 어느 규모로, 어떻게 산정할 것인가이다. 과연 어느 정도의 입학 정원이 확보되어야 기초학문분야에도 입학생이 ‘배정’될 것인가?

2. 이 논문의 핵심인 국립교양(기초)대학에 대한 전모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하나의 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은 고유의 교육이념을 정체성으로 하여, 그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교육과정, 교육방법, 학사구 조 및 교육 여건을 분명하게 제시하여야 한다. 본 국립교양(기초)대학의 교육적 비전이 무엇인가?

특히 1)단설 국립리버럴아츠칼리지설립안, 2)민교협 국립교양대학안, 3)고등기초대학안, 4)더불어 민주당안, 5) 세종시 국립대 신설안과 비교할 때 본 6)국립교양(기초)대학안이 어떠한 차이점이

Dalam dokumen PDF 교양교육의 회복과 재구성(Ⅱ) (Halaman 181-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