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 간파와 믿음
2) 금욕주의 가치관의 내면화
적 대응전략이었다.
어가 봐. 재미 삼아. 처음에는. 근데 어이씨! 손실을 본거야. 열 받네? 기분이 나빠진 거야. 내가 씨 이거 뭐 별것도 아닌 종목에 왜 이걸 들어가서 손실을 봤지? 팔고 나 와야되는데, 안 그래. 자존심이 상해 그러면서 돈을 더 들어가. 열 받아서. 그러면서 돈은 더 들어가. 그러면서 장난으로 한 게 불장난이 되는 거야. 자기가 갖고 있던 매 매방식이랑 루틴이 다 헝클어지면서 엉망이 돼 버려. 그러면서 자기가 뭘 하는지 몰 라 어느 순간.···시장 앞에서 자존심 내세우면 안 돼. (박성호, 로알매매방 입실자, 40 대)
매배방 입실자가 지키고자 하는 이러한 원칙의 목적은 하나다. 리스크 를 관리함으로써 ‘통제력’을 잃지 않는 것이다. 시장은 늘 불확실하며 100% 예 측 가능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개인 전업투자자들은 그런 불확실성으로 가득 찬 ‘복잡계’에서 자기 나름의 투자전략을 설계하여 매매원칙을 수립하고, 특정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수익을 얻을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하에 매매를 실행한 다.
하지만, ‘돈을 좀 벌어봤다고’ 자신감에 차서 겸손하지 못하거나, 더 큰 돈을 ‘단시간에’ 벌고자 하거나, 손실을 ‘한 방’에 메우려는 욕심을 부려 절제하 지 못하는 경우, 자신이 사전에 설정한 매매원칙을 어기고, 리스크가 높은 종 목·상품, 변동성이 큰 때에 매매를 하게 된다. 이때 통제력을 잃고 흥분하게 돼 손실을 확정하지 못한다. 개인 전업투자자들은 입을 모아 ‘멘탈 관리’ 혹은 ‘마 인드 컨트롤’이야말로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 가장 중요한 가치라 말한다. 여기 서 ‘마인드컨트롤’이란 자신이 흥분할 만한 상황을 만들지 않고, 최대한 예측 가 능한 상황에서, ‘확실성’이 높은 때에만 매매하는 것을 뜻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이 어느 선까지의 불확실성을 용인할 수 있는지 아는 ‘리스크 감수성’에 대 한 사전 파악이 필수다.
[사례4-2-5: 너 자신을 알라]
주식도 자기의 분수나 자기가 감당할 수 있는 여력을 정확하게 알아야죠. 메타 인지(스스로에 대해서 잘 아는 거) 그게 핵심이에요, ‘멘탈’이 약하면 주식하다가 ‘멘 붕’와요. ‘멘탈’ 컨트롤. 이건 보통 사람들은 주식에서 사실 겸손하지 않아요. 다 살 수 있고, 팔 수 있고. 사실 학벌이 필요해 뭐가 필요해. 다 나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하 죠. 여기는 뭐 인터넷만 있으면 다 할 수 있고. 지능이 높던 낮던 상관없죠. 그것도 기회를 다 주잖아요. 벌 때도 있고. 그러니까 다들 자기가 잘 한다고 생각을 해요. 나 르시즘(narcissism). 나는 벌 수 있다는 생각에 빠지게 되는데, 그게 매우 위험한, 돈 을 까먹을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요소다. 내 자신을 잘 알아라. 그래서 나는 10% 제시 했어요. 전업하면서 1년에 10% 벌겠다. 은행이자 1.5%인데 엄청나게 큰 거예요. 근 데 따블! 두 배! 대박! 이렇게 노리다가는 그게, 대박이 쉽겠어요? 안 되는 사람 마찬
가지로, 자기 분수와 자기 목표에 따라서 원칙을 세워야지. (구자철, 로알매매방 입실 자, 50대)
▶ 돈은 목적 아닌 수단일 뿐, 어떻게 돈을 쓸 지 늘 생각하라.
▶ 그들의 의도대로 평생 모니터만 쳐다보며 살 것인가. 아니면 내가 꿈꾸던 삶을 살 것인 가.
▶ 나는 언제든지 틀릴 수 있고 손실은 당연하 다
▶ 작은 수익에 늘 감사하라. 대박은 쪽박의 다 른 말이다.
▶ 주식은 이론대로만 결코 되지 않으며 한순 간에 무너질 수 있다.
[그림5-5: 투자자의 명심보감]
[그림5-6: 투자자의 명심보감2 - 참을 인(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