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영 통일연구원 최명욱 중국 산동대학교
Ⅲ. 중국의 점진적 개혁과
중국의 미래와 발전경로를 단순히 체제 붕괴 아니면 민주화로 보 는 것은 우
리의 시 야를 좁
히고 논리적인 사고를 막는다. 중국이 걸 어온 지금까지의 경로에서 가장 중요한 동력은 역동적인 경제발전
을 토대로 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대중지지, 정치엘리트의 통일
성과 합의, 체제 안정성, 부상하는 국력과 국제적인 영향력이었 다.30)중국을 포함한 모
든
체제 전환국들은 세 가지 특징을 공유하고 있 다. 첫째, 체제 전환국들은 관료적인 계획에서 시장 배분으로 전환했
다. 둘째, 그들은 거의 완전한 국가 소유에서 민간 소유로 전환했 다. 사적 소유권은 지배
적인 역할은 아니지만 주요한 역할로 전환했 다. 셋째, 경제적인 자급자족을 버리고 세계시장과의 통합을 선택했 다는 것이다.31)따라서 중국은 국가-시장 공진 측면에서 보면 주로 1970년대 말 부
터 1990년대까
지 시장형성단계의농업개혁과 소유권개혁, 1990 년
대 본격화하여 지금까지 진행되고 있는 시장확장 단계의 행정개혁
과 산업정책, 시진핑(习近平) 집권 시기 들어 강조되고 있는 시장보 존단계의 전면심화 개혁으로 시기와 단계를 구분할 수 있다.
시장형성
단계에서 중요한 국가의 역할은 덩샤오핑
(邓小平)과 같 은 개혁 리더십이 사상해방을 통해 시장 개혁을 정당화하고 지방과농촌에서 시 작된 농가책임생산제와 다양한 비공유 소유권 실 험을 허 용한 것을 넘
어 이를 적극적으로 장려함으로써 지방정부와 농민들
의 이윤 추구 동기를활
성화시킨 것이다.중국은 시장
확장단
계 시기 농촌에서 진행된 시장 개혁이 도시로 급격히 확산되는 과정에서 시장경제 건설을 위
한 행정개혁을 적극30) Andrew G. Walder, “China’s National Trajectory,” pp. 335~357.
31) 위의 글, p. 336.
단행했
다. 계획경제를축소하고 시장경제를 점진적으로 확대하기 위
해 정부의 경제 간섭을 줄이고, 지방과 기업에 권한을 대폭 이양 하는 분권화 개혁에 초점을 맞췄다. 따라서 이 단
계에서는 정부의 기능 전환과 시장제도 강화라는 누진적 공진이 일어났다.시장보존단계에서 2002년 장
쩌민(江泽民) 시기 삼개대표론
은 자 본가 계급의 공산당 입당을 허용함으로써 정당성을 확보하는 사상
해방을 추동했고, 2007년 후
진타오(胡锦涛) 시기 물권법 시 행은 사
적 소유권에 대한 합법적 인정을 추인한 것이었다. 하지만 장 쩌민과 후
진타오 시기 전반에 나타난 국가 개혁 효과의 약화와 부패 만연 현상은 역진적 공진으로 평가할 수 있다.이
후 시진핑
집권 시기의 전면심화 개혁은 특히 첨단산업과 경제
정책에서 국가 관료제의 전문화, 혼합소유제와 현대 기업제도 확립 을 통한 국유기업의 효율성 제고, 의법
치국과 의법행정을 통한 사법
제도 강화라는 측면에서 추진되었다. 하지만 시진핑 집권 시기에 국 진민퇴(国进民退), 시진핑의 사상통제와반부패 운동, 알리바바
(Alibaba)를 비롯
한 플랫폼 민영기업에 대한 중국 정부의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개혁은 다소 위축되고 국가통제가 지나치게 강화되는 상반적 공
진이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요
약
하면 중국의 개혁개방 과정에서 국가-시장 공진은 역진적 공 진과 상반적 공진이 일시적으로 나 타나기는 했
으나, 전반적인 추세 는 누진적 공진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추세적인 국가- 시장 공진의 성격 때문
에 중국은 전환기 침체에 빠지지 않고 2000년 대 이후 지속해서 높은 경제성장률을 달
성할 수 있었다.
Dalam dokumen
북한발전모델과 한반도 컨센서스 - DSpace at KINU - 통일연구원
(Halaman 8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