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국가의 새로운 초국적 정체로 변화하고 있는 유럽(특히 서유 럽) 지역의 양상은 전통적인 국경 기능이 약화되는 것을 잘 보여주 는 한편, 여전히 전통적인 국경의 기능과 역할을 유지하기 위한 국 가들의 노력도 진행된다. 특히, 영토적 통합성과 국경안보를 유지하 면서 동시에 국경을 맞댄 접경지역 간 상호작용을 관리하고 협력을 증진하려는 국경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함으로써 국경 협력이 이루 어지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는 러시아와 중국, 러시아-카자흐스 탄 간 국경 협력이다.
가. 러시아와 중국 간 국경분쟁의 해결
러시아와 중국 사이에서 영토갈등은 17세기 중엽에 비롯되었다.
1582년 이반 4세의 시베리아 정벌 이후 러시아는 17세기 중엽에 이
123) 시진핑의 중국이 추진하고 있는 일대일로 구상에 의해 호르고스 자유경제지대는 중 국에서 출발한 물류가 호르고스지역 국경을 통해 카자흐스탄을 경유하여 중앙아시 아, 러시아 및 유럽으로 연결되는 루트의 수송 효율성 증진의 측면에서 핵심적 역할 을 한다. 특히 KFEZ는 중국의 일대일로 이니셔티브를 통해 그 효용성이 더욱 높아 지고 있다. 김상철, “중국-카자흐스탄의 호르고스 자유경제지대 개발과 한국에 주 는 함의,” Turkic Economic Belt, no. 19 (2017), pp. 17~19.
르러 동부 시베리아와 프리아무르(중국명 黑龍江, 헤이룽강)까지 진 출했다. 이에 청나라는 러시아의 영토 확장을 견제하면서 러시아가 요구하는 통상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1689년 최초의 국경협정인
<네르친스크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이후 170년 동안 자바이 칼과 프리아무르 지역에 대한 러시아와 중국 관계를 규정했다. 그러 나 19세기 청나라가 약화되자 러시아는 <네르친스크조약>을 대체할
<아이훈조약>과 <베이징조약>을 1858년, 1860년 연달아 체결하면 서 프리아무르 지역 및 연해주 일대를 러시아 영토로 복속시켰는데, 이것이 러시아와 중국 간의 근대적 국경획정으로 이어졌다. 중국은 1960년대 들어 소련 측에 <베이징조약>에 의한 국경획정과 그 과정 이 모두 불평등한 것이라 주장하며, 중소 간 영토갈등은 본격적으로 표출되었다.124) 1964년 소련은 중국과 협상 시 일정 수준 영토 할양 을 감수하더라도 양국 간 국경설정을 명확하게 하고자 했다. 그러나 중국은 하바로브스크 인근 아무르강과 우수리강이 만나는 지점에 놓은 볼쇼이우스리스크섬, 타라바로프섬을 포함해 작은 도서들까지 영유권을 주장했다. 양국 간 협상은 30년 가까이 소모적 갈등을 이 어가다가 1991년 5월 고르바초프(Mikhail Gorbachev) 임기 말에 이르러 일부 구간을 제외한 상태로 <동부국경협정>이 체결되었고 1994년 9월 <서부국경협정>이 체결됨으로써 양국 간 해묵은 국경분 쟁은 해결되었다. 1991년 국경협정 이후 마지막 쟁점은 볼쇼이우스 리스크섬과 타라바로프섬, 일부 도서지역에 대한 영유권 문제였고, 다시 10년간의 협상 속에 2004년 10월 푸틴(Vladimir Putin) 대통 령의 베이징 방문 중 <러중 동부국경 보충협정>으로 완전하게 타결 되었다. 전략적 요충지인 타라바로프섬과 볼쇼이우스리스크섬의 국
124) Keesing’s Research Report 3, The Sino-Soviet Dispute (New York: Charles Scriber’s Sons, 1969), pp. 108~119.
경설정 작업은 양국 외교장관 간 <러중 동부국경 추가-서술협의서>
에 서명함으로써 2008년 7월에 완료되었다. 러시아와 중국의 이해 관계가 강력하게 대립했던 볼쇼이우스리스크섬을 절반씩 나눌 것을 합의함으로써 4,300km에 이르는 동부국경 전체에 대한 중러 간 분 쟁은 정리되었다.
러시아는 중국과의 국경획정문제에서 자국의 국경을 후방으로 후 퇴해 일정수준 양보하고, 강과 하천에 대한 항행권을 허용하는 등 평화롭게 국경문제를 해결하는 다소 이례적인 선택을 했다. 이러한 국경협정 타결이 가능했던 이유는 무엇인가? 러시아가 낙후된 극동 -시베리아의 개발을 위해 무엇보다도 중국의 투자와 협력을 필요로 하는 실리적인 차원을 중시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 지역에 대한 중국의 경제적‧인구학적 팽창은 향후 중국의 영유권 주장으로 연결 될 소지가 있기 때문에, 러시아가 이 지역관할권에 대한 법적 통제 력을 확립함으로써 중국의 팽창 야심을 선제적으로 차단하려는 의 도도 있었다. 또한 러시아와 중국 모두 자국 영토 내에 강경한 분리 주의세력이 있기 때문에 국내적으로 영토적 통합성을 강화하고 국 제적으로 이를 보장 및 지지해줄 국가가 필요한 점도 작용했다. 또 한 양국 국경의 안정으로 러시아는 군대를 철수해 막대한 에너지자 원을 보유하고 있는 카스피해 지역에서의 영향력 확보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중국 역시 러시아 군대의 철수를 통해 보다 적극적인 해양 전략의 추진과 동북지역에 집중된 군대를 다른 지역으로 분산 이동하는 군사적 이익도 확대되었다. 러시아는 중국과의 협력을 통 해 자국의 경제개발과 국제무대에서 중국으로부터의 안정적 지지 확보 등 다층적 목적에서 영토할양을 통한 국경분쟁의 해결을 선택 했다.
나.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간 국경분쟁의 해결
러시아는 1855년 크리미아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로 진출했다.125) 당시 러시아는 서쪽 영토의 추가 확보에 연달아 실패하면서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자 중앙아시아로 관심을 돌렸다. 16세기 중엽 카자 흐 지역은 카자흐인을 중심으로 한 왕조가 들어섰지만, 17세기 말에 왕조가 분열되고 약화되면서 다양한 세력들이 침략했다. 카자흐는 러시아에 도움을 요청했고, 이를 계기로 러시아는 19세기 말까지 카 자흐 영토를 복속시켰다. 러시아는 인종적으로 단일했던 스텝지역 의 카자흐를 다민족 사회로 변화시켰고 주변의 우즈베키스탄, 키르 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으로 세력을 확대할 수 있었다. 러시아 는 볼셰비키 혁명 이후 소련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카자흐를 비롯한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해 지속적으로 강력한 러시아화 정책을 추진 했기 때문에 오늘날의 카자흐스탄은 인종적‧문화적으로 다원적인 구성을 갖게 되었다.126) 소련 해체 이후 새롭게 등장한 러시아와 카 자흐스탄 간의 국경은 무려 7,500km에 달한다. 2005년 1월 푸틴 대통령은 카자흐스탄 알마티를 방문해 나자르바예프(Nursultan Nazarbayev) 대통령과 회담을 갖고 양국 간의 영토적 경계를 설정 하는데 합의했다. 양국 간 영토적 경계를 설정(delimitation)하는 것은 국제규범에 의한 국경획정(demarcation)보다는 다소 느슨한 합의를 의미했다. 양국 정상은 우호선린과 공영의 원칙에 입각해 영
125) 1556년 이반 4세가 아스트라한을 점령하면서 러시아가 중앙아시아로의 진출을 시도 했지만, 보다 본격적인 진출은 19세기 중엽부터 이루어졌다. 우준모, “지정학적 탈 근대성과 영토‧국경갈등의 평화적 해결,” p. 296.
126) 특히 러시아는 중앙아시아 국가들을 소련의 공화국으로 편입시키면서 소연방의 결 속력을 강화시키려는 차원에서 각 공화국 간의 경계를 의도적으로 다민족으로 구성 되도록 설정했을 뿐 아니라 이들 지역으로 슬라브계 민족의 이주를 적극 장려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김대성, “소련해체 이후 강대국의 對중앙아시아 지역패권주의 정 책과 국제질서: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일반개황,” 한국중동학회논총 , 제 19호 (1998), pp. 1~28.
토적 경계설정에 합의함으로써 양국의 국경은 지속적으로 인적‧물 적 자원의 자유로운 교류가 보장되는 열린 공간이 되었다.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간 국경 타결은 소연방 해체 이후 발생했던 중대한 위협들이 급증했고, 이를 관리 및 통제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 이었다. 당시 규모조차 파악되지 않는 마약의 불법 밀수 및 유통, 불 법이민 그리고 분리주의 세력의 창궐 등의 월경성을 갖는 이들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러시아와 카자흐스탄은 현실적인 차원에서 국경 협력 에 노력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 양국 간 접경지역은 스텝지역으로 자 연적 방벽이 없어 그들 간 국경선을 따라 수비대를 배치하고 검문소를 설치하는 것은 막대한 비용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러시아와 카 자흐스탄이 군사협력을 강화하고 공동의 국경수비대를 운영하기로 합 의한 것은 실리적 차원을 고려한 선택이었다.127)
다. 국경문제의 해결에서 다자안보협력기구로 부상:
상하이협력기구(SCO)
<상하이협력기구(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이하 SCO)>는 1996년 <상하이-5>로 출발해 2001년 6월 우즈베키스탄 가입으로 6개 회원국으로 출범한 정부 간/지역 간 기구이다. 상호신 뢰와 우호 증진, 협력관계 구축, 역내 평화, 안보, 안정을 위한 공조 체제 구축을 목적으로 출범했다. SCO는 테러 및 분리주의 척결, 포 괄적 동반자관계 구축 활동을 전개하면서 단계적으로 중앙아시아의 최대 다자안보협력기구로 확대되었다.128)
127) 물론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간 경계설정이 국경획정으로 전개되면서 양국 간 갈등이 초래할 가능성은 존재한다. 우준모, “지정학적 탈근대성과 영토‧국경갈등의 평화적 해결,” p. 303.
128) 윤영미, “상하이협력기구에서의 러시아 역할과 입장,” 국제문제연구 , 9권 4호 (2009), p.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