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결론

Dalam dokumen 제17권 2호 2008 (Halaman 30-33)

남북한 간의 자원공동개발은 남북한 모두에게 긍정적 경제효과를 가져다준다.

남한의 경우는 수입대체효과, 원가절감효과, 투자수익효과 등을, 그리고 북한의 경우는 소득창출효과, 고용창출효과, 내수보장효과 등이 지대한 것으로 측정되고 있다. 때문에 남북간 자원공동개발은 남북경협에 있어서 어느 산업부문보다도 우 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유력한 사업 대상이라고 할 것이다. 특히 자원공동개발은 현 정부의 ‘비핵·개방·3000’ 가운데 ‘3000’과도 부합한다는 점에서 그 추진여부가 주목된다고 하겠다.

남북 자원공동개발은 현 정부의 ‘3000’ 구상 실현의 핵심적 수단이라는 점도 발 견된다. ‘3000’ 구상은 북한이 핵문제 해결에 적극 호응해 온다면 향후 10년 동안 에 1인당 GNI 수준을 2006년 대비 2.7배로 올려놓는데 적극 협력하겠다는 대북 정책적 목표라고 할 수 있다

.

그리고 2006년 북한의 1인당 GNI는 1,108달러로 추 정되고 있다.39 이것은 2006년의 1인당 GNI를 이후부터 매년 10.5%씩 증가시켜 야 달성될 수 있는 목표이다.

이 같은 분석에 따르면, 최근 북한의 물가 상승 추세 등을 고려하더라도 ‘3000’

구상 실현을 위한 실질 증가율은 6~7%의 지속적으로 보장하여 주어도 충분하다 는 결론이 나오게 된다. 이 성장목표는

1999년 마이너스 성장에서 탈피한 이래

연평균 3% 미만에서 맴돌고 있는 북한의 저성장을 최소한 배가시키겠다는 정책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이미 앞에서 측정·분석한 바와 같이 남북한간의 자원공동개발은 북한광업생산 정상화를 목표로 할 경우 2006년 24.1억 달러의 생산에서 10년 뒤 54.2억 달러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구체화된다. 이는 같은 기간 중 광업생산을 2.2배 증대시키는 것이며 연평균 8.4% 생산증가율을 지속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증가율은 경상가 격 기준인 1인당 GNI 증대목표와는 달리 2006년 불변가격 기준으로 산출한 결과 치라는 것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북한 소득의 실질 증가율이 연평균 6~7%(경상가격 기준 10.5%)

39통계청, 󰡔남북한 경제사회상 비교󰡕 (2007), p. 48.

인 반면 광업 생산 증가율은 이 보다 훨씬 높은 8.4%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남북한 간 자원공동개발은 북한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원동력이 될 뿐만 아니라 ‘3000’구상 실현을 위한 남북협력의 선도 부문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남북한 자원공동개발은 북한 변화를 적극적으로 견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것은 ‘비핵·개방·3000’ 가운데 ‘개방’과 관련된 것이다. 북한의 변화 즉

,

체제 개혁과 개방은 성질상 서로 별개의 것으로 운동하는 것이 아니라 동반적 관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북한의 개방이 확대되려면 이에 상응한 내부 개혁 조치가 이루어져야 가능하다. 따라서 현 정부가 말하는 ‘개방’은 개혁이 내포 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런데 효율적인 대북한 변화정책은 남북협력이 상호성 또는 쌍방성에 기초할 때에만 가능하다. 지난 시기의 대북 정책이 대북한 변화를 유도하지 못했던 이유 는 우리 일방의 대북 정책 추진이었다는데 기인한다. 따라서 이제는 지난 정부와 같이 북한이 스스로 변화하기를 기대하는데 멈추어서는 안 될 것이다. 다시 말해 북한의 개방은 남한의 일방적 지원 차원에서 이루어진 교류협력의 불균형성을 시 정하고 정상적인 남북협력관계를 조성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남북한 간의 자원공동개발은 북한의 체제 변화를 견인하는 방식으로 접근되어야 할 것이다.  

요컨대 남북한간의 자원공동개발은 국가안전보장에 위해요소가 없으면서 북한 뿐만 아니라 남한경제에도 이익을 주는 확실한 사업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이것은 북한경제와 시장경제인 남한경제가 자원 개발을 위한 남북협력을 통해 상 호 체제가 상호 수렴되면서 접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남북한 간에 체제가 다른 상황에서 남북경협이 어느 일방에게만 이익을 주는 비정상적인 상태 가 지속될 경우에는 남북경협의 발전은 물론 북한의 변화도 기대하기 어렵게 된 다

.

그러므로 남북한 간의 자원공동개발은 남북한 모두에게 가시적인 이익을 가져 다줌으로써 정상적인 남북경협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ۿսښێ■֮Ԑښێ■޽࢘ښێ

참고문헌

김영윤. “남북경협의 현황과 과제.” 󰡔수은 북한경제󰡕 봄호. 한국수출입은행, 2008.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북한연구학회. 󰡔신 남북경협과 정상회담 이후 남북관계 발전과제󰡕. 2007.

남성욱. “북한의 비핵화와 개혁·개방전망.” 󰡔Strategy 21󰡕. 제20호.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07 겨울.

대한광업진흥공사. 󰡔광물자원 매장량 현황󰡕. 2005.

_______________. 󰡔광물요람 2002~2006󰡕. 2006.

_______________. 󰡔북한 정촌흑연광산 투자는 이렇게 하였다󰡕. 2007.

양문수. “2007 남북정상회담 이후 경제협력의 전망과 과제.” 󰡔통일정책연구󰡕. 제16권 2호. 통일연구원, 2007.

정우진. “남북 광물자원개발 협력방안과 과제.” 󰡔수은 북한경제󰡕. 겨울호. 한국수출입은행. 2007

통계청. 󰡔남북한 경제사회상 비교󰡕. 2007.

통일부. 󰡔북한개요󰡕. 2003.

통일원. 󰡔북한경제통계 자료집󰡕. 1995.

통일연구원. 󰡔이명박정부 대북정책은 이렇습니다󰡕. 2008.

한국무역협회. 󰡔2007 남북교역 조사보고서󰡕. 2008.

한국산업은행. 󰡔신 북한의 산업(상)󰡕. 2005.

한국지질자원연구원·산업자원부. 󰡔2006년도 광산물 수급현황󰡕. 2007.

홍성국. “북한경제의 시장화 평가”, 한국수출입은행, 󰡔수은 북한경제󰡕. 여름호, 2008.

______. “북핵문제가 북한의 체제내구력에 미치는 영향.” 日本 聖學院大學總合硏究所·극

동문제연구소 공동 주최 한·중·일국제학술세미나 발표 논문, 2007.9.21.

______. 󰡔자력갱생의 기로; 북한경제 이론과 실제󰡕. 피씨라인, 2005.

󰡔경제사전󰡕 제2권.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1985.

󰡔조선대백과사전 21󰡕.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1996.

󰡔조선중앙년감󰡕. 평양: 조선중앙통신사, 각 년판.

World Trade Search, D.P.R.Korea Export & Import, Kyoto, Japan: WTS Co. Ltd., 2007.

󰡔조선일보󰡕.

󰡔조선중앙통신󰡕.

󰡔중앙SUNDAY󰡕.

󰡔중앙일보󰡕.

KOTRA의 연도별 북한 무역 추정 자료.

통일부, 내부 보고서. 한국무역협회 자료.

한국은행 자료.

Abstract

Joint Exploitation of Resources as a Solution

Dalam dokumen 제17권 2호 2008 (Halaman 3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