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O 가
입과 전면적인 법 개정 이후
중국의 지식재산권 입법은 전략
적 주동기(主动期)로 접어들었다. 중국은 지식재 산권 보호 강도
를 더욱 높이고 지식재산권 제도 건설을 촉진하기 위해 2004년과2005년
에 각각 ‘국가 지식재산권 보호 작업조(国家知识产权保护工作组)’와 ‘국가 지식재산
권 전략수립사업 영도소조(国家知识产权战 略制定工作领导小组
)’를 설립했다.2006년 1월 후
진타오 총서기는 전국과학기술대회에서 혁신적인국가 건설을 위한 전
략적 목표를 제시 했다. 같
은 해 5월 중앙정치국 집단 학습에서 다음과 같
이 강조했다. “지식재산권 제도 건 설을 강화
하고 지식재산
권의 창조, 운용, 보호,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자주적인 창의력을 증강하고 혁신적인 국가를 건설해야 하는 절박3 한 요구이다.”83)2008년
6월 국무
원은 「국가지식재산권 전략
개요(国家知识产权战略纲要
)」를 발표했다.84) 개요에 명시된 전략적 목표를 원활하게 실 현하기 위해 중국은 새로운 입법 및 법률 개정을 시작했
고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
다. 첫째, 현행법 개정 작업을 개시함으로써 향후 트립스
시대(TRIPS时代)의 지식재 산권 제도 개혁 요구와 네트워크 기술,
유전자 기술하에서의 지식재산권 보호 요구에 부합하도록
한다. 「특허 법
」, 「상표법」, 「저작권법」의 개정 외에 「정 보네트 워크 전파권 보
호
조례(信息网络传播权保护条例)」, 「집적회로배치 설계 보호조례
(集成电路布图设计保护条例)」, 「식물신품종보호조례(植物新品种保 护条例
)」 등을 먼저 개정한다.둘째, 지식재
산권 전문법률
‧법규를 정비하고 체계화, 시스 템화,
합리화해야
한다. 현재 많은 법률 규범성 문서 중에 영업비밀, 상호 및 특수기호에 대한 규정을 통합하여 「영업비밀보호법(商业秘密保护法
)」, 「상호법
(商号法)」, 「특수기호보호법
(特殊标志保护法)」을 제정 해야 한다.
셋
째, 민간문예, 전통지식, 유전자원의 보호를 위한 입법 작업을 가속화한다. 「생물다양성협약(生物多样性公约)」, 「문화다양성협약
83) “胡锦涛在中共中央政治局第三十一次集体学习时强调切实加强我国知识产权制度建设
为建设创新型国家提供有力支撑,” 中国政府网, 2006.5.27., <http://www.gov.cn/ldhd/
2006-05/27/content_293195.htm> (검색일: 2021.6.6.).
84) 国务院办公厅, “国务院关于印发国家知识产权战略纲要的通知,” 中央政府门户网站, 2018.6.10., <http://www.gov.cn/zwgk/2008-06/10/content_1012269.htm> (검 색일: 2021.6.6.).
(文化多样性公约)」의 중국 내 도입을 위한 전문법 제정에 착수한다.
이를 계기로 국제 지식재
산
권 제도의 발전 추세에 부합하고, 중국의 지식재산권 보호의 장점을 반영하는 새로운 제도 체계를 구축
해야 한다.당시 세계지식재산권기구(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WIPO) 사무총장이었던 아파드 보거스(Arpad Bogsch) 박사는 세계 지식재
산권기구와 중국이 협
력한20년을 회상하며, 서방국가 들이
100~200년 걸릴 지식재산권 입법 과정을 중국은 20년이 채 되지않
아 완성했다고 말했다. 아파드 보거스
박사는 “이는 전 세계가 주 목할 만한 성과이다. 중국 지식재산권 법
제 30년의 역사는 중국의 지식재산권 입법이 수동적인 이식 상황을 탈피하고 ‘조정적 적용
’에 서 ‘주동적 배치’ 단계로 접어들
었음을 보여준
다. 중국의 지식재산권 사업은 역사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고 말했다.85)중국의 지식재산권 보호는 이처럼 비약적인 발전을 했으나 여전 히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로부터 대표적인 지식재산권 침해 국가 로 비
판받고 있다. 그 뿐
만 아니라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주변국들이 중국에 생산시설을 건설하고 중국 시장에 진출할 때 아직도 가장 우 려하는 것은 기술이전 요구와 이에 따른 지재권 침해 및 분쟁
발생이 다. 이는 중국이 전반적으로 지재권 보호 제도와 개혁을 강하게 추
진했음에도 지역 편 차가 있기 때문이다. 중서부와 동북과 같이 시장
형성과 확장단계에 있는 곳
에서는 이러한 공급 측 제도가 제대로 마 련되지 못해 아직도 외국인 투자자들은 열악한 지재권 보호 상황을 경험하고 있다.
85) 中国外交部, “中国知识产权保护状况,” 2002.7.5., <https://www.fmprc.gov.cn/web/
ziliao_674904/zt_674979/ywzt_675099/wzzt_675579/2296_675789/t10549.
shtml> (검색일: 2021.6.6.).
나. 중국 경제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 요인
(1) 당정관계(党政关系): 분리, 합일, 분업, 내장으로의 진화
중국의 당정관계에서 중국공산당은 지도적 위치에 있고 정부는 당의 영도(领导)를 수용하고 공공업무 분야에서 당의 집행자가 된 다. 정부의 핵심가치, 체제구성, 조직방식, 운영기제는 당의 제도적배
치에 달려 있다. 신중국 성립 이후 당정관계는 합일형(合一型)에 서 내장형(嵌入型)으로 바뀌는 변화를 겪
었다. 이 변천 과정은 국가 통치 차원에 투영되어 있다. 점진적으로는 중국이 반세기 이상 해온
국가건설과 국가성장의 궤도를 그려냈다. 이는 중국의 발전을 위
한 강력한 정치적 보장과 합리적 지지를 제공했다.86)개혁개방 이
후 중국 당정관계의 조정은 경제발전 수요에 부응하
는 것을 초기 동력으로 삼았다. 핵심목표는 개혁개방을 위한 강력한 정치적 리더십과 제도적 보장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덩샤오 핑
의 합일형(合一型) 당정관계의 개혁이 단순히 ‘당정분리’를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 중국공산당 제13차 당대회(13大
) 이후 정치체제 개혁에서 더 이상 ‘당정분리’ 문제를 거론
하지 않 기 때문
이기도 하지만, 객관적으로는 ‘당정분리’가 폭넓은 논의 과정 에서 소외되고, 당이 국가업무에서 철수해야 한다는 결론까지 도출됐
다. 물론 이는 중국의 정치 현실에서는 용납될 수 없는 일이다.덩샤오 핑은 당과 국가체제의 근본적 결점을
‘당정분리’의 부정 (不)으로 돌리지 않았다. 덩샤오핑의 창 끝은 당시 존재 했던 ‘당정 불
일치, 당이 정부를 대신한다(以党代政)’는 현상을 겨냥했다. 실제로
한 담화에서 덩샤오핑은 다 음과 같이 강조했다.
86) 刘杰, “党政关系的历史变迁与国家治理逻辑的变革,” 뺷社会科学뺸, 제12기 (2011), p. 4.
“당과 국가의 영도제도를 개혁하는 것은 당의 영도(领导
)를 약화 해 기강을 해이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당의 영도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당의 규율을 견지하고 강화해야 한다. 중국과 같은 대국에서는 몇억 명의 사상과 역량을 하나로 모아 사회주의를 건설 해야 하는데, 고도의 자각성(觉悟性), 규율, 자기희생 정신을 가진 당원으로 구성된 인민들을 대표하고 단결할 수 있는 당이 없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당의 통일된 영도 없이는 사분오열(四 分五裂)되어 무너지고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
87)이는 당의 영도를 보장한다는 전제하에 당 업무부서(党务部门)와 정부 업
무부서(政务部门
)가 기능적으로 적절하게 분리되는 것을 의 미한다. 근본 목표는 국가 통치에서 정부 역할이 발휘되는 것이며
당정 간 경쟁적인 권력관계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당이 더
이상 국가 통치에 개입하지않
는 것도 아니다.88)중국의 당정관계는 대등한 권력 주체들 간의 관계 문제가 아니라 국가 통치구조에서 정부 권력의 배치와 규범 방식의 문제이다. 이 관계에서 당은 절대적으로 지
배적인 위치에 있다. 따라서 당정관계
의 조정은 무엇보다 당의 통치이념과 영도방식의 조정에 있다. 개혁 개방 이후 중국 공산당은 경제건 설과 대외개방에 초점을 맞춰 국가
통치에 있어 기본 주체로서 ‘정부’의 지위를 강조하고 당의 역할을새롭게 조정했다.
(가) 덩샤오핑의 당정분리
당정관계는 중국 정치의 주요한 문제이고 정치 체제개혁의 핵심
87)中共中央文献编辑委员会 엮음, 뺷邓小平文选: 第二卷뺸 (北京: 人民出版社, 1994), pp. 341~342.
88) 刘杰, “党政关系的历史变迁与国家治理逻辑的变革,” p. 7.
적인 문제이다. “개혁의 내용은 먼저 당정분리가 되어야 하며, 당이 어
떻게 잘 영도하는지를 해결
하는 문제이다. 이것이 관건이며 제일 우선시되어야 한다.”89)덩샤오 핑은 1980년 「당과 국가영도제도의 개혁(党和国家领导制 度的改革
)」 담화에서 당정관계 규범화의 의미와 사상을 정밀하게 분
석했
다. 그는 “당과 정부가 분리되지 않고, 당이 정부를 대신하는 문 제 해결
에 착수해야 한다”라면서 “이는 중앙의 통일된 영도 강화, 각 급 정부의 하향식(自上而下) 업무 시 스템
의 구축, 정부 직권 범위의 관리에 도 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90)1986년 덩샤오
핑은 한발 더 나아가 당정관계 규
제에 대해 다음과같
이 밝혔다. “당과 정부는 분리되어야 하며, 이는 정치체제 개혁으 로 이어져야 한다. 당 위
원회는 어떻게 영도할 것인가? 오직 큰일 (大事)에만 관여하고, 작은 일(小事)에 관여해서는 안 된다. 당 위원 회는 경제관리 부서를 설치하지 않으며, 그 부서의 업무는 정부가 관리해 야 한다”, “개혁을 통해 법
치와 인치의 관계, 당과 정부의 관 계를 잘 관리해야
한다. 당의 리더십은 흔들려서는 안 되고 영도를잘
해야 한다. 당과 정부는 분리되어야 하고 이 문제를 의제로 올려야
한다”라고 말했다.91)‘당정분리’는 특정한 역사 시기에 형성되어 특정한 함의를 갖는 개
념
이다. 중국 정치발전의 힘(实力)의 관점에서 보면, ‘당정분리’라는
표현은 ‘당과 정부는 분리되지 않는다(党政不分)’는 현상에 대응하 여 제안된 것으로 그 사상적 함의는 옳고 지켜야 한다. 그러나 이89) 邓小平, “关于政治体制改革问题,” 中共中央文献编辑委员会 엮음, 뺷邓小平文选: 第三卷뺸 (北京: 人民出版社, 1993), p. 177.
90) 邓小平, “坚持党的路线,改进工作方法,” 中共中央文献编辑委员会 엮음, 뺷邓小平文 选: 第二卷뺸(北京: 人民出版社, 1994), p. 280.
91)邓小平, “关于政治体制改革问题,” p. 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