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중국의 국가-시장 공진 발전모델과 중국 경제발전의 정치적 요인 40)정치적 요인40)

<그림 Ⅲ-5> 중국의 국가-시장 공진 국제 비교(1995년/2020년)

관료 제도 합리화 경제제도 시장화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90 8 7 6 5 4 3 2 1 0

베트남2020(0.46, 58)

베트남1995(0.40, 41.7)

중국1995(0.45, 52) 중국2020(0.48, 58)

북한1995(0.20, 8.9) 북한2020(0.19, 4.2)

출처: 저자 작성.

종합하면 다른 모

든 조건이 같다면, 1990년

대 이래 중국과 베트남 과 같은 점진주의적 개혁을 추진했던 국가들의 경제발전은 경제 제 도 시장화와 관료 제도 합

리화의 누

진적 국가-시장 공진을 통해 어

정도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설명이 북한발전모델에 주는 시사 점은 북한 역시 국가와 시장의 역진적 공진이 아닌 누진적 공진을 통해서 경제발전을 달성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2. 중국의 국가-시장 공진 발전모델과 중국 경제발전의

것에 관해 설명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후진

타오 시기(2002~ 2012 년

)에 경제 제도 시장화와 관료 제도 합리화가 모두 하락하는 뚜렷 한 원인을 찾기 힘들다. 장쩌민 시기(1992~2002년)에도 1994년 분 세제(分税制) 개혁과 1998년 주룽지(朱镕基) 총리가 중국 역사상 가 장 강력한 행정개혁을 추진한 점을 고려할 때 국가 관료 제도화가 하락한 것에 대한 마땅한 설명을 찾기 어렵다. 따라서 아래에는 중 국 국내 연구자

들이 제시하는 지표를 살펴봄으로써 국제적인 지표

를 보충 설명할 것이다.

가. 중국의 국가-시장 공진의 특징과 지표

중국의 국가-시장 공진을 나

타낼 수 있는 지표 가운데

중국의 시 장화 지수가 있다. 이 지수는 총 다

가지 구성요소가 있는

데, 정부

-시장의 관계, 비공유경제 발전, 생산품 시장의 발전 정도, 요소시 장의 발전 정도, 시장 중개조직의 발전과 법치 환경이 포함된다. 아

그림을 보면 중국의 시장화 총지수는 2008년 5.45에서 2016년

6.72로 증가 했음을 알

수 있다(<그

Ⅲ-6> 참고). 다음은 지표의 구성요소

별로 설명을 제시할 것이다.

<그림 Ⅲ-6> 중국 시장화 총지수 변화 추세(2008~201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年份)

7.0 6.6 6.2 5.8 5.4 5.0 (分)

5.45 5.50 5.41 5.55

5.94 6.11

6.50 6.58 6.72

출처: 王小鲁樊纲胡李鹏, 뺷中国分省份市场化指数报告 (2018)뺸(北京: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19), p. 2.

(1) 중국 정부-시장 관계의 변화

‘정부와 시장의 관계’ 면에서 전국 평균 지수는 2008~2013년 기 간에

6.85에서 5.36으로 떨어 졌고, 2016년 5.55로 반등했

지만

2008년

에 비해 여전히 1.30 하락한 모습을 보인다. 이 항목의 시장 화 정도가 낮아진 것을 나타낸다. 2008~

2016년 기간 다섯 가지 항

목의 지수 중 유일하게 역행했다고 할 수 있다. 이 방면의 지수는

‘시장의 경제자원 분배의 비중(1a)’, ‘기업에 대한 정부의 개입 축소 (1b)’, ‘정부 규모 축소(1c)’ 등 3개 항목으로 구성됐으며, 이 3개 항 목 지수 모두 하락했다. 그중에서 ‘시장의 경제자원 분배의 비중

'은 2008년

8.44에서 2016년 7.21로 1.23 하락했다. ‘기업에 대한 정부 의 개입 축소' 평점은 2008~2016년 4.28에서 3.43으로 0.85 하락

다. ‘정부 규모 축소' 평점은 2008년 7.82에서 2016년 6.00으로 1.82 하락했다. 수치를 통해 알 수 있는 바는, 정부 참여로 인한 자 원

치의 증가와 정부 규모의 확대가 정부-시장의 관계에서 시장화 하락의 주요 원인이라는 것이다. 그중에서 2008~2016년 정부의 기 업

들에 대한 개 입이 전반적으로 강화되는 추세여서 평점이 떨

어졌 다고 설명할 수 있다.41)

이는 국가-시장 공진의 측면에서 보면 국가 개혁과 시장 개혁이 역

행하는 상반

진을

보여준

다. 시장의 경제자원 분배 비중은

2012년

이후인 시진핑 시기보다 후진타오 시기에 평점이 더 급격히 하락했고, 정부의 기업에 대한 개입

소 영역은 시진핑 시기인

2012년과 2013년 가장 낮은 평점을 기록했음을 보

여준다. 정부 규 모 축소는 후진

타오 시기에서 시진핑

시기까지 점진적으로 낮아지 고 있다.

41) 王小鲁樊纲胡李鹏, 뺷中国分省份市场化指数报告 (2018)뺸 (北京: 社会科学文献出 版社, 2019), pp. 9~10.

<그림 Ⅲ-7> 정부와 시장의 관계: 항목별 지수 변화

8.44

4.28

3.43

7.82

6.63 6.00

2.31 7.42 7.21

10 8 6 4 2 0 (分)

2008年 2009年 2010年 2011年

2013年 2014年 2015年 2016年

2012年 1a、市场分配经济资源的比重 1b、减少政府对企业的干预 1c、缩少政府规模

출처: 王小鲁樊纲胡李鹏, 뺷中国分省份市场化指数报告 (2018)뺸, p. 10.

성 단위로 보면 2016년 ‘정부와 시장의 관계’ 면에서 시장화 정도 가 높은 상

5개 성은 톈진(天津), 상하이(上海), 광둥(广东), 장쑤 (江苏), 저장(浙江)이며, 최하

위 5개는 모 두 서부지역의 성이었다. 그 뿐

만 아니라 동‧서부 지역의 성

은 정부와 시장의 관계 면에서 상당 한 차이를 보

다. 전반적으로 동부지역 성 정부의 자원배치, 기업에 대한 개

, 정부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

타났

다. 2016년과

2008년

을 비교하면 톈진, 상하이, 허베이(河北)만 ‘정부와 시장의 관

계’ 면에서 소폭 상승했고, 이는 기업에 대한 정부의 개

입을 줄

인 덕

분이다. 이 외에 19개 성에서 평점이 1.0 이상 떨어졌다. 하락 폭이

2.0 이상인 성들

로는 서부지역의 시장(西藏), 칭하이(青海), 신장(新

), 중부 지역의 안후이(安徽), 동부지역의 푸젠(福建), 베이징(北

)이며 동북지역은 지린(吉林), 랴오

닝(辽宁)이 있다.

42)

처럼 중국 전체로 보기 보다 지역별

로 살펴보면 정부-시장 관계 의 편

가 큰 것을 알 수 있고, 시장 개혁이 잘 추진된 톈진, 상하이,

42) 위의 책, p. 10.

베이는 시장보존

단계에서 필

요한 공급자 측 개혁이 필요한 반면, 시장, 칭하이, 신장, 안후이 등은 시장형성단계에서 필요한 다양한 임기응변을 통한 시장수요 창출이 필요하다. 즉 지역별로 국가-시 장의 단계와 맞춤형 전략이 다르다는 사실이다. 다음은 항목별 지수 의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가) 시장의 경제자원 배분의 비중

지역총생산(Gross Regional Product: GRP) 중 정부가 통제(支

)하는 경제자원 이외의 부분은 시장의 자원분

배 비중을 보

여준다.

정부가 통제하는 경제자원은 지방정부의 일

반 공공예산 지출과 정

부성기

금(政府性基金)의 지출(그중 토

지양도소득에 따른 지출을 포 함)의 합으로 표시된다. 2010년과 이전 정부성(政府性)기금의 통계 치는 없고 지방정부의 일반 공공예산 지출, 예산 외 지출, 토지 매

입에 따른 세 가지 지출을 합한 것이다.

43)

이 항목별 지수의 하락은 통계를 활용해 좀 더 직관적으로 관측할 수 있다. 정부지출이 지역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이중 확장정책을 통한 경기 부양(双宽松刺激政策)이 시

된 2008년부

터 2010년 사이에 급 격히 증

가했다. 각 성의 평균 자 료에 따르면, 지역총생산에서 지방정부 지출의 평균 비중은 2008년

25.7%에서 2010년 31.5%로 증가하였

다. 그리고 2016년까지 지역

총생산

에서 성 정부의 지출이 차지하는 평균 비중은 34.8%로 계속 상

승했다. 그중 공공예산 지출과 정부성기 금의 지출이 눈에 띄

게 상

승했다(<그림

Ⅲ-8> 참고).44)

43) 위의 책, p. 12.

44) 위의 책, p. 12.

<그림 Ⅲ-8> 전체 정부지출이 GRP에서 차지하는 비중(각 성 평균치)

(단위: %)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36 34 32 30 28 26 24 (%)

2017(年份)

출처: 王小鲁樊纲胡李鹏, 뺷中国分省份市场化指数报告 (2018)뺸, p. 12.

2008~2016년에는 거의 모든 성에서 시장의 자원배분 정도가 하

했다. 2.0 이상 하락한 곳

은 시장, 칭하이, 신장, 간

쑤(甘肃)이다.

하락 폭이 적은 성은 저장(浙江), 장쑤(江蘇), 푸젠(福建), 후난(湖

), 톈진, 샨시(陝西) 등으로 0.5 내외 혹은 그보다 적게 나타났다.

오닝은 2015~2016년 시장의 자원배분 정도가 2008년 이

후 지속

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로 나

타 났

다. 2016년 이 항목 지수의 상

위권은

주로 동부지역의 성으로 산둥(山东), 푸젠, 장쑤, 광둥, 랴오

닝, 저

장 등이며 하

위권은 시베이(西北), 시난

(西南) 등이다.45)

(나) 정부의 기업에 대한 개입 축소

이 항목의 지수는 2008

~20

16년 0.85 하락

다. 그중 2008

~ 2013년

에는 1.9

7 하락했

다. 2012년 이후 반등했지만 2008년의 평균보다 여전히 낮다. 지수의 원(原) 데이

터는 전국 2,000개 이상의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기업 대표가 정부의 ‘행정 승인, 산업 접 근 및 기타 정부 개입이 과도한지의 여부’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산 출

됐다. 2008~2016년 16개 성 지수가 하락 했고 15개 성 지수는 상

45) 위의 책, pp. 12~13.

승했다. 그 중 푸젠(福建), 랴오 닝, 안 후이(安徽), 지린(吉林), 장쑤

등은 하락 폭이 컸다. 상승 폭이 큰 곳은 산시(山西), 허베이(河北),

충 칭

(重庆), 시장(西藏) 등이다. 2016년 상위 5개 성은 톈진, 상하이,

광둥, 저장, 허난(河南) 순

이었고 하위 5개 성은 네이멍구(内蒙古),

푸젠, 닝샤(宁夏), 칭하이, 랴오 닝이다.

46)

(다) 정부 규모 축소

이 항목의 지수는

2008~2016년 1.82 하락 했고, 정부의 상대적 규

모가 조사 기간 지속해서 확대되는 추세를 보였다. 이 지수는 성 인구에서 각 성의 공공관

리 및 사회조직 취업자의 비율을 기준

으로 계

산한다(이 통계에 포함된 취업자 수는 기본적으로 당

‧정 기관 및

공공단

체의 재정부양인구와 동일하기 때문에, 정부 규모를 대표할 수 있다). 전국적으로는 2008년 1335만 명에서 2016년 1673만 명으로

25.3%(338만 명

) 증가했고,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08년 1.01%에서

2016년 1.21%(<그림

Ⅲ-9> 참고)로 상승했다.47)

<그림 Ⅲ-9> 공공관리 및 사회조직 취업 인원 수 변화 추세

(단위: 좌측-만 명/우측-%)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1700 1600 1500 1400 1300 1200 (万人)

1.3 1.2 1.1 1.0 0.9 0.8 (%)

2017(年份) 公共管理和社会组织城镇单位就业⼈员

公共管理和社会组织城镇单位就业⼈员/总⼈口(左轴)

출처: 王小鲁樊纲胡李鹏, 뺷中国分省份市场化指数报告 (2018)뺸, p. 14.

46) 위의 책, p. 13.

47) 위의 책, p. 13.

성의 데이터에 따르면, 이 지수가 차지하는 평균 비중은 이 기 간 1.07%에서 1.38%로 증가

했다. 현지 총

인구에서 상하이 정부 규 모가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한 것 외에 다른 30개 성에서는 모두 증 가

했다. 그만큼

정부 규모가 커지고 있다는 뜻이다. 그중에서 정부

모 상

폭이 비교적 큰 성은 시장, 신장, 구이저우(贵州), 하이

난,

네이멍구 등이다.48)

20

1

6년

정부 규모가 축소된 상

5개 성은 안

이, 상하이, 장

, 광둥,

시이다. 하

5개 성은 시장, 신장, 네이

구, 칭하이, 간

쑤였

다.49)

(2) 비국유경제의 발전

‘비국유경제의 발전' 지수의 전국 평균 점수는 2008~2016년 지속

적으로 상

승하는 추세 였다. 2008년 5.40

에서

2016년 7.83으로 2.43 올랐다. 이 항목 지수는 ‘비국유경제가 공

업기업의 주요 수입 에서 차지하는 비율(원

래는 ‘비국유경제가 일정 규모 이상 공

업기업 의 상

판매수

에서 차지하는 비율’, 2a)’, ‘비국유경제가 전체 사회 고정자

산 투

자에서 차지하는 비율(2b)’과 ‘도시 비국유경제 취업자 수 대비 도시 총 취업자수 비율(2c)’ 세 가지 항목으로 구성된다.50)

이 기간에 세 항목 모두 상

승 폭

이 컸다. 이는 비국유경제 부문의 소

자‧고

용 비중이 높아지고 있음

을 반영하는 것이다. 시장이 지향하는 비국유경제 부

문의 발전 속도가 불완전한 시장이 지향하

는 국유경제의 부

문보다 빠르다는 점을 드러낸

다. 한편으로는 시장 화 정도의 상

승을 반영하기도 한다.

51)

그중에서 ‘비국유경제가 공업기업의 주요 수입에서

지하는 비

율’과 ‘비국유경제 취업자 수 대비 도시 총 취업자수 비율’은 매년

48) 위의 책, p. 13.

49) 위의 책, p. 13.

50) 위의 책, p. 14.

51) 위의 책, p. 14