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a’s Standpoint on the North Korea-America Relationship Improvement After February 13 Agreement
Ⅲ. 자주외교 형성의 배경
1.
중소분쟁과 사회주의권의 분열1956년 2월 소련공산당 제20차 당대회에서 흐루시초프(Khrushchev)에 의한
스탈린(Stalin) 격하는 중소갈등의 시발점이 되었다. 이 대회는 자본주의 진영과
17Donald Zagoria, Vietnam Triangle: Moscow, Peking, Hanoi (New York: Pegau, 1972), p. 103.
의 평화공존 제창과 흐루시초프의 스탈린 개인숭배 비판으로 상징된다. 당시 소련 공산당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사항을 주장했다. 평화공존노선, 전쟁가피론, 사회 주의로의 이행에 있어서 다원적 형태의 가능성에 대한 인정이 그것이다. 그러나 당시 마오쩌둥은 ‘제국주의’와의 일대 결전은 불가피하는 입장이었고 개인숭배 비 판 역시 자신에 대한 비판과 직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소련의 입장에 반대를 표명 했다. 스탈린 격하는 다른 공산국가 지도자들의 권력을 약화시킬 수 있었는데 폴 란드
,
헝가리 사태는 이를 입증했다. 중국에서도 류샤오치(刘少奇)와 덩샤오핑(邓小平)이 1956년 9월 중국공산당 제8차 대회에서부터 마오쩌둥 노선을 반대할 목
적으로 이와 같은 사태를 지지하고 나선 것이 그러한 예이다.소련 제20차 당대회에서 평화공존 노선이 주장되었을 때 북한은 소련의 입장을 지지하였다
.
북한 김일성은 1956년 6-7월 소련을 비롯한 사회주의권을 방문한 후1956년 7월 16일의 “세계 모든 나라 의회들에 보내는 군비축소에 관한 소련 소비
에트의 호소”를 지지하는 입장을 표명하였다. 또한 1957년 2월 중근동의 평화 및 안전문제와 이 지역 제국의 내정불간섭 문제에 관한 소련정부의 제의를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하였고, 같은 해 12월 북대서양조약기구 문제에 관한 소련의 입장을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하였다.18 중소분쟁 초기에는 중소간의 대립이 심화되지 않 은 상태이기 때문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며 소련의 정책을 지지하였다. 당시 북한 은 1957년부터 제1차 5개년 계획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 해서는 소련으로부터의 경제 원조가 절실하였다. 이에 따라 김일성은 1957년 7월 소련을 방문하고 원조 협정을 체결하여 7천 5백만 달러의 무상 원조와 4천 2백5십만 달러의 차관을 제공받았다.
19북베트남 역시 당시 소련의 입장을 지지하였다. 당시 소련은 미국과 데탕트를 추구하여 베트남을 미국과의 데탕트의 상징으로 삼으려는 목적 때문에 베트남 통 일에 대하여 “남북 베트남의 평화공존이 베트남의 독립적이고 평화적인 통일방 식”이어야 함을 주장하였다.20
1956년 4월 24일 베트남노동당 중앙위원회 제9차
회기 폐막연설에서 베트남은 결국 소련의 관점을 수용하여 남부의 무장투쟁 과업 보다 북부의 경제회복에 우선순위를 둔다고 승인하였다. 그러나 “전쟁은 피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한편으로 우리는 전쟁광들의 음모를 간파하기 위해 경계해야”
한다면서, 이것은 “제국주의가 존재하는 한 전쟁의 위험은 항상 존재하18정규섭, 북한외교의 어제와 오늘, p. 52.
19구본학, “북한의 외교정책,” 세계외교정책론 (서울: 을유문화사, 1995), p. 216.
20黄文欢, 越中战斗友谊的事实不容歪曲 (北京: 人民出版社, 1979), p. 7.
기 때문”이라고 평가하였다.21 이를 베트남 상황에 적용함에 있어서
“평화적 수단
에 의한 베트남 통일의 가능성”을 인정하면서도 한편으로“우리는 우리 인민의
주요한 적은 우리나라 절반을 점령한 채 전쟁준비를 하고 있는 미제국주의자와 그 대리인들이라는 사실을 항상 기억해야”하며, “평화의 깃발을 굳건하게 높이 치 켜들고 경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소련의 입장을 지지하면서도 자국의 안보 상황 에 적용에 있어서는 유연한 해석을 보였다.22북베트남은 내부적으로 노동당 내부 역량을 집중시켜 전후 경제 복구를 이뤄내
야 하며
, 1955~1956년 북부 토지개혁 중 나타난 좌경의 착오를 극복하여 사회주
의 개조를 준비해야 하였기 때문에 소련의 입장을 수용하였다. 북베트남은 소련에 대한 경제 및 안보지원을 더욱 적극적으로 요구하기 시작하여 1957년 5월 하노이 를 방문했을 때 북부 경제에 대한 소련의 지원을 약속받았다.23
1958년 여름 중국은 처음으로 유고슬라비아를 ‘수정주의자’라고 비난하기 시작
하였다. 1958년 8월 흐루시초프와 마리노꼬프스끼(Marinokovskii) 국방상이 북 경으로 가서 중국에게 공동방위체제를 제안하였다. 중국이 연합 함대를 만들고, 소련이 도와주는 것으로 하여 8월 3일에 양국이 협정에 서명하였다. 그러나 8월25일 타이완의 위기가 고조되자 중국군은 소련과 사전 합의도 없이 먼저 포격을
했고 미국은 제7함대를 출동시켜 긴장이 조성되었다. 이에 대해 소련은 중국을 비 난 했고 중국은 이에 반발하였다. 결국 1959년 6월 20일 소련이‘국방 신기술에
대한 협정’을 돌연히 파기하고, ‘중국에 원폭의 모형과 기술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거부하였다. 또한 1960년 7월 16일 소련정부는 중국에서 소련 기술고문단을 철수 할 것을 통보하였다.241960년 11월 모스크바에서 열린 공산당대회에서 중국 덩샤오핑 총서기가 소련
의 평화공존을 비난하였다. 1961년 10월 제22차 소련공산당대회에서 중소간의 갈 등이 확대되었는데, 중국 저우언라이(周恩来)는 유고슬라비아를 비난하고 소련은 중국에 합류한 알바니아를 강하게 비판하였다. 이후 1962년부터 중소분쟁은 국경 분쟁으로 확대되어, 1963년 9월 중국은 우름치(Ouroumtchi)와 쿨자(Kouldja)에 설치된 소련영사관을 폐쇄시키기까지 이르렀다.25 이후 중국과 소련은 이념논쟁21버나드 B. 폴 편, “베트남노동당 중앙위원회 제9차 (확대)회기 폐막연설,” 호찌민의 베트남 혁 명론 p. 315.
22위의 글, p. 327.
23Albert Parry, “Soviet Aid to Vietnam,” Military Review (June 1967), pp. 20-21.
24모리카즈꼬, 중국과 소련 (서울: 사민서각, 1989), pp. 67-69.
25프랑스와 주와이요, 이창순 옮김, 중국의 대외정책 (서울: 탐구당, 1989), pp. 62-66.
과 국경분쟁의 지속으로 갈등이 확대되었다.
중소간의 대립 중에서 주변 국가들이 가장 주목한 것은 다른 국가의 민족해방 운동에 대한 지원 문제였다. 1959년 소련공산당의 제 21차 전당대회 결의문에서
“세계에서 사회주의의 완전한 승리 이전,
세계의 일부에서 자본주의가 계속 존재하고 있는 동안에도, 인류사회에서 세계전쟁을 없앨 수 있는 가능성이 점점 커지
고 있다
”라는 흐루시초프의 주장을 중국은 반박하였다.
중국은 제국주의가 약화되긴 하였지만 변하지는 않아 자신의 착취 대상을 방어하기 위해 가능할 때는 언 제든지 전쟁을 일으키려 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실제로 그들은 자본주의 국가들 간의 전쟁은 아직도 가능하고, 민족해방운동에 대한 식민주의 전쟁은 사실상 불가 피하다고 주장하였다.26 따라서 식민지에 대한 전쟁은 혁명운동을 적극 지원함으 로써만 ‘중단’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중국 이론가들은 공산주의자들이 아이젠하 워와의 회담을 추진하는 것은 괜찮지만 자신의 추종자들에게 그것을 달성할 수 있는 진정한 가능성이 있다고 말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고, 또한 평화공존을 선전 하는 것은 괜찮지만 알제리의 민족주의자들에게 드골대통령과 휴전협상을 하라고 충고하는 것은 잘못됐다는 것이다. 그들은 평화 ‘공세’를 제국주의에 대한 혁명투 쟁의 한 가지 방법으로 받아들였지만, 그와 비슷한 평화 ‘외교’는 혁명투쟁 형태를 일시적이지만 완화시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받아들이려고 하지 않았다.
1960년 11월 모스크바에서 제 18회 공산주의자 및 노동당대회가 모스크바에서
진행되었는데 중국과 베트남이 협력하여 소련지도자들의 양보를 얻어내고 소련으 로부터 제3세계 혁명투쟁 지원을 이끌어냈다. 회의 마지막에 ‘모스크바성명’을 발 표하여 평화유지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나, 자유와 독립을 수호하고 피압박인민 들의 식민주의 혁명투쟁을 전개하기 위하여 혁명 역량을 강화하고 각국의 구체적 상황에 따라 군사적 방법과 비군사적 방법을 적절히 사용할 것을 선언하였다.1961년 1월 흐루시초프는 연설 중 세계대전은 피할 수 있을지라도,
제국주의가존재하는 한 보편적 민족해방전쟁은 계속 존재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베트남 전쟁에 대하여 “허용할 뿐만 아니라 피할 수 없는 것”이며, 공산주의자들이 “진정 으로 지체 없이 이 전쟁을 지지해야 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27 따라서 1961년까 지는 북한과 북베트남은 중소갈등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표명하지 않고 중립적
26리차드 로웬탈, “외교와 혁명, 분쟁의 변증법,” G. F. 허드슨·리차드 로웬탈· 로데릭 맥화쿼,
중·소분쟁: 자료와 분석 (고양: 인간과 사회, 2004), p. 25.
27Lu De’an, “The Cold War and the Origin of the Vietnam War,” 东南亚纵横 (北京: 清华 大学出版社, 2005), pp. 45-46.
입장을 취하였다.
북한의 경우 한일 국교 정상화로 인한 한미일 삼국의 관계 강화가 안보협력을 강화시켜 한반도의 안보 균형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있었다. 북베트남의 경우
1954년 7월 소련과 중국으로부터 수년간 총 1조 5천 3백억 동
28을 원조받기로 하는 등 전후복구 자금을 전적으로 중소 양국에 의존하였다.29 북베트남은 소련 사 회주의로부터 많은 안보지원을 받고 있었으나, 남베트남에 대한 미국의 지원이 확 대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를 해야 했다.
중소분쟁은 아시아 사회주의 국가들에게 대외정책의 혼란을 야기했고 안보상 의 위기의식을 초래하였다. 분단국으로서 자본주의 국가들과 마주하고 있으며 통 일 혁명을 이루어야 하는 북한과 북베트남은 자국의 안보 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 울여야 하였다. 중국과 소련의 갈등이 초래될 경우 어느 한 국가를 지원할 수도 없으며 양국 모두로부터 안보 지원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었기 때문 이다. 북한과 북베트남은 모두 사회주의 형성과정에서 중국과 소련의 정치·경제·
사회적 영향을 받았으며, 전쟁과 전후시기에 물질적 지원을 중소 양국에 의존하고 있었다. 전쟁 이후 국가 경제 재건을 위해 북한과 북베트남은 중소 양국의 원조 확보를 위해 노력했고, 이 때문에 중소 양국중 어느 한 국가와의 관계도 소홀히 할 수 없었다.
2.
베트남전쟁과 중소분열1960년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충돌 위기가 고조되고 있었고 가장 일촉즉발
의 위기가 조성된 곳이 베트남이었다. 1964년 8월 ‘통킹만 사건’을 계기로 미국 의회는 만장일치로 ‘통킹만 결의안’을 통과시키고 미국은 베트남에 지상군 파병을 결정하였다. 1965년 7월 미국 존슨(Johnson) 대통령은 전쟁의 ‘미국화’를 결정하 여 1965년 말 미군의 수는18만 4천 명 이상에 달하였다.
베트남에서의 무력충돌은 미국의 지원을 받는 남부 베트남에 대항한 북부의 베 트남 공산당 및 남부의 인민혁명당의 대결로 나타났다. 미국의 지원을 입은 남부 베트남의 공세에 대해 북베트남은 중국과 소련의 지원을 기대하였다. 즉 북베트남
28옛날 통화에 따른 수치로, 1980년대 말의 약 15억 3천만 동, 4억 3,420만 달러에 상당하는 액수 이다.
29호치민, “베트남민주공화국 건국 10주년 기념일,” 버나드 폴 편, 호치민의 베트남혁명론, p. 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