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시장형성과 확장단계 초기에 진입해 있는 것으로 가정하 면, 현시점에서 선진국의 최적 제도에 기
반을 둔
‘굿 거버넌스(good governance)’ 이식은 매우 비현실적인 제도설계방안으로 평가될 것
이다. 결국은 국가-시장 공진이론을 북한 같은 후진국 발전에 적용 함으로써 이 분석 틀이 단순히 탈사회주의 후발국에만 적 용되는 특
수한 것이 아니라 후발국이 빈곤에서 탈출하는 경로를 설명하는 일반
적인 분석 틀이라는 점을 강조할 것이다.
3. 북한발전모델의 주체와 북한의 수용 가능성, 국제
이다. 사이프러스 통일 협상 내
용이 새
로운 한반도 컨센서스에 주는
시사점과 구체적인 정책 대안을 제안할 것이다. 즉 사이프
러스 사례 를 통해 통일 후 국가체제의 형태, 통일비용 및 자금
마련 방안, 토 지 보상, 시장 개방 제도 개혁, 무역협정 및 무
역을 위한 제도적 통 합, 기타
통화, 연금제도, 표준 등의 통합 측면에서 북한의 국가-시 장 공진에 근거한 통합 방안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남북한이 통 일의 경제효과를 극대화하기위해 사이 프러스
의 통합정책과 제도 개혁으로부터 어떤 컨센서스를 도출할 수 있을지를 제시할 것이다.
이를 토대로 북한발전과 남북협력을 위한 구체적인 국제협력 방 안을 제안할 것이다. 즉 한
반도가 하나의 시장으로 나아가고 남북
한의 소득격차를 줄이는 목적으로 국제협력방안을 도출할 것이다.장기적으로 북한발전모델 구
축을 위한 국제협력 방안은 국제금융
기구활용을 통한 개발자금 조성(국제통화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세계은행(World Bank: WB), 아시아인프 라투자은행 (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AIIB) 가 입
을 위한 북한의 준비 요건)과 북한 시장 개방(WTO(World Trade Organization, 세계무역기구) 가입)을 위한 북한의 제도적준비
요건), 지식 협력(Knowledge Sharing Program: KSP) 사업 및 한국 주도로 동북아개발은행(NorthEast Asian Development Bank: NEADB) 건설 등을 제안할 것이다.북한의 현 상황과 발전모델의 수
용
가능성을 고려할 때 북한의 급 진적 체제 전환 없는 국가-시장 제도의 특성 반영 혹은 행정의 효율 성 및 시장제도 확립을 포함하는 거버넌스 개선을 통한 발전방식이 나 국가전략 설계가 고려 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점에서 북한 국영
기업의 비효율성과 불완전한 시장제도 개선을 위해 북한이 적정 수준
의 거버넌스와 제도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에 본 연구는 초점을맞출 것이다.
북한의 현재 상황은 국가-시장 공진 이전에 ‘공존’의 문제가 더 중요할 수 있다. 북한의 시장형성단계에서 경제성장에 도움이 되는
‘약한 정치-행정 체제’의 판단기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북한의
‘아래로부터의 시장화’는 북한 시민들의 적응적 임기응변으로 출현 한 것인
데 중국과 차
이점은 국가의 선도 역할이 부재한 개인 차원의 자발적 임기응변(spontaneous improvisation)이라는 것이다.국가-시장 공진이론에 따르면, 북한은 가
용한 모 든 방법
을 통해 시장형성단계를 성숙
시켜 나가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그 과정 에서 장애물
은 시장형성과 공진해야 할 국가가 선도적 역할을 잘
하지못
해 국가-시장 공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특히 본 연구는 김정은 시기 북한의 국영기업-시장의 공존과 그 구조변화에 따른 권력관계, 그리고 국가의 역할 등을 분석하고 국가 -행정-산업체계의 상
호 네트워
크와 인센티브 변화에 따른 경제적효
과 분석에 치중할 것이다. 김정은 시기 국가-시장 공존과 경제개 혁의 여러 단계에 따른 행정체계와 산업정책 변화를 분석한 후, 북 한식 국가-기업-시장의 공존에서 공진으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새
로운 남북관계와 국제협력의 발전모델도 제안할 것이다.김정 북한대학원대학교
Dalam dokumen
북한발전모델과 한반도 컨센서스 - DSpace at KINU - 통일연구원
(Halaman 3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